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전

한국무속신앙사전
남해안 지역 무속에서 사제무가 손에 들고 신간(神竿)으로 사용하는 무구. 손대 혹은 적심대라고도 한다.
definition
남해안 지역 무속에서 사제무가 손에 들고 신간(神竿)으로 사용하는 무구. 손대 혹은 적심대라고도 한다.
mp3Cnt
0
wkorname
최진아
정의남해안 지역 무속에서 사제무가 손에 들고 신간(神竿)으로 사용하는 무구. 손대 혹은 적심대라고도 한다.
내용손전의 유래는 망자를 저승으로 인도해 준다고 믿고 있는 [바리공주](/topic/바리공주)가 남산에 올라 갈 때 한 손에 새꽃(억새꽃)을 들고 있었다는 것에 근원을 두고 있다. [별신굿](/topic/별신굿)에서 사제무는 부채를 주로 들고 굿을 하지만, 손전을 사용할 때는 오른손에 부채, 왼손에 손대를 든다. 별신굿에서는 용왕굿, 부정굿, [가망](/topic/가망)굿, 제석굿의 거리 초입부의 청배단계에 들려지며, 이것을 들고 [대너리춤](/topic/대너리춤)을 춘다. 큰굿에서는 손굿(혹은 지동굿)의 손님풀이까지만 사용한다. 손님풀이에서는 무녀가 장구에 손대를 꽂은 채, 장구를 치면서 의례를 진행한다. 큰 굿에 이어, 군웅굿에서도 청배단계에 들려진다. 별신굿의 마지막 의례인 [거리굿](/topic/거리굿)에서도 손전을 들고 의례를 진행한다. 이때는 강신무가 [대잡이](/topic/대잡이)를 한다. 그러나 이전의 의례에서 세습무가 사용하던 손전과 달리, 대나무 [가지](/topic/가지) 여러 개를 묶은 것을 들고 의례를 진행하기도 한다.

남해안은 정통적으로 세습무가 활동하던 지역이다. 따라서 의례 시 죽은 망자나 잡신을 부를 때 자신의 몸에 직접 강신하지 못한다. 그 대신 강신무나 망자의 가족이 손전을 들면, 신간(神竿)인 손전을 타고 망자가 가족의 몸에 강신하게끔 한다. 손전은 잡신이나 망자의 혼이 내리게 하는 매개성물(媒介聖物)이 된다. 대나무가 신의 몸 즉, 신체(神體)로 상징된다면 [한지](/topic/한지)는 신체를 감싸는 옷을 의미한다. 한지는 신에게 바치는 일종의 예단이다. 손전은 호남 지역과 경상도 지방에서 ‘손대’라고 불리는 신간과 같은 기능을 한다.
참고문헌[남해안별신굿](/topic/남해안별신굿) 종합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6)
남해안별신굿 (하효길,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경상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무속의 물질문화 연구 (최진아,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형태손전은 가는 대나무의 일종인 신우대와 [한지](/topic/한지)가 주재료이다. 대나무는 잎을 제거하지 않은 채 사용한다. 한지는 흰 종이나 색지가 재료가 된다. 한지를 일정한 크기로 잘라 여러 번 접어 가위로 문양을 오린 뒤 이것을 펼쳐서 감거나 걸어둔다.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손대와 형태는 동일하지만, 대나무의 수술은 적은 편이다. 길이는 제작자마다 다르지만, 손에 들고 의례를 진행하는 지물(持物)이라는 점에서 그 크기가 60~70㎝ 이상은 넘지 않는다. 어른 손으로는 크기가 다섯 뼘쯤 된다. 굿을 할 때마다 제작하며, 의례가 끝나면 소각한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