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쇠

한국무속신앙사전
작은 놋대접을 엎어 놓은 모양의 제주도 무속 타악기.
definition
작은 놋대접을 엎어 놓은 모양의 제주도 무속 타악기.
mp3Cnt
0
wkorname
김헌선
정의작은 놋대접을 엎어 놓은 모양의 제주도 무속 타악기.
巫俗仪礼中使用的乐器。

通常巫术都伴有音乐。巫俗音乐使用杖鼓,铙钹,筚篥,横笛(大笒),奚琴(类似二胡—译注),小锣,鼓,黄铜鼓等乐器。京畿道北部使用杖鼓,铙钹,筚篥,横笛(大笒),奚琴;京畿道南部,忠清道及全罗道等地使用杖鼓,锣,小锣,筚篥,横笛(大笒),奚琴。

咸镜道和平安道主要使用杖鼓,锣,铙钹等,有时也会使用小锣,这一点与黄海道的巫乐类似。

在济州岛则使用多种打击乐器,主要有杖鼓,鼓,daeyeong,黄铜鼓等。黄铜鼓是济州岛尤为重视的打击乐器,形如反扣的黄铜大碗。将小鼓扣在柳条盘上,用两支鼓槌随节拍敲打演奏。

巫俗中随节拍演奏的乐器有铙钹(钹)。铙钹是与佛教相关的巫祭祭程中的重要巫祭用具。钹由黄铜制成,直径约20 ~ 30 厘米,相比寺院用的略小。钹皆为成对,是仅次于杖鼓的主要巫乐器,同时也是巫祭用具,由神子从神父母处继承,或由巫师亲自购买。
Muakgi is a term that refers to the wide range of musical instruments used in a shamanic ritual.

Music accompanies almost all shamanic rituals, performed on janggu (hourglass drum), bara (small cymbals), piri (reed flute), daegeum (large bamboo flute, also called jeotdae), haegeum (two-stringed zither), kkwaenggwari (small gong), buk (small drum), seolsoe (bowl-shaped gong) and other instruments.

In the northern parts of Gyeonggi Province, janggu, jing (gong), bara, piri, haegeum and daegeum are played, while in the province’s southern parts and i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janggu, jing, kkwaenggwari, piri, haegeum and daegeum are used. In Hamgyeong and Pyeongan provinces, janggu, jing and bara are mostly featured, and sometimes also kkwaenggwari, which is a similar to the shamanic music of Hwanghae Province.

On Jeju Island, a wide range of percussion instruments are used, including janggu, buk, daeyeong (gong), and seolsoe, an important percussion instrument in Jeju shamanic music, looks like a small brass bowl turned upside down on a basket and is beaten with two metal sticks.

The cymbals-like instrument bara, also called jegeum, is generally used to keep time in shamanic music, and featured as a main instrument in ritual segments that are related to Buddhism. Made of brass, they are between 20 and 30 centimeters in diameter, slightly smaller than the ones used in Buddhist temples. Bara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shamanic instruments, second only to janggu, and is either passed down from the spirit parent to the spirit child, or purchased.
Muakgi es el término que se refiere a una amplia gama de instrumentos musicales utilizados en los rituales chamánicos.

La mayoría de los rituales chamánicos se suelen acompañar con una música interpretada con los instrumentos como el janggu (tambor con forma de reloj de arena), bara (platillos pequeños), piri (oboe coreano de bambú), daegeum (flauta larga de bambú), haegeum (cítara de dos cuerdas), kkwaenggwari (gong metálico pequeño), buk (tambor pequeño), seolsoe (gong en forma de tazón) y otros instrumentos. En las partes norteñas de la provincia de Gyeonggi-do, se utilizan el janggu, jing (gong), bara, piri, haegeum y el daegeum; mientras que en las partes sureñas de la misma provincia y la provincia de Jeolla-do, se tocan el janggu, jing, kkwaenggwari, piri, haegeum y daegeum.

En la provincia de Hamgyeong-do y la de Pyeongando, los instrumentos como el janggu y jing son básicos, y de vez en cuando se les añade el kkwaenggwari, lo que es similar a la música chamánica de la provincia de Hwanghae-do.

En la isla de Jeju-do, existe una amplia gama de los instrumentos musicales de percusión incluyendo el janggu, buk, daeyeong (gong) y seolsoe, el último es un instrumento de percusión importante en la música chamánica de dicha isla que se parece a un pequeño cuenco de bronce puesto boca abajo sobre una cesta y es tocado con dos baquetas metálicas.

