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풀이

한국무속신앙사전
성주풀이
가택신(家宅神)인 성주신(城主神)과 그 부인인 터주신의 내력을 이야기하는 무가(巫歌) 또는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 새로 집을 지었거나 [이사](/topic/이사)한 경우 집의 신인 성주신을 모시는 굿을 하거나 [독경](/topic/독경)(讀經)을 할 때 부르거나 읽는 것이 성주풀이이다. 일반적으로 성주신은 집의 주인인 남성을 보호하는 신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집의 주재신이 된다. 이에 따라 성주신은 [대청](/topic/대청)의 [대들보](/topic/대들보) 위에 모셔진다. 지역에 따라 성조푸리, 성조풀이, 성주본가, 성조신가 등의 이칭이 있지만 성주풀이가 널리 받아들여지는 명칭이다.
definition
가택신(家宅神)인 성주신(城主神)과 그 부인인 터주신의 내력을 이야기하는 무가(巫歌) 또는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 새로 집을 지었거나 [이사](/topic/이사)한 경우 집의 신인 성주신을 모시는 굿을 하거나 [독경](/topic/독경)(讀經)을 할 때 부르거나 읽는 것이 성주풀이이다. 일반적으로 성주신은 집의 주인인 남성을 보호하는 신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집의 주재신이 된다. 이에 따라 성주신은 [대청](/topic/대청)의 [대들보](/topic/대들보) 위에 모셔진다. 지역에 따라 성조푸리, 성조풀이, 성주본가, 성조신가 등의 이칭이 있지만 성주풀이가 널리 받아들여지는 명칭이다.
mp3Cnt
0
wkorname
조현설
정의가택신(家宅神)인 성주신(城主神)과 그 부인인 터주신의 내력을 이야기하는 무가(巫歌) 또는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 새로 집을 지었거나 [이사](/topic/이사)한 경우 집의 신인 성주신을 모시는 굿을 하거나 [독경](/topic/독경)(讀經)을 할 때 부르거나 읽는 것이 성주풀이이다. 일반적으로 성주신은 집의 주인인 남성을 보호하는 신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집의 주재신이 된다. 이에 따라 성주신은 [대청](/topic/대청)의 [대들보](/topic/대들보) 위에 모셔진다. 지역에 따라 성조푸리, 성조풀이, 성주본가, 성조신가 등의 이칭이 있지만 성주풀이가 널리 받아들여지는 명칭이다.
讲述家宅神“[城主](/topic/城主)神”与其夫人“地神”来历的巫歌或[巫俗神话](/topic/巫俗神话)。

“城主解”是在新建房屋或搬家时举行的供奉家神城主神的[巫祭](/topic/巫祭)或[诵经](/topic/诵经)。城主解有两种类型,分别是京畿道南部地区传承的“黄宇阳君”类型和釜山东莱地区传承的“安心国”类型,两种类型虽然都是讲述通过天与地的结合使城主神诞生的故事,但内容上有相当大的差别。黄宇阳君类型以天下宮“千代木神”和地下宮“地脱夫人”生下黄宇阳君为故事的开始,孩子长大结婚后,某天突然吹来一阵东风,使天下宫倾斜。宫一倾斜,守护宫殿的城主神也不知所踪。为了解决这一问题,被点名的人就是生活在地下宫黄山下的黄宇阳君。此时黄宇阳君的夫人用从天下宫得来的铁给因没有工具而苦恼的黄宇阳君制成木匠工具。并且夫人嘱咐离开天下宫的黄宇阳君,让他在去的路上不要顶撞任何人的话。但黄宇阳君被卷入“苏镇郎”的诡计中,与其斗嘴,最终连衣服都与之换穿。黄宇阳君继续去往天下宫,而苏镇郎穿着黄宇阳君的衣服回到家中,谎称自己是黄宇阳君,企图抢占他的夫人。每当这时,夫人都使出计谋进行躲避。

此时黄宇阳君在做梦之后了解了变故,急忙处理好事情返家。回到家中读了夫人藏起来的血书,知道了事情始末的黄宇阳君,变身成鸟,藏在夫人的裙子里捉住苏镇郎关在石函中后,为其赋予“[守郎](/topic/守郎)神”(音)的头衔。并且黄宇阳君从夫人那里听说她学会了养蚕织布的本领,为夫人赋予“地神”的头衔,自己成为了城主神。

