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자혼사굿

한국무속신앙사전
망자혼사굿
혼인하지 못하고 죽은 청춘남녀의 영혼이 있으면 적절한 연령대를 찾아서 혼인을 시키는 굿. 이 굿은 달리 ‘영가혼인굿’, ‘사혼굿’, ‘[영혼결혼식](/topic/영혼결혼식)굿’ 등으로 명칭이 전한다.
definition
혼인하지 못하고 죽은 청춘남녀의 영혼이 있으면 적절한 연령대를 찾아서 혼인을 시키는 굿. 이 굿은 달리 ‘영가혼인굿’, ‘사혼굿’, ‘[영혼결혼식](/topic/영혼결혼식)굿’ 등으로 명칭이 전한다.
mp3Cnt
0
wkorname
김헌선
정의혼인하지 못하고 죽은 청춘남녀의 영혼이 있으면 적절한 연령대를 찾아서 혼인을 시키는 굿. 이 굿은 달리 ‘영가혼인굿’, ‘사혼굿’, ‘[영혼결혼식](/topic/영혼결혼식)굿’ 등으로 명칭이 전한다.
Mangjahonsagut es un ritual realizado para casar a los que han muerto solteros.

En las creencias populares de Corea, aquellos que murieron solteros no se consideran como adultos plenos y no pueden ser adorados a través de un culto a los antepasados, lo cual es el motivo de llevar a cabo el mang jahonsagut. Esta tradición que se practica en todo el país se organiza por las familias de los difuntos. Cada familia de las dos –la familia del novio y la de la novia- paga la mitad del costo total de la boda. Esta práctica tiene una forma de combinación entre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de adoración al dios [[Jeseok](/topic/DiosdelParto)](/topic/Jeseok) que se llama andangjeseokgut y los del ritual para guiar a los espíritus de los difuntos al inframundo, jinogigut. Con otras palabra, la boda tiene lugar después de la celebración del andangjeseokgut, seguida de un ritual para guiar a los espíritus de los muertos casados al inframundo de forma segura.

Es obligación de la presencia de los muertos que van a casarse, pues las fotografías de ellos se requieren y ellos se representan por entidades sagradas. Aunque, en el pasado, los muñecos de paja se elaboraban como entidades sagradas, en la actualidad, han sido reemplazados por muñecos vendidos. El ritual se realiza siguiendo los procedimientos de la boda tradicional con los muñecos que presentan los novios vestidos con los trajes que llevarán en el día de su boda. Como el próximo paso, dichos muñecos se ubican en un lugar privado para consumar el matrimonio. Por último los muñecos se llevan al otro lugar donde se efectúa el ritual para guiarlos al inframundo.

El ritual de boda para los muertos ofrece las claves esenciales para entender el concepto de adoración a los ancestros. Es decir, aquellos que murieron solteros no pueden ser tratados como adultos, así que la boda para ellos es un requisito indispensable, aun después de su muerte.
为没有结婚而亡故的少男少女之魂举行婚礼的[巫祭](/topic/巫祭)。

没有结婚而亡故的人不仅不能成为正常的祭祀对象,而且不能得到成人的待遇,把他们转化为[祖先](/topic/祖先)的巫祭就叫“死者婚礼巫祭”,这种巫祭遍布于全国。死者婚礼巫祭在少男少女家进行,费用以各自负担一半为原则。这个巫祭是安堂[帝释](/topic/帝释)巫祭和[镇恶鬼巫祭](/topic/镇恶鬼巫祭)相结合的一种巫俗祭仪,即首先向供奉在卧房里的帝释神祭拜,然后举行婚礼,接下来是荐度亡灵的巫祭。

进行死者婚礼巫祭时,死者的形象很重要,因此要带来死者的照片,死者的神体一般以稻草制作为原则,但现在主要买人偶使用。举行婚礼时,要给新郎新娘人偶穿上韩国传统婚礼服,举行与传统婚礼仪式一模一样的婚礼,然后在僻静的地方设置新房让他们同房。等待一段时间后,把新郎和新娘带出新房。让带出新房的新郎和新娘坐下,继续完成余下的巫祭祭程。

死者婚礼巫祭是理解韩国人祖先观念的非常重要的事例,如果没结婚就亡故,就不能得到祖先或成人的待遇,哪怕是亡灵,也要让他们成婚,使他们成为正常的死者,因此不得不进行这样的祭仪。
내용망자혼사굿은 혼인하지 못하고 죽은 사람은 온전한 제사의 대상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어른으로 대접받지 못하므로 이들을 조상으로 전환하는 굿이다.

이 굿은 전국적으로 널리 퍼져 있으면서 강신무권이든 세습무권이든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지역에 따라 이 굿을 하는 방식이나 목적에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비슷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망자혼사굿의 방식이 대체로 일치하지만 전라도나 남해안 일대에서는 저승혼사굿이라고 하여 씻골을 하고, 처녀와 총각을 [합장](/topic/합장)한 다음, 이 굿을 하는 경우도 있어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망자혼사굿은 총각집과 처녀집에서 하는데, 비용은 반반씩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다. 이 굿을 할 때에 망자의 모습이 중요하므로 망자의 사진을 [가지](/topic/가지)고 오며, 망자의 신체는 흔히 짚으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현재는 [인형](/topic/인형)을 사서 하는 것이 기본적이다. 아울러서 혼인식을 할 때는 기본적인 복색을 입힌다. 신랑은 짚으로 만든 몸에 [바지](/topic/바지)저고리와 [사모](/topic/사모)관대를 입히고, 신부는 다홍[치마](/topic/치마)•초록(노랑)저고리를 입힌다. ‘청실’과 ‘홍실’을 준비하고, 폐물과 밤•[대추](/topic/대추)를 놓은 폐백상을 마련한다.

