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천문신장

한국무속신앙사전
지리천문신장
천상과 지상을 오가며 인간의 집터, [마을](/topic/마을)과 고을 터, 공공건물 터, 무덤 터 등을 잡아주는 신.
definition
천상과 지상을 오가며 인간의 집터, [마을](/topic/마을)과 고을 터, 공공건물 터, 무덤 터 등을 잡아주는 신.
mp3Cnt
0
wkorname
양종승
정의천상과 지상을 오가며 인간의 집터, [마을](/topic/마을)과 고을 터, 공공건물 터, 무덤 터 등을 잡아주는 신.
내용지리천문신장이 터를 잡을 때는 산(山), 수(水), 방위(方位), 사람(人) 등 네 [가지](/topic/가지) [풍수](/topic/풍수)지리설에 따라 하늘과 하늘의 별자리 위치를 천문학(天文學)으로 풀이한다. 지리천문신장은 천상 상징의 구름과 지상 상징의 산 위를 배경으로 노닌다. 갓(경우에 따라서는 [정자관](/topic/정자관)을 쓰기도 함)을 쓰고 [도포](/topic/도포)를 입은 지리천문신장은 오른손에 지팡이, 왼손에 터를 잡을 때 방위를 찾게 해 주는 나침반을 들고 다닌다. 지리천문신장이 정해 주는 무덤 터에 묘를 쓰게 되면 후손 가운데 이름을 세상에 크게 떨칠 인물이 태어난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자손을 점지할 부인마마가 천주떡(하느님의 떡) 세 개를 접시에 들고 지리천문신장을 따라다니며 인물이 될 아들의 잉태를 기원한다.

지리천문신장은 황해도굿 철성거리에서 뒷 부분에서 남성신으로 모셔진다. 그래서 지리천문신장이 들어오면 만신은 도포를 입고 뿔갓(정자관)를 쓰고서 춤을 춘다. 그러다가 나침판을 들고서 터를 잡는 시늉을 하기도 한다.
참고문헌한국 무속신 고찰-무신도를 중심으로 (양종승, 몽골학 4, 한국몽골학회, 1996)
무신도에 나타난 무신의 상징성 (양종승, 박물관지, 인하대학교 박물관, 1997)
집문당한국민속학논고임동권1971
아세아문화사한국무속의 연구최길성1978
형설출판사한국무속론최길성1981
집문당한국무속연구김태곤1981
집문당한국민간신앙연구김태곤1983
도서출판 창솔한국민속문화대사전김용덕2004
지리천문신장
64808
지리천문신장
지리천문신장
64800
지리천문신장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