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맥이

한국무속신앙사전
일상적 삶 속에서 닥쳐올 뜻밖에 좋지 못한 횡수(橫數) 또는 액을 미리 막아내기 위해 행하는 무속의례. 이를 [횡수막이](/topic/횡수막이), 홍수막이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definition
일상적 삶 속에서 닥쳐올 뜻밖에 좋지 못한 횡수(橫數) 또는 액을 미리 막아내기 위해 행하는 무속의례. 이를 [횡수막이](/topic/횡수막이), 홍수막이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mp3Cnt
0
wkorname
양종승
정의일상적 삶 속에서 닥쳐올 뜻밖에 좋지 못한 횡수(橫數) 또는 액을 미리 막아내기 위해 행하는 무속의례. 이를 [횡수막이](/topic/횡수막이), 홍수막이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내용무속신앙에서는 좋지 못한 나쁜 액이 달을 지날 때마다 수시로 들어올 것이라고 예상하는데 이러한 액운을 [사전](/topic/사전)에 막아내는 것이 홍수맥이이다. 이 의례를 큰굿으로 할 때는 홍수맥이굿이라고 한다. 이때에는 굿 뒷부분에서 행해지는 창부거리를 하면서 일 년 열두 달에 들어오는 나쁜 액을 막는다. 그러나 홍수맥이는 일반적으로 간단하게 치루는 소규모 의례이다.

홍수맥이를 하는 기간도 정해져 있다. 새해가 시작되는 정월 초하루부터 대보름까지 대략 보름 동안이다. 이때가 되면 무당집은 홍수맥이를 하러온 [재가집](/topic/재가집)들로 문전성시를 이룬다. 사람들은 홍수맥이를 하기 위해 아침 일찍 목욕재계하고 초, 향, 쌀, 막걸리와 소액의 금전을 들고 [만신](/topic/만신)집으로 간다. 의례가 간단하게 치러지기 때문에 소요 시간도 짧다. 홍수맥이를 하는 동안 무당은 일 년 동안 닥쳐올 여러 [가지](/topic/가지) 좋은 일과 나쁜 일에 대한 공수를 내린다. 그리고 가족성원들의 생년월일과 성명을 청하면서 나쁜 액운을 막아내기를 기원한다.

일 년 열두 달의 홍수는 다음과 같이 막아낸다. 정월달 드는 홍수는 설날 세배로 막고, 2월 홍수는 한식날 막고, 3월 홍수는 삼짇날 막고, 4월 홍수는 초파일에 막고, 5월 홍수는 단오날 막고, 6월 홍수는 유두날 막고, 7월 홍수는 칠석날 막고, 8월 홍수는 [한가위](/topic/한가위)로 막고, 9월 홍수는 구일날 막고, 10월 상달 홍수는 무시루떡으로 막고, 동짓달 홍수는 옹시미 팥죽으로 막고, 섣달 홍수는 스무닷새 태종차기로 막는다.
참고문헌한국민속대[사전](/topic/사전) 2 (한국민속사전편찬위원회, 민족문화사, 1991)
서울 [이태원](/topic/이태원) 부군당굿 (양종승, 민속원, 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