Los platillos parecidos a bara se llaman jegeum, que sirven generalmente para marcar el ritmo para acompañar otros instrumentos como el principal instrumento en los segmentos de los rituales relacionados con el budismo. Estos son de latón y miden entre 20 y 30 centímetros de diámetro, ligeramente más pequeños que los utilizados en los templos budistas. Un par de platillos pequeños llamados bara se considera el segundo instrumento más importante en el ámbito del chamanismo, que el janggu es el más importante entre otros instrumentos musicales chamánicos. El instrumento musical bara puede heredarse de padre espiritual a hijo espiritual o ser comprado.
내용제주도에서는 여러 타악기가 쓰이는데, 장구, 북, 대영, 설쇠 등이 하나의 틀이 된다. 설쇠는 설쐬 또는 설쒜라고도 발음한다. 제주도의 설쇠는 긴요하게 취급하는 악기로 흔히 ‘쟁’이라고도 하며 ‘소제김’이라고도 한다.

설쇠의 생김새는 작은 놋대접을 엎어 놓은 형국이고, 이 설쇠를 [채반](/topic/채반) 위에다 엎어 놓고 쇳가락 두 개로 두드려서 [장단](/topic/장단)에 맞추어서 연주한다. 장단을 연주할 때 가장 먼저 치기 시작해서 가장 늦게 끝나는 것이 요체이다. 설쇠가락은 [무악](/topic/무악)기의 기본적인 가락을 연주하는 특징이 있다.

설쇠는 흔히 두 [가지](/topic/가지)로 구분되는데, 설쇠라는 몸체와 그 밑에 놓이는 ‘체’가 있다. 설쇠는 두드리는 부분의 지름이 14㎝, 두께는 6.5㎝, 시울의 지름은 13.5㎝이다. 설쇠는 보시(폭이 넓은 밥주발)’비슷한 것을 놓으며 그것을 뒤집어서 두드린다고 이해하면 된다.

체는 지름이 21㎝이고 두께가 6㎝이다. 체의 복판은 얇은 말총을 가지고 만들었으나, 오늘날에는 체의 말총 대신에 전기줄을 얽어서 거기에다 설쇠를 얹어서 두드리는 것이 예사이다.

설쇠는 금속 악기이고, 소리가 맑게 나기 때문에 그것을 나무 연장과 금속 연장을 합쳐서 연주해서 보여준다. 설쇠 역시 대양과 마찬가지로 [대장간](/topic/대장간)인 ‘불미항’에서 제작해서 온다. 설쇠의 채는 밧줄을 꼬아 만들고, 길이가 31㎝, 두께 손잡이 부분은 2㎝, 치는 쪽은 1.3㎝ 정도가 된다.

제주도 [연물](/topic/연물)은 자연적 재질을 가지고 와서 가공하는 1차적 가공물이 있으며, 이와는 다르게 제주도 연물을 특별하게 가공해서 다른 곳에 의뢰해서 만드는 2차적 가공물이 있다. 제주도 연물의 전통적 방식에 따르면 자체 제작에 의해 충당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추정이 타당하다면 제주도 심방 가운데 ‘불미항’을 전담하는 사람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육지, 특히 진도의 [세습무](/topic/세습무) 가운데 대장장이를 전업으로 하는 무당들이 있었던 전례에 입각하거나 샤먼이 대장장이 노릇을 했다는 전례에 따른다면 이러한 추정이 가능하다. 다만 그와 같은 물질적 전승 과정이 사라졌기 때문에 제주도 심방도 그러한 구실을 했을 것이라는 판단은 대단히 의문스러운 추정이 될 수밖에 없다.

제주도 연물은 육지의 무악기와는 다르게 독자적 방식으로 전승되고, 전통적으로 제작되어 왔을 가능성이 있다. 보편적 유형의 악기는 지역의 무풍에 의해서 독자적인 변형이 일어나는데, 그것을 제주도 연물이라는 지역 유형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제주도 연물은 명백하게 ‘손의 기억’에 의한 물질전승적 측면이 우세하다. ‘손의 기억’이 지니는 보편성이 전반적으로 물질전승을 새롭게 이룩한다. 물질 전승은 자신만의 독자성을 이룩하는 것만은 아니다. 다른 요소의 전승과 합쳐져 총괄적으로 이어진다.

설쇠는 구전신화인 에서는 이를 선성이 지니고 창조했다고 말한다. 이 신은 다른 신이 아니라 설쇠의 ‘느저왕 나저왕’이라고 한다. 그렇게 해서 신화적 전거와 함께 구비전승과 물질전승이 만나는 현상을 보여준다.

그러한 점에서 설쇠에 대한 기억은 매우 주목할 만한 공통점을 보여 준다. 설쇠에 대한 구음장단이 있어서 이를 종합적으로 보면 매우 중요하다. 삼석연물 장단을 칠 때에 ‘느꽝나꽝 어우러마짜(느진석)’과 ‘열두당번 열두당번(중판)’이라고 하거나, ‘갈라먹게 갈라먹게 고니낭들랑(강약)’이라고 발음한다. 이처럼 악기를 연주하기 앞서서 구전으로 설쇠를 가르치는 특징이 드러난다.
참고문헌제주도무속자료[사전](/topic/사전) (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朝鮮總督府朝鮮の巫覡村山智順1937
열화당제주민속의 멋 1, 2진성기1983
국립민속박물관제주도 무구 ‘울쇠’의 성격과 의의김헌선2002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