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함박

한국무속신앙사전
산함박
산에 피는 꽃이라 하여 산함박이라고 하며 설개화라 불리기도 한다.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굿에서 ‘길대부인이 태자를 낳으면 입힐 옷을 준비했는데 팔에 함박꽃을 수놓았다’고 할 만큼 함박꽃은 귀하고 아름다운 지화로 지칭된다.
definition
산에 피는 꽃이라 하여 산함박이라고 하며 설개화라 불리기도 한다.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굿에서 ‘길대부인이 태자를 낳으면 입힐 옷을 준비했는데 팔에 함박꽃을 수놓았다’고 할 만큼 함박꽃은 귀하고 아름다운 지화로 지칭된다.
mp3Cnt
0
wkorname
심상교
정의산에 피는 꽃이라 하여 산함박이라고 하며 설개화라 불리기도 한다. [바리데기](/topic/바리데기)굿에서 ‘길대부인이 태자를 낳으면 입힐 옷을 준비했는데 팔에 함박꽃을 수놓았다’고 할 만큼 함박꽃은 귀하고 아름다운 지화로 지칭된다.
내용꽃은 전체적으로 붉은색이며 끝부분이 흰색으로 [염색](/topic/염색)되어 있다. 붉은색 꽃에 흰눈이 얇게 내려 앉은 모습이다. 지화 제작자는 이 색을 ‘두백(벽)색’이라고 부른다. 두백색은 머리쪽은 [한지](/topic/한지) 그대로의 흰색을 살리고 아래쪽만 붉은색으로 염색한 형태를 지칭한다. 둥근 화지를 삼등분하여 안쪽 원과 바깥쪽 원은 한지 그대로이고 가운데 부분만 염색한 것을 가리키는데 고도의 염색기술이 아니면 염색 불가능하다고 한다. 요즘은 이미 염색된 화지를 쓰지만 1980년대 중반까지는 직접 염색해서 썼다고 한다. 산함박에는 꽃심이 없으며 아래쪽보다 위쪽이 약간 좁고 둥근 원[기둥](/topic/기둥) 형태이며 꽃받침이 있다. 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①화지를 10장씩 포갠다. 이어 ②포갠 위에 필요한 번호의 도래를 얹어 놓고 연필로 원을 그린다음 [송곳](/topic/송곳)으로 원의 중심에 구멍을 뚫는다. 가로 세로 10㎝ 정도의 얇은 종이 한 장을 비벼말아서 귀이개 굵기의 가는 종이막대(화지를 모양대로 오릴 때 움직이지 않도록 가는 종이막대를 끼우는 것이다.)를 만들어 송곳으로 뚫은 가운데 구[멍에](/topic/멍에) 끼운다. 여기에 도래 번호를 크게 쓴 다음 연필로 그린 도래 모양대로 둥글게 자른다. ③산함박의 도래는 가장 큰 도래인 10번 도래만 사용하는 외도래이다. ④연분홍색 화지에 머리부분은 흰색이 되도록 한다. ⑤화지를 십자(十字)형으로 네 부분을 오리되, 도래의 원끝에서 가운데를 향해 반 정도만 오린다. 이대로 자르면 화지는 네 부분 나뉜다. ⑥각 부분을 반으로 접고 끝은 V자 모양으로 세 군데를 오므린다. 반으로 접은 네 부분 각각 세 군데를 오므리기 때문에 화지의 둘레는 전체적으로 24군데가 V자 모양으로 오므려진다. V자 모양으로 오므려진 부분의 바로 아래에 지름 1㎝ 정도의 추로 1㎝ 정도의 구멍 위에 화지를 놓고 힘껏 눌러준다. 그러면 V자 모양으로 오므려진 부분이 더, 오그라들지만 꽃모양은 퍼[지게](/topic/지게) 된다. 산함박을 만들기 위한 기본 화지가 준비되면 꽃심을 만든다. ⑦꽃심이란, 실제의 꽃에서 암술대에 해당하며 암술대의 맨 위에는 암술머리가 있다. ⑧꽃심과 암술머리를 만들 때, 산함박 만드는 도래의 크기만큼 둥글게 화지를 자른다. 그리고 둥글게 잘라진 화지의 끝부분을 2㎝ 정도로 여러 갈래로 잘게 자른다. 이렇게 만들어진 꽃심을 가는 꽃대 끝에 붙인다. 그러면 꽃심, 즉 보통의 꽃에서 암술대와 암술머리가 완성된다. 꽃심은 대체로 짙은 남색을 지름 2㎝ 정도로 가운데에 놓고 주변에 지름 3㎝ 정도로 노란색 꽃심을 배치한다. ⑨꽃받침은 흰색 마분지를 지름 5~6㎝로 둥글게 잘라서 꽃 중심에 끼워 꽃을 받쳐준다. ⑩꽃대와 꽃심이 완성된 후, 분홍색화지 10장씩을 겹쳐 잘라서 누르고, 누른 것을 꽃대에 끼운 다음 겹쳐진 화지를 한 장씩 펼쳐 두 손에 가득담길 부피만큼 풍성하게 지화를 만든다.
참고문헌한국의 민속지화에 관한 연구 (강신영,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한국지화에 관한 연구 Ⅱ- [김석출](/topic/김석출)씨의 기법을 중심으로 (김태연, 산업기술연구, 대구대학교산업기술연구소, 1985)
한국전통지화에 관한 연구 (박기복,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한국무가집 4 (김태곤 편, 집문당, 1992)
무화연구 (1) (김태연, 한국무속학 3, 한국무속학회, 2001)
서울굿 신화 연구 (양종승·최진아, 한국무속학 4, 한국무속학회, 2002)
지화 연구 (김명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 지화 연구 Ⅰ (심상교, 한국무속학 6, 한국무속학회, 2003)
신구문화사제주도무속자료사전현용준1980
제주시·제주대학교박물관제주시 문화유적분포지도 해설집1998
산함박
64646
산함박
산함박
64645
산함박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