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속신앙사전
사람이나 물건 등을 해치고 파괴하는 독하고 악(惡)한 기운.
definition
사람이나 물건 등을 해치고 파괴하는 독하고 악(惡)한 기운.
mp3Cnt
0
wkorname
이필영
정의사람이나 물건 등을 해치고 파괴하는 독하고 악(惡)한 기운.
내용살(煞)은 간혹 악귀(惡鬼)의 소행에 의한 심한 폐해를 뜻하기도 하며, 친족을 비롯한 여러 인간관계 사이에 나타나는 좋지 않은 띠앗[정의(情誼)]을 표현하기도 한다. 특히 사람에게 질병이나 사고, 인간관계의 갈등이나 파국 등을 일으켜서 불행하게 한다. 살은 인간의 의지와 노력으로는 이해할 수 없고 해결이 불가능한 불행한 사태를 설명하는 민속에서의 개념이다. 이런 알 수 없는 불행은 ‘살’이란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미연(未然)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살을 풀어 주어야 한다. 살풀이나 주당맥이가 대표적인 민속적 대처 방식이다. 살은 모든 사람이 태어나면서부터 지니고 있다. 이는 민속상에서 전승되는 속신(俗信)이나 무당의 예지(叡智), 사주학(四柱學) 등에 의하여 어떤 살을 지녔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살풀이 등의 일정한 종교적 의례나 행위 등으로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다고 믿는다.

살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정확하고 명료하게 설명하기는 다소 어렵다. 인간의 희구(希求)와는 다르게 일이 순조롭지 못하고 탈이 많아서 불행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상황에서는 인간이 바라는 욕망을 거스르는 어떤 ‘비가시적(非可視的)인 힘’이 작용한다고 여긴다. 이 힘은 살기(殺氣)이거나 이것과 비슷한 어떤 기(氣)이기도 하다. 이것은 귀신(鬼神)으로부터 비롯되는 것만은 아니다. 오히려 인간을 해치거나 사물을 파괴하는 기(氣)에 가깝다. 이는 매우 급박하게 작동되기도 하고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살과 관련된 관용어들을 검토하면 살이 어떻게 인식되는지 간접적으로 살필 수 있다. 가령 초상집이나 잔칫집에 갔다가 어떤 불길한 힘이 작용하여 갑자기 탈이 난 경우에 ‘살을 맞았다’라고 하며, 대수롭지 않은 일로 다치는 경우에도 ‘살이 가서 그러하다’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또 ‘살이 끼다’라고도 한다. 이외에도 ‘살이 나가다’, ‘살이 내리다’, ‘살이 오르다’, ‘살을 타다’, ‘살이 붙다’ 등의 표현이 있다. 곧 살은 인간의 뜻과 전혀 상관없이 인간에게 내리고 오르며, 끼거나 타며, 붙어서 불행을 초래하는 비가시적이며 초자연적인 힘이다. 따라서 인간이 느닷없이 나타나거나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살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살의 종류를 인지해야 하며, 이들에 대한 적절한 방어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사주학(四柱學)에서는 대개 남녀 혼인, 소아(小兒), 길신(吉神), 흉살(凶殺)에 걸쳐 190여 종류의 살이 있다고 하나, 민속상의 속신이나 무당·법사 등의 살풀이에서 언급되는 살은 이 보다는 훨씬 적다. 일부의 무당들은 21개의 살이 있다고 한다. 물론 이들 살이 반드시 사주학의 살과 일치되는 것은 아니고, 무당들에 따라서도 살의 종류를 달리 인식하기도 한다. 무당들은 불행을 초래하는 어떤 사건이나 귀신 등에 쉽게 살을 붙여서 관념화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른바 조상살(祖上煞), 불난살, 동토살, 산신살, 용왕살, 성주님살 등이 이러한 예이다.

무당들이 일상에서 언급하는 21개의 살은 천강살(天罡煞), 지궁살(地宮煞), 연살(年煞), 월살(月煞), 일살(日煞), 시살(時煞), 금살(金煞), 목살(木煞), 화살(火煞), 토살(土煞), 혼인살(婚姻煞), 극체살(克體煞), 원진살(元嗔煞), [옥녀살](/topic/옥녀살)(玉女煞), 단명살(短命煞), 부정살(不淨煞), 삼재살(三災煞), 관재살(官災煞), 이별살(離別煞), 횡사살(橫死煞)이다.

한편 아기가 태어날 때 부정을 타도 그것이 살이 되는 경우가 있다. 출생시에 살생(殺生) 부정이나 ‘죽은 부정[초상(初喪)]’을 타면 살성(殺星)이 든다. 그리고 몸에 피를 묻히거나 태(胎)를 목에 걸고 태어나도 그러하다.

민속에서 대표적으로 언급되는 살은 주당살(周堂煞)과 [상문살](/topic/상문살)(喪門煞)이 있다. 주당은 혼례 때에 꺼리는 귀신이다. 신부가 [신행](/topic/신행)(新行)오는 월(月)이 큰 달인지, 작은 달인지에 따라서 어느 장소에 주당이 닿은지가 다르다. 집이나 사람에게 주당이 닿으면 신부가 들어 올 때 [처마](/topic/처마) 밑에 있는 사람들을 모두 피하게 하는 주당물림을 한다. 또 장례를 모시면서 [하관](/topic/하관)(下棺)을 함부로 보거나 피하지 못하여 상문 방위에 닿으면 병이 나거나 심지어 죽을 수도 있다. 이를 상문살이라 한다.

