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

한국무속신앙사전
성수
영험한 무당이 죽어서 된 신. 무당의 영험함을 담당하며, 무업의 번창을 도와준다. 또 집안의 재앙을 물리치고 집안의 번창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성수라 불리는 신격에는 그 하위에 성수님, 여성수, 남성수, 대신(大神), 대신마누라, 대신할머니, 성수마누라, 성수할머니, [만신](/topic/만신)할머니, [조상대](/topic/조상대)신 등 여러 다른 이름이 있다.
definition
영험한 무당이 죽어서 된 신. 무당의 영험함을 담당하며, 무업의 번창을 도와준다. 또 집안의 재앙을 물리치고 집안의 번창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성수라 불리는 신격에는 그 하위에 성수님, 여성수, 남성수, 대신(大神), 대신마누라, 대신할머니, 성수마누라, 성수할머니, [만신](/topic/만신)할머니, [조상대](/topic/조상대)신 등 여러 다른 이름이 있다.
mp3Cnt
0
wkorname
허용호
정의영험한 무당이 죽어서 된 신. 무당의 영험함을 담당하며, 무업의 번창을 도와준다. 또 집안의 재앙을 물리치고 집안의 번창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성수라 불리는 신격에는 그 하위에 성수님, 여성수, 남성수, 대신(大神), 대신마누라, 대신할머니, 성수마누라, 성수할머니, [만신](/topic/만신)할머니, [조상대](/topic/조상대)신 등 여러 다른 이름이 있다.
내용성수는 무당이 죽어서 된 신이다. 무당의 영험함을 관장하며, 집안의 재앙을 물리치는 기능도 한다. 또한 집안의 번창과 무업의 번창을 도와준다. 무당들은 자신의 스승을 신으로 섬긴다. 특히 황해도 무당들은 스승이 죽으면 신으로 모신다. 이렇게 신으로 모셔진 스승 무당을 성수라고 한다. 무신도를 통해 표현된 성수는 무당이 죽어서 된 신임을 그대로 보여 준다. 무당이 굿을 할 때 사용하는 성수부채를 오른손에 들고, 왼손에는 아흔아홉 [상쇠](/topic/상쇠)방울과 바라를 줄로 연결한 줄바라를 든 모습을 하고 있다. 성수의 옷도 무당들이 입는 옷이며, [모자](/topic/모자)도 무당이 굿을 할 때 쓰는 꽃갓을 쓴다. 성수가 그려진 무신도를 보면 오른쪽에 장구를 치는 상장구 할머니가 자리하고 있고, 왼쪽에는 징을 두드리는 징 할머니가 앉아 있다. 이들 역시 굿을 할 때 필수적인 인물들이기 때문에 함께 그려진 것이다. 성수 뒤편에는 신 내린 무당임을 나타내는 명두가 벽에 걸려 있다.
지역사례성수는 영험이 있는 무당이 죽어서 된 신이자 무당들이 돌아가신 자신의 스승을 신격화한 것이다. 만일 박씨 성의 신아버지를 모시면 박씨 성수, 이씨 성의 신어머니를 모시면 이씨 대신마누라, 김씨 성의 신할머니를 모시면 김씨 대신할머니가 각각 된다. 그러다 보니 성수 관련 신격은 계속 늘어나며 이들의 이름이 다양한 것도 여기에서 기인한다.

성수님은 성수의 존칭이다. 여성수는 여자 무당이 죽어서 신격화된 것이며, 남성수는 남자 무당인 [박수](/topic/박수)가 죽어서 신이 된 것이다. 무신도에 그려진 여성수와 남성수를 구분하는 방법은 성수의 얼굴에 수염이 있으면 남성수, 머리 뒤에 [쪽머리](/topic/쪽머리)가 있으면 여성수이다. 대신은 무당을 의미하는 것으로 역시 무당이 신격화된 것을 말하며, 대신마누라와 대신할머니는 여자 무당이 신격화된 것이다. 대신할머니의 경우 여자무당으로서 나이가 많은 할머니이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대신할머니를 모실 때는 무당이 입는 [무복](/topic/무복)을 입고 왼손에 아흔아홉 [상쇠](/topic/상쇠)방울과 오른손에 성수부채를 들고서 무가를 부른 후 할머니가 강림하면 춤을 흥겹게 춘다. 대신할머니는 누구보다도 무당의 마음을 잘 알아주는 신격으로 알려져 있다. 성수마누라는 대신마누라, 성수할머니와 만신할머니는 대신할머니와 각각 같은 의미이다. [조상대](/topic/조상대)신이라는 명칭은 대신이 무당인 동시에 조상으로 대접을 받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조상대신은 무당이라면 누구나 모신다.
참고문헌한국 무속신 고찰 (양종승, 몽골학 4, 1996)
무신도 ‘성수’의 신적 정체성과 의미 분석 (이세나, 생활문물연구 8, 국립민속박물관, 2003)
國朝五禮儀
高麗圖經
增補文獻備考
世宗實錄
국립민속박물관큰무당 우옥주 유품1995
국립민속박물관한국의 무속-서울·황해도편1999
도서출판 民俗苑한국의 굿하효길 외2002
한국무속학회황해도 굿에 쓰이는 종이 신화와 신구의 종류, 형식, 상징성 고찰양종승2006
남성수
64806
남성수
대신마누라
64792
대신마누라
구성수
64811
구성수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