安心国类型中,主人公名叫“安心国”,号“成造”。他看到地下宫里没有房子,播撒松树种子,准备了建造房屋的木材。但因放浪于酒色,谪迁后好不容易才被释放,来到地下宫伐木造房。建好房屋后成为了城主神。

城主解神话根本上讲述的是有关家庭基础夫妻关系的故事。这与城主解主要是在新建房屋或搬家后为供奉城主神进行的巫祭中所唱的巫歌这一事实有关。家是生活的根基,在家中生活的人们通过夫妻关系构成家庭。因此,这一巫俗神话通过讲述良好的夫妻关系,起到将祈求新家生活安宁的巫祭进行正当化的作用。总而言之,其寓意在于,经受了考验的夫妻也分别成了城主神和地神,只要好好供奉家神,就能实现家庭的平安。
“Seongjupuri” is a shamanic myth or epic song that chronicles the history of house guardian god [Seongju](/topic/HouseGuardianGod) and his wife Jisin the land goddess.

The song is performed or recited as part of shamanic rituals held for Seongju upon moving into a new home or to mark the completion of a newly constructed house. This narrative has been preserved in two different versions: The Hwanguyang type from the northern parts of Gyeonggi Province and the Ansimguk type from the Busan area. Both tell the story of the genesis of the deity Seongju through the union between heaven and earth, but they differ greatly in detail.

The Hwanguyang type begins with the birth of Hwanguyang between Cheondaemoksin of the Palace Under Heaven and Lady Jital of the Palace Underground. The baby grew up and married, and one day a sudden east wind blew, battering the Palace Under Heaven into decline, and the palace’s guardian deity Seongju disappeared as well. The person summoned to solve this problem was Hwanguyang, who was living at the foot of Mt. Hwangsan in the Palace Underground. Since he did not have carpentry tools, his wife had them made for him, using metal she had received from the Palace Under Heaven. Seeing him off, she instructs him never to talk back to anyone on his way to the palace. But Hwanguyang falls for [[Soji](/topic/BurningofSacredText)](/topic/Soji)nnang’s scheme and while engaged in a conversation, agrees to switch clothes with him. While Hwanguyang continues to travel to the Palace Under Heaven, Sojinnang heads to the Palace Underground in Hwanguyang’s clothes and attempts to take his place as husband, but Hwanguyang’s wife manages to keep him out by outwitting him. Hwanguyang learns of this situation in his dream and rushes back home upon completing his work. He finds a note that his wife has written in blood and finds out what has been happening, and transforms into a bird to hide under his wife’s skirt and succeeds in capturing Sojinnang. He locks the captive in a stone box and gives him the title of [[Seonang](/topic/VillageGuardianDeity)](/topic/Seonang) (Village Guardian Deity). Upon hearing that his wife has acquired the skill of breeding silkworms and spinning silk, he gives her the title of Jisin, the land goddess, and himself takes on the title of house guardian god Seongju.

In the Ansimguk type of the “Seongjupuri” narrative, the husband’s name is Ansimguk, also known as Seongjossi. When he learns that there is no house for him in the Palace Underground, he plants pine nuts for lumber. He falls into debauchery, however, which sends him into exile and upon his return to the Palace Underground, cuts down the pine trees and builds his house. Upon completion of the house, he takes on the title of Seongju.

“Seongjupuri” myth is fundamentally a narrative about husband and wife, the foundation of famil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its function as a song performed in shamanic rituals for worshipping the house guardian god of a new home. By telling the story of a husband and wife that overcome trials and become a house guardian deity and a land goddess, this myth gives significance to rituals that pray for the fortunes of a family.
___Seongjupuri___ se refiere a un mito chamánico o canto épico que hace una crónica de la historia en cuanto al dios tutelar del hogar, [Seongju](/topic/DiosProtectordelHogar) y su esposa Jisin, la diosa de la tierra.

