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 천상과 지상을 오가며 인간의 집터, [마을](/topic/마을)과 고을 터, 공공건물 터, 무덤 터 등을 잡아주는 신. |
---|---|
mp3Cnt | 0 |
wkorname | 양종승 |
정의 | 천상과 지상을 오가며 인간의 집터, [마을](/topic/마을)과 고을 터, 공공건물 터, 무덤 터 등을 잡아주는 신. | 내용 | 지리천문신장이 터를 잡을 때는 산(山), 수(水), 방위(方位), 사람(人) 등 네 [가지](/topic/가지) [풍수](/topic/풍수)지리설에 따라 하늘과 하늘의 별자리 위치를 천문학(天文學)으로 풀이한다. 지리천문신장은 천상 상징의 구름과 지상 상징의 산 위를 배경으로 노닌다. 갓(경우에 따라서는 [정자관](/topic/정자관)을 쓰기도 함)을 쓰고 [도포](/topic/도포)를 입은 지리천문신장은 오른손에 지팡이, 왼손에 터를 잡을 때 방위를 찾게 해 주는 나침반을 들고 다닌다. 지리천문신장이 정해 주는 무덤 터에 묘를 쓰게 되면 후손 가운데 이름을 세상에 크게 떨칠 인물이 태어난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자손을 점지할 부인마마가 천주떡(하느님의 떡) 세 개를 접시에 들고 지리천문신장을 따라다니며 인물이 될 아들의 잉태를 기원한다. 지리천문신장은 황해도굿 철성거리에서 뒷 부분에서 남성신으로 모셔진다. 그래서 지리천문신장이 들어오면 만신은 도포를 입고 뿔갓(정자관)를 쓰고서 춤을 춘다. 그러다가 나침판을 들고서 터를 잡는 시늉을 하기도 한다. | 참고문헌 | 한국 무속신 고찰-무신도를 중심으로 (양종승, 몽골학 4, 한국몽골학회, 1996) 무신도에 나타난 무신의 상징성 (양종승, 박물관지, 인하대학교 박물관, 1997) |
---|
집문당 | 한국민속학논고 | 임동권 | 1971 | 아세아문화사 | 한국무속의 연구 | 최길성 | 1978 | 형설출판사 | 한국무속론 | 최길성 | 1981 | 집문당 | 한국무속연구 | 김태곤 | 1981 | 집문당 | 한국민간신앙연구 | 김태곤 | 1983 | 도서출판 창솔 | 한국민속문화대사전 | 김용덕 | 2004 |
---|
지리천문신장 | 64808 지리천문신장 |
---|---|
지리천문신장 | 64800 지리천문신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