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9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공창무
    1641 2023.02.27
    입을 벌리지도 않아도 공중에서 소리가 들리도록 하는 술법을 사용하는 무당.
  • 당맨심방
    1488 2023.02.27
    [마을](/topic/마을)의 본향당을 담당하는 심방으로 ‘본향당을 맨 심방’이란 뜻이다.
  • 뒷전무당
    1243 2023.02.27
    서울굿과 경기북부 지역 굿에서 뒷전을 전담하는 무당.
  • 방위가리기
    1401 2023.02.27
    삼살방(三煞方)이나 대[장군](/topic/장군)방(大將軍方) 등 흉신(凶神)이 머무는 방위를 가려 어떤 일을 삼가는 속신 행위.
  • 선무당
    1400 2023.02.27
    서툴고 미숙한 무당. 선은 미숙하다는 뜻으로 직업적인 무당과 비교할 때 가무보신(歌舞寶神)에 숙달되지 못한 서투른 무당을 의미한다.
  • 신수보기
    1315 2023.02.27
    음력 정월에 일 년 동안의 길흉(吉凶) 운세를 점치는 것.
  • 점사
    1183 2023.02.27
    무당이 점을 치는 행위.
  • 판수
    1239 2023.02.27
    점복(占卜)과 [독경](/topic/독경)(讀經)을 하는 맹인.
  • 공하
    1729 2023.02.27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서 동제를 준비하고 제의를 행하는 [제관](/topic/제관)에게 수고했다는 뜻으로 주민들이 곡식이나 돈 또는 기물(器物) 등을 공동으로 지급하는 것을 일컫는 말.
  • 당산
    1424 2023.02.27
    [마을](/topic/마을)신앙의 구심점이 되는 특정한 장소나 신령을 일반적으로 부르는 명칭.
  • 마련방
    1313 2023.02.27
    [제관](/topic/제관) 및 집사의 역할과 성명을 적어 놓은 종이.
  • 뱅이
    1247 2023.02.27
    인간의 안정된 삶을 위협하는 어떤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이미 발생한 불행한 사건을 자신의 뜻대로 환원시키거나 정상화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주술적 방법. 인간이 소망하거나 목적하는 바를 비공식적으로 은밀하게 성취하고자 할 경우에도 뱅이는 쓰인다. 음력 정초의 [마을](/topic/마을) 액막이, 전염병 액막이, 기우제 등 마을공동체 단위의 뱅이와 도둑잡이 뱅이 등과 같은 개인 차원의 뱅이가 있다.
  • 설위설경
    1270 2023.02.27
    앉은굿에서 [무경](/topic/무경)의 내용을 형상화하는 물질전승 일체.
  • 심방
    1304 2023.02.27
    무격(巫覡)을 제주도에서 통칭하여 부르는 말. 제주도에서는 무속적 사제를 통칭하는 무당이라는 말 대신에 심방이라고 부른다. 심방을 좀 더 좁혀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제주도의 어떤 굿이라도 제법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자를 일컫는다.
  • 정화
    1256 2023.02.27
    부정한 장소나 특정한 생명체를 맑게 하는 행위를 총칭하는 개념. 외국어로 가령 purification나 lustration 등이 쓰이는 것은 이러한 각도에서 이 용어의 소종래를 규명하는 것일 수 있다. 신성한 장소에서 더러운 것을 씻어내는 행위가 정화에 해당한다. 정화는 우리 [마을](/topic/마을)신앙의 전통 속에서 유래했다고 보기 어려운 특징이 있지만 고유하게 존재하는 요소이다. 부정을 가시는 행위에서 비롯되어 부정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