김극뉴 묘역
					
											
															
					
					0					
					
					2000
															
						
						
							2022.06.15 00:00						
					
				
			| 향토문화유적명 relicsNm | 김극뉴 묘역 | 
|---|---|
| 문화유적지정번호 appnNo | 순창군 향토문화유산 유형 제1호 | 
| 향토문화유적구분 relicsKnd | 유형문화유적 | 
| 향토문화유적종류 relicsSe | 건조물 | 
| 소재지도로명주소 rdnmadr | |
| 소재지지번주소 lnmadr | 전라북도 순창군 인계면 마흘리 산36 | 
| 위도 latitude | 35.4274792 | 
| 경도 longitude | 127.164951 | 
| 지정일자 appnDate | 2019-01-30 | 
| 소유주체구분 posesnSe | 사유 | 
| 소유자명 ownerNm | 광산김씨 대사간공파 극종중 | 
| 규모 scale | |
| 조성시대 makePd | 조선시대 | 
| 이미지정보 picInfo | |
| 향토문화유적소개 relicsIntrcn | 조선 성종대에 대사간(大司諫)을 역임한 김극뉴(, 1436~1496)는 예학(禮學)을 집대성하여 문묘에 함께 배향된 김장생(金長生, 1548∼1631)과 그의 아들 김집(金集, 1574∼1656)의 5대조이다. 김극뉴 묘를 기준으로 위쪽에 장인인 함양박씨(咸陽朴氏) 박예 부부, 아래쪽에 아들과 증손, 맨 아래에는 사위와 딸의 합장묘인 동래정씨(東來鄭氏) 정광좌(鄭光佐) 묘 등이 차례로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묘역의 특징 때문에 풍수가들에 의해 일찍부터 조선시대 8대 명당 중 하나인 ‘말명당(馬明堂)’으로 일컬어 졌다. 조선시대 전기의 윤회봉사(輪廻奉祀, 직계 비속의 대가 끊겨 더 이상 친손으로 하여금 제사를 잇게 하지 못할 경우, 딸의 남편이나 자손에게 재산을 상속해 주고 제사를 지내게 한 풍습)와 균분상속(均分相續, 재산 상속시 같은 몫으로 나누어 주는 것)의 형태를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서 역사상, 학술상 가치가 있는 유적이다. | 
| 관리기관전화번호 phoneNumber | 063-650-1615 | 
| 관리기관명 institutionNm | 전라북도 순창군청 | 
| 데이터기준일자 referenceDate | 2022-06-15 | 
| ctprvnNm | 전라북도 | 
| sigunguNm | 순창군 | 
| sido | 35 | 
| sigungu | 35360 | 
| upmyundong | |
| 네이버 블로그 관련글 | |
| Array ( [bo_table] => public_nvpc_cltur [page] => 14 [wr_id] => 449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