El ___seong jupuri___ es efectuado o recitado como parte de los rituales chamánicos que tienen lugar para adorar a Seongju cuando una familia se muda a una casa nueva o se termina la construcción de una casa. Este canto narrativo se conserva en dos diferentes versiones: el tipo de Hwanguyang en la parte norteña de la provincia de Gyeonggi-do y el tipo de Ansimguk en las áreas de Busan. Ambos tipos cuentan la historia del génesis de la deidad Seongju, a través de la unión entre el cielo y la tierra, pero ellos difieren enormemente en los detalles. El tipo de Hwanguyang comienza con el nacimiento de Hwanguyang entre Cheondaemoksin del Palacio Bajo el Cielo y la Señora Jital del Palacio Subterráneo. El bebé ya creció y se casó, y un día, el Palacio Bajo el Cielo se inclinó por el viento que soplaba desde el este de manera repentina, justo después, la deidad guardiana del Palacio desapareció. Entonces, es Hwanguyang quien fue citado para resolver este problema. En aquel entonces, Hwanguyang vivía en el pie del monte Hwangsan ubicado en el Palacio Subterráneo. Como él no tenía herramientas de carpintería, su esposa utilizó los materiales metálicos proporcionados por el Palacio Bajo el Cielo con el fin de hacer herramientas para Hwanguyang. Despidiéndose de Hwanguyang, su esposa le dijo a su esposo que nunca hablara con nadie en su viaje al Palacio Bajo el Cielo. Sin embargo, Hwanguyang fue engañado por [[Soji](/topic/Actodequemadeltextosagrado)](/topic/Soji)nnang, que tuvo una conversación con ese hombre desconocido, al final, intercambió la ropa con él. Después de todo esto, Hwanguyang continuó viajando hacia el palacio, mientras tanto, Sojinnang, vestido de la ropa de Hwanguyang se dirigió al Palacio Subterráneo para tomar el lugar de Hwanguyang. Pero, la esposa de Hwanguyang lo mantenía alejado siendo más lista que Sojinnang. Hwanguyang vio lo que había pasado en su casa en el sueño, se apresuró a regresar a casa tan pronto como completó su misión. Al llegar a casa, él encontró una nota que su esposa había escrito con su sangre y se dio cuenta de lo que había ocurrido. Entonces Hwanguyang se convirtió en un ave para esconderse bajo la falda de su esposa y logró atrapar a Sojinnang. Hwanguyang encerró al detenedor en una caja de piedra y le dio el nombre de un dios tutelar del pueblo, [[Seonang](/topic/Deidadguardianadelatierrayelpueblo)](/topic/Seonang)sin. Al enterarse de que su esposa tenía la habilidad de criar gusanos de seda e hilar la seda, Hwanguyang le nombró Jisin que significa “diosa de la tierra”, y se nombró a sí mismo dios guardián del hogar, Seongju.

En el tipo de Ansimguk del canto épico ___seong jupuri___, el nombre de esposo es Ansimguk, conocido también como Seongjossi. Cuando él se enteró que no tenía la casa para él en el Palacio Subterráneo, él sembró piñones de pino para obtener madera. No obstante, cometió actos indecentes, por lo que lo enviaron al exilio. Cuando Ansimguk regresó al Palacio Subterráneo, él cortó los pinos y construyó una casa para él. Al completar la construcción de la casa, Ansimguk se nombró a sí mismo Seongju.

El mito de ___seong jupuri___ es fundamentalmente un relato en cuanto a un esposo y una esposa, son la base fundamental de la familia, que se relaciona estrechamente con su función como un canto efectuado en los rituales chamánicos para venerar a la deidad guardiana del hogar de una nueva casa. Este mito proporciona un significado a los rituales para que Seongju atraiga la buena fortuna en la familia por medio de contar la historia de un esposo y esposa que supera las pruebas y llegan a ser las deidades protectoras del hogar.
내용지금까지 보고된 에는 두 [가지](/topic/가지) 유형이 있다. 경기도 남부 지역에서 전승되는 황우양씨 유형과 부산 동래 지역에서 전승되는 안심국 유형이다. 황우양씨 유형의 자료 가운데 가장 일찍 채록된 판본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와 아키바 다카시(秋葉隆)가 편찬한 「[조선무속의 연구](/topic/조선무속의연구)(朝鮮巫俗の硏究)」에 수록되어 있는 이다. 이 자료는 경기도 고양시 용인면 아현리의 이성녀 무녀가 제보한 것이다. 이 밖에도 황우양씨 유형에 속하는 경기도 안성의 남무(男巫) 송기철이 [구연](/topic/구연)한 [성주굿](/topic/성주굿) 무가(안성본)가 『한국구비문학대계(韓國口碑文學大系)』 1-6(조희웅 조사 정리)와 『안성무가』(서대석ㆍ박경신 조사 정리)에 실려 있다. 안심국 유형은 손진태의 「[조선신가유편](/topic/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에 실려 있다. 이것은 1925년 12월 동래군 구포면 구포리에 살고 있던 최순도가 제공한 무가 책을 전사한 것으로, 제보자는 당시 경상남도 맹인조합장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두 유형 외에도 경북 안동 지역에서 성주를 [봉안](/topic/봉안)할 때 부르는 성주풀이가 있지만 [민요](/topic/민요)적 성격이 강하고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적 성격은 약하다.