구조적으로 볼 때 서울의 망자천도굿은 안당제석굿과 진오기굿이 결합하는 굿이다. 부정을 치고 나서 바로 안당제석굿을 하는 것은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부각하기 위해서이다. 망자라 하더라도 혼인을 통해 일정한 생명력을 고양한다는 관념이 이러한 굿거리 구성을 낳았다. 망자는 조상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위치가 결정되고, 집안의 여러 [가신](/topic/가신)과 관계를 맺게 된다. 그러나 망자가 죽은 지 얼마 되지 않으면 굿의 구성도 달라진다. 망자혼사굿의 특성상 이러한 구성을 하는 기본적인 틀은 유지되는 것으로 본다.

결혼식 폐백은 말미를 드리고 나서 한다. 이때 [대례상](/topic/대례상)을 차린다. 대례상에는 소나무를 꺾어 놓고 청실•홍실, 삼색과일, 용떡, 정한수 한 그릇, 삶은 국수, 밤, 대추를 놓는다. 신랑과 신부는 서로 절을 하고, [합환주](/topic/합환주)(合歡酒)를 주고받고, 신랑댁 부모에게 폐백을 올리는 과정을 모두 거친다. 이때 [신혼여행](/topic/신혼여행)비를 별비로 받는다. 신혼여행비는 당집 시봉자에게 주는 것이 원칙이다. 그리고 인적이 없는 곳에 신방을 마련해 동침의 시간을 보내게 한다. 어느 정도 기다렸다가 신방에서 신랑과 각시를 데리고 나온다. 신방에서 데려온 신랑과 신부를 앉혀 두고 [도령돌기](/topic/도령돌기)를 한다. 이어서 ‘[사당](/topic/사당)차례’를 한다. 이 과정이 끝나게 되면 뒷영실을 한다. 뒷영실을 하고 나서 바로 시왕군웅도 겸해 한다.

망자혼사굿은 한국인의 조상 관념을 이해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례이다. 혼인하지 않고 죽으면 조상으로도 어른으로도 대접받지 못한다. 그러므로 죽은 영혼이라도 혼인을 시켜서 온전한 죽음으로써의 망자로 맞아들이는 행사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굿을 통해 이러한 관념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사례로는 전국적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좀 더 근본적인 것은 강신무권의 사례에서 더욱 전형적인 면모를 알 수 있다.


| 굿 순서 | 사례 1(서울 2005년 3월) | 사례 2(서울 2005년 7월) |
| -------- | -------- | -------- |
| 1 | 부정 | 부정 |
| 2 | 안당불사제석 | 안당불사제석 |
| 3 | 도당산신 | 대안주(상산·별상·신장) |
| 4 | 본향·조상 | 영실·조상 |
| 5 | 대안주 | 대감 |
| 6 | 성주 | 성주 |
| 7 | 창부 | 창부 |
| 8 | 사재삼성 | 사재삼성 |
| 9 | 말미 | 말미 |
| 10 | 결혼식·폐백 | 대례(혼인·폐백) |
| 11 | 상식 | 도령 |
| 12 | 도령돌기 | 길가르기 |
| 13 | 길가르기 | 문들음 |
| 14 | 뒷전 | 맞조와 |
| 15 | - | 뒷영실 |
| 16 | - | 뒷전 |
참고문헌한국의 전통예술 (문화재보호재단, 2007)
Mang jahonsagut is a ritual to bring together in matrimony the souls of youth who died untimely deaths prior to marriage.

In Korean folk religion, those who die unwed are not considered full adults and cannot be worshipped through ancestral memorial service, hence weddings are arranged for the deceased in order to elevate their status to that of a proper ancestor. This practice, which is observed around the country, is arranged by the families of a deceased bachelor and a deceased maiden, the ritual costs divided between the two families. The ritual combines the procedures of andangjeseokgut, which is a ritual for worshipping [[Jeseok](/topic/GodofChildbirth)](/topic/Jeseok) (God of Childbirth) enshrined in the inner chamber of the house, and the procedures of the underworld entry ritual jinogigut. In other words, the wedding takes place after worshipping Jeseok, which is then followed by a ritual to guide the deceased safely to the underworld.

The deceased must be present at the ritual as a visual image, so photographs are required and they are also represented by sacred entities, for which straw effigies were used in the past but in present times have been replaced by dolls. For the wedding, the dolls are dressed in traditional wedding costumes and the ritual also follows the traditional wedding procedures. Then the dolls are placed in a private corner to consummate the marriage, after which the dolls are brought out for the underworld entry ritual.

This wedding ritual for the deceased offers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ancestral relations and worship in Korea: Unwed individuals were not treated as full adults, so in order to be properly worshipped as an ancestor, weddings were required, even after death.
망자혼사굿
64397
망자혼사굿
망자혼사굿
64396
망자혼사굿
망자혼사굿
64395
망자혼사굿
망자혼사굿
64394
망자혼사굿
망자혼사굿
64393
망자혼사굿
망자혼사굿
64392
망자혼사굿
망자혼사굿
64355
망자혼사굿
망자혼사굿
64354
망자혼사굿
망자혼사굿
64353
망자혼사굿
망자혼사굿
64352
망자혼사굿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