이러한 살들을 막아내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무당이나 법사가 ‘살풀이’를 하기도 하고, 또한 속신(俗信)에 따른 각종의 민속적 처방, 곧 ‘뱅이([양밥](/topic/양밥))’로 대응하기도 한다. 예컨대 피를 묻히고 태어난 아이의 살을 풀기 위하여 집에서 쓰는 식칼을 푸줏간에 주거나 [가축](/topic/가축)의 도살(屠殺) 장면을 아기에게 몇 차례 보여 주는 등의 풍속이 있다.
참고문헌한맥원류 (김열규, 주우, 1982)
한국민간신앙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topic/사전) 1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동아 새국어사전 (동아출판사, 1996)
연세한국어사전 (연세대 언어정보개발연구원 편, 두산동아, 1998)
Sal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 las fuerzas del mal que dañan a las personas y provocan la destrucción.

El término sal también puede referirse a los graves daños ocasionados por los espíritus malignos incluyendo enfermedades, accidentes, conflictos o ruptura de lazos familiares y personales, los que pueden traducirse en una gran desesperanza. En otras palabras, estas fuerzas negativas pueden entenderse como una idea popular que explica las desgracias terribles que son imposibles para los seres humanos de resolver o comprender.

Cada humano nace con cierta maldición causada por una fuerza maléfica que puede ser interpretada mediante la creencia popular, las previsiones chamánicas o los Cuatro Pilares del destino llamado saju. Según los saju, existen unos 190 tipos de sal, abarcando todos los diferentes períodos de nuestra vida desde la niñez hasta el matrimonio y los relacionados con la buena y mala fortuna de los individuos. En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sin embargo, como lo interpretado por chamanes y hechiceros, pocos números de la mala fortuna afectan a la vida humana, un total de 21, según algunos chamanes.

Las principales maldiciones incluyen la maldición de fantasmas llamada judangsal que se evita especialmente en las bodas. Si un fantasma llamado Judang invade a una persona o una casa, se debe llevar a cabo un rito llamado judangmullim para ahuyentarlo. Otra maldición común es la puerta de la muerte llamada sangmunsal que puede causar enfermedades o incluso la muerte si uno ve un féretro hundirse en la tierra.

Para evitar tales daños, un chamán o un hechicero es contratado para que él lleve a cabo un ritual a fin de deshacer maldiciones llamado salpuri, y hay numerosas costumbres populares, enfocadas a la prevención, una de las cuales se practica para los bebés nacidos con la sangre sobre su cuerpo. Y para deshacer este mal augurio, las familias de dichos niños envían su cuchillo de cocina a un carnicero o muestran a sus recién nacidos una escena de ganado sacrificado.
Sal is a term used for vile and evil forces that harm people and cause destruction.

Sal can also refer to severe damage caused by evil spirits, including diseases, accidents, conflicts or severed ties, which can result in great unhappiness. In other words, sal can be understood as a folk concept for explaining terrible misfortunes that are impossible for humans to solve or comprehend.

Every human is born with a certain curse, brought on by evil force which can be interpreted through folk divination, shamanic foresight, or the four pillars of destiny (saju). According to the four pillars, there are around 190 types of sal, encompassing different periods in life from childhood to marriage, and those related to one’s good fortunes and bad. In Korean folk religion, however, as interpreted by shamans and sorcerers, fewer numbers of bad fortunes afflict human lives, a total of 21, according to some shamans.

The major curses include the ghost curse judangsal, which is to be avoided especially at weddings. If a judang ghost has invaded a person or a house, a repelling rite (judangmullim) is carried out by chasing away everyone standing under the eaves as the bride enters the ritual venue. Another common curse is the death gate curse sangmunsal, which can strike if one improperly witnesses the lowering of the coffin into the grave, resulting in illness or even death.

To prevent such damage, a shaman or sorcerer is hired to perform curse-undoing rituals called salpuri, and there are also myriad folk customs aimed at prevention, one of which is for infants born with blood on their bodies, and to undo this bad omen, the family sends their kitchen knife to the butcher, or shows the newborn scenes of cattle being slaughtered.
伤害或破坏人或物的邪气。

“煞”指恶鬼所作而引起的深度伤害,多引发疾病或事故,人际关系矛盾和破裂等不幸事件。煞是一种民俗概念,用来说明无法依人类的意志和努力解释,并且无法解决的不幸状态。

所有人出生时都带煞。依据民俗传承的俗信或巫师的睿智,四柱命学等,可以解析人带何种煞。四柱命学认为,“煞”有男女婚姻,小儿吉神,凶煞等有190 多种,但俗信,巫师,法师等的“解煞”中提及的煞远少于此,一些巫师认为煞共有21 种。

民俗中代表性的煞为“周堂煞”和“丧门煞”。“周堂”是婚礼中避讳的鬼,如果周堂触及房屋或人,则在新娘进门时进行“逐周堂”,令屋顶下的所有人都避开周堂。另外,在葬礼中随意观看下棺或未能避开触及丧门,可能会得病甚至死亡,这称为“丧门煞”。

为了阻挡这些煞,通常是由巫师或法师举行“解煞”,或依据俗信的各种民俗方式应对。例如,有一种风俗是为解决出生时沾有血的婴儿的煞,把家用菜刀放在肉铺或给婴儿看几次家畜屠宰场景。
서울특별시서울민속대관 1-민간신앙편1990
을유문화사한국의 향토신앙장주근199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