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8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대감시루
    773 2023.02.27
    서울과 경기도 일대를 비롯해 관북과 관서 지역의 무속에서도 모셔지는 신령인 대감신을 위해 차려지는 [제물](/topic/제물).
  • 대안주상
    776 2023.02.27
    서울굿에서 신령들을 위해 술과 안주를 올리는 [제상](/topic/제상).
  • 당클
    785 2023.02.27
    집안굿을 할 때 [마루](/topic/마루)의 벽면에 가로로 길게 설치하는 신의 좌정처.
  • 녹음이시루
    805 2023.02.27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서의 은산별신제 때 올리는 산신을 대접하기 위한 제사 음식 중 하나로, 시루에 안쳐 찐 백설기.
  • 당산맞이굿상
    814 2023.02.27
    서해안·남해안 풍어굿이나 동해안 [별신굿](/topic/별신굿) 등에서 행해지는 당산맞이굿을 할 때 차려지는 [제상](/topic/제상).
  • 823 2023.02.27
    신령이나 조상 앞에 진설되는 [제물](/topic/제물) 가운데 하나.
  • 대령상
    828 2023.02.27
    제주도굿에서 사용하는 굿상 가운데 하나.
  • 당떡
    838 2023.02.27
    당을 매고 당에 올리는 떡을 총칭하는 말.
  • 군웅상
    905 2023.02.27
    군웅신을 대접하기 위해 [제물](/topic/제물)을 차린 상.
  • 공싯상
    931 2023.02.27
    제주도 굿에서 심방의 [무조신](/topic/무조신)(巫祖神)을 위해 차려 놓는 것으로, 굿을 할 때 심방의 무구를 올려놓는 상.
  • 고추
    937 2023.02.27
    아들이 출생하거나 환자가 발생할 때 부정을 씻기 위해 사용한 벽사물.
  • 객귀밥
    962 2023.02.27
    개인이 [고사](/topic/고사)나 제사를 지낸 후나 무속에서 굿의 맨 마지막에 객귀들을 위해 차려놓는 [제물](/topic/제물). 객귀는 객사하거나 횡사 또는 [옥사](/topic/옥사)해서 원한이 맺혀 저승에 들어[가지](/topic/가지) 못하고 이승에 떠돌며 인간을 가해하는 잡신을 말한다. 객귀밥은 치밥(키밥), 물밥, 물귀밥, 물앞, 까치밥, 바가치밥(바가지밥), 뒷밥, 뒷전밥, [거리밥](/topic/거리밥)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이를 차린 상은 객귀상, [뒷전상](/topic/뒷전상), [사자상](/topic/사자상), 손님상 등으로 불린다.
  • 고추
    965 2023.02.27
    아들이 출생하거나 환자가 발생할 때 부정을 씻기 위해 사용한 벽사물.
  • 객귀밥
    986 2023.02.27
    개인이 [고사](/topic/고사)나 제사를 지낸 후나 무속에서 굿의 맨 마지막에 객귀들을 위해 차려놓는 [제물](/topic/제물). 객귀는 객사하거나 횡사 또는 [옥사](/topic/옥사)해서 원한이 맺혀 저승에 들어[가지](/topic/가지) 못하고 이승에 떠돌며 인간을 가해하는 잡신을 말한다. 객귀밥은 치밥(키밥), 물밥, 물귀밥, 물앞, 까치밥, 바가치밥(바가지밥), 뒷밥, 뒷전밥, [거리밥](/topic/거리밥)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이를 차린 상은 객귀상, [뒷전상](/topic/뒷전상), [사자상](/topic/사자상), 손님상 등으로 불린다.
  • 거리밥
    989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마지막 제차인 [거리굿](/topic/거리굿)을 할 때 굿판에 놀러온 여러 잡귀와 잡신을 풀어먹이기 위해 큰 통 또는 그릇에 한데 섞은 [제물](/topic/제물) 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