두 가지 유형 모두 하늘과 땅의 결합을 통해 성주신의 탄생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내용은 상당히 다르다. 황우양씨 유형은 천하궁 천대목신과 지하궁 지탈부인 사이에서 한 아이가 태어나는 것으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아이가 성장하고 결혼한 뒤 어느 날 난데없이 동풍이 불어와 천하궁이 기울어진다. 궁이 기울자 궁을 수호할 성주신도 사라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명된 존재가 지하궁 황산 아래에 사는 황우양씨이다. 이때 연장이 없어 고민하는 황우양씨에게 부인이 천하궁에서 받은 쇠로 대목 연장 일습을 만들어 준다. 그리고 부인은 천하궁으로 떠나는 황우양씨에게 가는 길에 누구에게도 말대꾸를 하지 말라는 금기를 준다. 그러나 황우양씨는 소진뜰에 사는 소진랑의 꾀에 휘말려 말대꾸하다가 옷까지 바꿔 입게 된다. 황우양씨는 천하궁으로 떠나고 소진랑은 황우양씨의 옷을 입고 돌아와 남편이라고 속이면서 부인을 차지하려 한다. 그때마다 부인이 꾀를 내어 소진랑을 피하는 사이에 황우양씨는 꿈을 꾼 뒤 점을 쳐 변고를 알게 되어 급히 일을 마치고 돌아온다. 집으로 돌아와 숨겨둔 부인의 혈서를 읽고 사정을 알게 된 황우양씨는 새[鳥]로 변신해 부인의 [치마](/topic/치마)폭에 숨어든 뒤 소진랑을 잡아 돌함에 가둔 다음 그에게 [서낭신](/topic/서낭신)의 신직을 준다. 그리고 부인으로부터 누에를 길러 베를 짜는 재주를 배웠다는 말을 들은 황우양씨는 부인에게 지신(地神)의 신직을 주고 자신은 성주신이 된다.

안심국 유형은 고전소설의 도입부처럼 시작된다. 천궁대왕과 옥진부인은 늙도록 자식이 없어 기자치성을 드린 뒤 [태몽](/topic/태몽)을 꾸고 아들을 낳는다. 관상객에게 아들을 보이니 부인을 소박하고 18세 때 무인도 [황토](/topic/황토)섬에 3년 동안 귀양을 갈 관상이라고 한다. 이름은 태몽대로 안심국, 별호는 성조씨라고 짓는데 자라는 동안 일취월장하여 나이 15세가 되자 무불통지(無不通知)한 인물이 된다. 그때 성조씨가 지하궁에 집이 없는 것을 보고 집을 지으려고 내려간다. 그러나 쓸 나무가 없자 옥황에게 고하여 솔씨를 받아 뿌린 뒤 천궁으로 돌아온다. 18세에 계화부인과 결혼했으나 부인을 박대한다. 성조씨가 주색방탕(酒色放蕩)에 빠져 있다고 간신들이 주달하자 천궁대왕은 그를 황토섬에 귀양을 보낸다. 황토섬에서 짐승처럼 살다가 계화부인에게 혈서를 써서 청조(靑鳥)를 통해 전한다. 이에 귀양에서 해제되어 3년 만에 입궐, 다시 계화부인을 만나 5남 5녀를 낳는다. 그 뒤 나이 70세, 솔씨를 심은 지 49년 만에 자식들을 거느리고 지하궁에 내려와 쇠를 마련하여 각종 연장을 만든 후 나무를 베어 집을 짓는다. 집을 다 지은 후 성조씨는 [입주](/topic/입주) 성조, 계화부인은 몸주 성조, 성조 아들은 오토지신(五土地神), 딸은 오방부인(五方婦人)의 신직을 각각 차지한다.
의미신화는 근본적으로 가족의 [기초](/topic/기초)인 부부관계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는 가 주로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topic/이사)를 한 뒤 성주신을 모시는 굿에서 부르는 무가라는 사실과 관계가 있다. 집은 삶의 터전이고, 집 안에서 삶을 사는 이들은 부부라는 관계를 통해 가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는 바람직한 부부관계를 이야기함으로써 새 집에 사는 가족의 안녕을 비는 굿을 정당화하는 구실을 한다. 요컨대 시련을 이긴 부부가 각각 성주신과 터주신이 되었으니 [가신](/topic/가신)(家神)을 잘 모시면 가정의 평안도 이루어지리라는 뜻이다. 그런데 이런 뜻을 구현한 형식인 무속신화에는 유형에 따라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

