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8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비보
    648 2023.02.27
    사람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을 인위적으로 보완하여 실한 곳으로 바꾸려고 하는 방법. 대개 지기(地氣)가 허한 곳을 실하게 채우기 위하여 사용한다.
  • 법사
    649 2023.02.27
    민속신앙에서 [독경](/topic/독경)(讀經)을 하는 사제자를 지칭하던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현재는 남자 무당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어 사용하는 용어.
  • 부정
    649 2023.02.27
    [마을](/topic/마을)공동체의 신성한 의례를 거행하는 데 발생하는 일체의 신성성을 해치는 정갈하지 못한 세속적인 것을 금하는 것을 말하며, 유형과 무형의 모든 부정 형태를 지칭. 마을 집단 전체의 안녕을 위해하는 요소이다.
  • 매당왕신
    649 2023.02.27
    한강을 중요한 운송로로 이용하던 시절에 이 교통의 장애(암초와 여울 등)지역들에 세워진 [화주](/topic/화주)당(化主堂)에서 모시는 주신. 매(鷹)+당(堂)+왕신(王神) 또는 매(鷹)+대왕신(大王神)의 합성어로 보인다.
  • 제관
    650 2023.02.27
    [마을](/topic/마을)에서 동제를 지낼 때 제의를 주관하거나 제의 과정에 참여하도록 선정된 사람의 총칭.
  • 신부리
    651 2023.02.27
    신(神)의 뿌리를 일컫는 무속용어. 부리는 조상의 영혼이나 집안에 대대로 내려오는 신을 일컫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만신](/topic/만신)(萬神)부리’, ‘조상(祖上)부리’라는 용어를 무속에서는 종종 사용한다.
  • 막음쟁이
    651 2023.02.27
    집에 탈이 나거나 [동티](/topic/동티)[動土]가 났을 때 액을 막기 위한 ‘막음질(액을 막기 위한 행위)’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
  • 신딸
    652 2023.02.27
    무속신앙에서 신어머니로부터 신의 계통을 이어받는 여자 무당.
  • 망지
    652 2023.02.27
    [마을](/topic/마을) 제의에 [제관](/topic/제관) 및 집사로 선출되었음을 해당자에게 알리는 통지서.
  • 사슬세우기
    653 2023.02.27
    서울굿의 용어로 ‘사슬’과 ‘세우기’의 합성어이다. 사슬은 옛말로 점이나 셈을 하는 산(算)[가지](/topic/가지)나 댓[竹]가지란 말이고, 세우기는 이 과정에서 월도와 창을 세우는 행위를 나타내는 말이다. 따라서 사슬세우기는 월도와 창을 세워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행위를 말한다. 그것은 곧 해당 신령이 이 굿을 잘 받으셨는지, 이른바 응감(應感)하셨는지를 알아보는 행위이다.
  • 대주
    654 2023.02.27
    민속에서 무당이 굿하는 집이나 [단골](/topic/단골)로 다니는 집의 바깥주인을 이르는 말.
  • 왕십리본
    656 2023.02.27
    전통적인 서울굿의 지역적 세분 명칭 가운데 하나. 오늘날까지도 유효한 구분으로 동쪽과 서쪽을 나누었을 때, 동쪽의 중심 지역이 왕십리이기 때문에 왕십리본이라고 한다. ‘본(本)’이라는 명칭은 보통 활자화된 문서를 지칭하는 것이어서 왕십리본이라고 표현하면 왕십리 일대를 중심으로 굿을 하던 이들의 무가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이 무가집은 존재하지 않는다. 무가의 학습은 구비로 이루어지고, 지역의 세부적인 차이는 무가 측면보다 굿의 연행적 측면이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서 ‘본’은 정형화된 무가 [사설](/topic/사설)이라는 의미보다는 무가를 포함한 굿법(-法) 또는 굿제(-制)를 의미한다.
  • 양밥
    658 2023.02.27
    전통적인 민간처방으로 액막이 방법의 하나로 예방․방법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며 방술이나 술법이라고도 함.
  • 동답
    658 2023.02.27
    [마을](/topic/마을) 공동 소유의 농경지.
  • 수지
    659 2023.02.27
    ‘첫’의 의미가 강하며 보통 곡식에서는 ‘가장 먼저 나온 것’ 또는 ‘가장 먼저 [수확](/topic/수확)한 것’이고, [삼베](/topic/삼베)와 같은 [직물](/topic/직물)제조에서는 ‘가장 먼저 짠 것’ 등을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