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4
						
			
				신체			
			
			
					집(가옥) 안에서 모시는 성주신(城主神)의 신체.			
																					
		 
			- 
										
213
						
			
				제의			
			
			
					주당을 맞아 거의 죽어가는 환자를 주술적으로 치료하여 살려내는 민간의료.			
																					
		 
			- 
										
212
						
			
				용어			
			
			
					[사전](/topic/사전)적 의미로는 일반적으로 한 집안의 [살림살이](/topic/살림살이)를 맡아 꾸려 가는 안주인을 가리키며, 가정신앙과 관련해 의례를 주관하고 직접 의례 수행자가 되는 한 집안의 핵심 여성을 일컫는 말.			
																					
		 
			- 
										
211
						
			
				제구			
			
			
					짚을 원추형으로 엮어서 [가신](/topic/가신)(家神)을 안치한 단지나 신체(神體) 등을 덮는 데 사용하는 조형물.			
																					
		 
			- 
										
210
						
			
				용어			
			
			
					[마을](/topic/마을)신앙이나 가정신앙에서 [제물](/topic/제물)을 준비하거나 의례를 직접 주관하는 주체로서, 한 가정의 안주인인 가정주부.			
																					
		 
			- 
										
209
						
			
				제의장소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 3리에 있으며, 조선시대 국행제(國行祭)이던 죽령산신제의 제당. ‘국[사당](/topic/사당)(國師堂)’이라고도 불리며, 목조[기와](/topic/기와) 형식을 갖추고 있다. 1976년에 ‘충청북도 민속자료 3호’로 지정되었다.			
																					
		 
			- 
										
208
						
			
				제의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에 전승되고 있는 [마을](/topic/마을)제사. 조선시대에는 국행제(國行祭)로 봉행되었다.			
																					
		 
			- 
										
207
						
			
				자료			
			
			
					대한제국시기부터 2008년까지 죽령산신제와 관련된 기록들로서 『죽령산신당제관분정기(竹嶺山神堂祭官分定記)』, 『죽령산제홀기(竹嶺山祭笏記)』, 『치성문(致誠文)』 등 3종이며 모두 필사본이다. 이들 기록은 현재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3리 노인정에 보관되어 있다.			
																					
		 
			- 
										
206
						
			
				제의			
			
			
					음력 9월 9일에 지내는 차례(茶禮). 설, 삼짇날, 단오, 유두, 추석, 동지 등과 함께 명절에 지내는 절사(節祀) 가운데 하나이다. [구일차례](/topic/구일차례)(九日茶禮) 또는 중구제사(重九祭祀)라고도 한다.			
																					
		 
			- 
										
205
						
			
				무악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 가운데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절차.			
																					
		 
			- 
										
204
						
			
				제의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남차3리 장래[마을](/topic/마을)[장천마을]에서 전승되고 있는 수구제 형태의 마을제사.			
																					
		 
			- 
										
203
						
			
				제의장소			
			
			
					지리산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사당](/topic/사당).			
																					
		 
			- 
										
202
						
			
				무신			
			
			
					천상과 지상을 오가며 인간의 집터, [마을](/topic/마을)과 고을 터, 공공건물 터, 무덤 터 등을 잡아주는 신.			
																					
		 
			- 
										
201
						
			
				용어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의 불신(不信), 무지(無知), 탐욕, 부주의(不注意), 오만 등으로 인하여 마을 신령을 서운하게 하거나 노엽게 하여 당하는 벌. 특히 마을신앙과 관련한 각종 금기를 어기거나 부정을 저질렀을 때 지벌을 받을 수 있다.			
																					
		 
			- 
										
200
						
			
				신격			
			
			
					[지붕](/topic/지붕)을 튼튼하게 받들어 주고 집 안으로 들어오는 잡귀와 부정을 막는 동시에 복을 깃들게 하는 가정신앙 신격의 하나. 지붕신에게 올리는 특별한 의례는 전해지지 않는다. 지붕의 용마루, 내림마루, 귀마루 끝에 바래기[기와](/topic/기와)(망와 또는 망새)를 장치하거나 지붕에 주물(呪物)을 장치하여 지붕신앙을 표현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