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도 무속음악

한국무속신앙사전
함경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속음악. 그러나 함경도의 무속음악이 알려진 것은 북청을 중심으로 하는 함경도 서남부 지역 무속음악뿐이고, 다른 지역의 무속음악 자료는 알려진 게 없어 불확실하다. 함경도 무가의 선율은 [메나리토리](/topic/메나리토리)가 주가 되고, 무의식 음악에 쓰이는 악기는 장구ㆍ징ㆍ바라 등이다. 무속음악 [장단](/topic/장단)에는 장구ㆍ절장구 등이 있으며, 소박이 2집합과 3집합으로 혼합되는 장단이 많다는 점에서 강원도ㆍ경상도의 동해안굿과 유사하다.
definition
함경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속음악. 그러나 함경도의 무속음악이 알려진 것은 북청을 중심으로 하는 함경도 서남부 지역 무속음악뿐이고, 다른 지역의 무속음악 자료는 알려진 게 없어 불확실하다. 함경도 무가의 선율은 [메나리토리](/topic/메나리토리)가 주가 되고, 무의식 음악에 쓰이는 악기는 장구ㆍ징ㆍ바라 등이다. 무속음악 [장단](/topic/장단)에는 장구ㆍ절장구 등이 있으며, 소박이 2집합과 3집합으로 혼합되는 장단이 많다는 점에서 강원도ㆍ경상도의 동해안굿과 유사하다.
mp3Cnt
0
wkorname
이보형
정의함경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속음악. 그러나 함경도의 무속음악이 알려진 것은 북청을 중심으로 하는 함경도 서남부 지역 무속음악뿐이고, 다른 지역의 무속음악 자료는 알려진 게 없어 불확실하다. 함경도 무가의 선율은 [메나리토리](/topic/메나리토리)가 주가 되고, 무의식 음악에 쓰이는 악기는 장구ㆍ징ㆍ바라 등이다. 무속음악 [장단](/topic/장단)에는 장구ㆍ절장구 등이 있으며, 소박이 2집합과 3집합으로 혼합되는 장단이 많다는 점에서 강원도ㆍ경상도의 동해안굿과 유사하다.
내용함경도 무가의 주선율 토리는 [메나리토리](/topic/메나리토리)이다. 이 점은 강원도, 경상도 지역의 무가 특성과 유사하다. 메나리토리 선율틀의 구성음은 Mi, Sol, La, do, re이며 주요 음이 Mi, La, do로 4도+단3도 구조로 되어 있다. 종지음은 Mi나 La로 나타난다. [시김새](/topic/시김새)는 Mi에서 떠는 목(요성)을 쓰며, re에서 do로 흘러내리는 목(퇴성)을 쓴다.

함경도 무의식 음악에는 장구, 징, 바라 등이 주로 쓰인다. 본토의 함경도굿 장구는 알 수 없으나 현재 쓰는 것은 서울굿의 여느 장구와 같다. 오른손에는 열채, 왼손에는 방망이를 각각 쥐고 친다. 열채는 변죽을 치기도 하고 복판을 치기도 한다.

함경도굿의 장단은 호세미가 ‘무슨 무슨 장기’라는 형태로 이른다. 장단에는 청배장기, 산애짓[기장](/topic/기장)기, 전채질장기, 드러치기장기, 도속잡기장기, 예주게장기 등이 있다. 이 장단들은 대부분 소박이 2소박과 3집합이 혼합집합되는 박자가 많다는 점에서 동해안굿의 장단과 유사하다.

1. 청배장기(청배장단): 함경도 무의식에서 무가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 청배장기라는 말은 무의식에서 청배 절차, 즉 신을 청하는 절차에서 불리는 장단이라는 뜻이다. 장기는 장구라는 함경도 사투리이다. 함경도 청배장기의 장단 주기는 2소박 8박이다. 장구 반주는 ‘덩덩덩덩…’ 하고 소박을 지속적으로 친다. 집굿인 간지풀이 또는 넋굿인 망묵의 첫째 거리인 청배와 둘째 거리인 토색굿의 청신 절차에서 연주된다.

2. 상애짓기장기: 함경도 무의식에서 무무(巫舞)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 신선굿, 대감굿과 같은 거리의 청신 절차에 쓰인다. ‘상애 짓는다’는 신을 청한다는 뜻으로 풀이되며, ‘상애 짓는 장기’는 신을 청하는 장단이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3. 전채질장기: 함경도 무의식에서 무무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 상애짓기를 하고 나서 전채질로 치는 장단이다. 소박이 혼합된 장단이다.

4. 도속잡기(도솔잡기)장기: 함경도 무의식에서 무무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 상애 짓고 도속잡을 때 치는 장단이다. 소박이 혼합된 장단이다.

5. 들어치는 장기: 함경도 무의식에서 무무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 상애 짓고 도속 잡고 들어 치며 치는 장단이다. 소박이 혼합된 장단이다.

6. 예주게 장기(여주끼 장기): 함경도 무의식에서 무무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 조상굿, 대감굿에서 호세미가 춤을 출 때 쓰는 반주 장단이다. 조금 느린 3소박 4박자로, 느린 [굿거리장단](/topic/굿거리장단)에 맞는다.

7. 천수(왕당천수)장기: 함경도 무의식에서 무무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 2소박과 3소박이 2ㆍ3ㆍ2ㆍ3ㆍ2ㆍ3ㆍ2ㆍ3으로 혼합된 8박자이다. 함경도 망묵의 왕당천수고리에서 쓰이는 것이 천수장기이다. 왕당천수거리에서 천수장기는 천수경을 낭송할 때 반주되는 천수장기와 무가를 부를 때의 천수장기가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천수장기는 무가의 반주로 연주되는 장단을 말한다.

8. 열락장기([화청](/topic/화청)장기): 함경도 무의식에서 무무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 함경도 넋굿인 왕당천수에서 화청 [백발가](/topic/백발가)를 부를 때의 장단이다. 서울 화청 장단과 같이 2소박과 3소박이 혼합된 장단이다.

9. 정적기장기(덩덕궁이장단): 함경도 무의식에서 쓰이는 무무 장단. 정적기장기는 ‘덩덕궁이장구’, 장구는 ‘장단’이라는 뜻이다. 덩덕궁이장단과 같이 3소박 4박이다. 정적기장기는 함경도 무의식 망묵의 문열이천수에서 [바라춤](/topic/바라춤), 왕당천수에서 바라춤, 오랑축원에서 [쾌자](/topic/쾌자)춤의 반주 장단으로 쓰인다.

10. 앉은굿 장기: 함경도 무의식에서 무무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 함경도 넋굿인 망묵의 동갑접기거리에서 불리는 무가의 반주 장단이다. 앉아서 무가를 부르며 손수 장단을 치는 장단이라는 뜻으로 ‘앉은굿 장기’라 이른다. 3소박과 2소박이 혼합된 8박이다.

11. 대내리는 장기: 함경도 무의식에서 무무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 글자 그대로 망자의 혼을 대에 내릴 때 치는 장단이다.

12. [불림](/topic/불림)장기: 함경도 무의식에서 무무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

13. 논놀이 장기: 함경도 무의식에서 무무의 반주로 쓰이는 장단. 도량춤을 출 때 치는 장단이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