두 유형 가운데 더욱 주목되는 것은 황우양씨 유형이다. 이 유형에는 서사가 진행되면서 부인의 위상 변화가 뚜렷하게 드러날 뿐 아니라 신격으로 좌정하는 과정에서 이질적 문화의 대립과 공존이 선명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황우양씨 유형의 이야기에서 중요한 공간은 소진랑이 사는 소진뜰이다. 천하궁과 지하궁 사이에 존재하는 경계적 공간인 이곳을 거치면서 황우양씨와 부인 간의 관계는 극적으로 변모된다. 황우양씨는 천지의 결합으로 태어난 영웅적 인물임에도 천하궁의 부름 앞에서 연장 문제로 쩔쩔맨다. 이때 연장을 마련하는 존재는 이름도 분명하지 않은 부인이다. 이들 부부관계에서는 부인이 우월하다. 부인은 우월할 뿐 아니라 쇠를 다루는 대장장이의 모습까지 보여준다. 그러나 천하궁을 다시 세운 뒤 소진뜰에서 수난 당하고 있는 부인을 구한 황우양씨의 태도는 달라진다. 즉 부인의 재주를 시험하는 우월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반면에 부인은 [양잠](/topic/양잠)(養蠶)과 베 짜기 능력을 시험 받는 위치에 선다. 다시 말해 부인의 소진뜰 수난과 황우양씨의 천하궁 보수를 거치면서 부부의 위계가 역전되는 것이다. 황우양씨는 확고한 가부장의 지위를 획득한다. 또 이야기의 종결부에서 황우양씨와 부인은 가신(家神)이 되는 반면에 소진랑은 [서낭신](/topic/서낭신)이 되어 행인들의 침을 받아먹고 들짐승을 사냥하여 먹게 된다. 이런 신직의 배치를 통해 우리는 수렵이동 문화에서 농경정주 문화로의 변모와 두 문화의 대립 및 공존을 읽을 수도 있다.

황우양씨 유형과는 달리 안심국 유형은 처음부터 가부장인 안심국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안심국의 문제는 탁월한 인물로 태어나 열다섯 살에 무불통지할 정도가 되었지만 결혼 뒤에 계화부인을 박대했다는 데 있다. 이유는 분명하게 서술되어 있지 않지만 주색방탕이라는 간신들의 모함 속에 드러나 있다. 가부장의 주색과 방탕이 안심국 가정의 문제적 상황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련의 과정이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황토섬의 유배생활이다. 이 [통과의례](/topic/통과의례)를 거친 뒤 안심국은 주색방탕을 잊고 나이 일흔이 될 때까지 5남 5녀를 둘 정도로 부인과 원만하게 산다. 통과의례 이전에는 지하궁에 집을 지으러 내려갔어도 집을 지을 수가 없었다. 쓸 나무가 없었다는 것은 가부장의 자질을 아직 충분히 갖추지 못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통과의례 이후에는 소나무를 재목 삼아 집을 잘 짓는다. 그런데 이 같은 이야기 전개 과정에서 주인공은 단연 안심국이다. 철을 마련하여 연장을 만드는 존재도 안심국이고 집을 짓는 것도 안심국이다. 계화부인은 그저 울거나 청조가 물고 온 안심국의 편지를 시아버지 천궁대왕에게 전달하는 수동적인 역할만 수행한다. 황우양씨 유형에서 보이는 부인의 적극적인 형상이 안심국 유형에는 보이지 않는다. 더 철저하게 가부장제를 반영한 가 안심국 유형이다.
참고문헌서사무가 1 (서대석ㆍ박경신 역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한국신화의 연구 (서대석, 집문당, 2001)
우리 신화의 [수수](/topic/수수)께끼 (조현설, 한겨레출판, 2006)
唐書
三國遺事
法苑珠林
東國歲時記
전통무용문화연구회진도씻김굿정병호1979
국립민속박물관·전라남도진도무속현지조사-채씨자매를 중심으로1988
집문당월명사의 신분과 향가작품의 관계나경수1995
집문당월명사도솔가의 불교설화적 관점홍기삼199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논문진도 씻김굿의 물질문화 연구최진아1999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경상도2005
성주고사
3115
성주고사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