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

한국무속신앙사전
조상
가정신앙에서 조상을 숭배하기 위하여 모시는 [가신](/topic/가신)(家神)의 하나. 조상 숭배를 위해 가신으로 모시는 조상(祖上)은 무속의 조상과 유교 이념에 따른 조상의 개념과 다르다. 굿에서 모시는 조상은 어린 나이에 죽거나 미혼으로 죽는 등 억울하게 죽은 사령(死靈)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가신으로 모시는 조상은 직계존속이란 측면에서 유교의 [종법](/topic/종법)(宗法)에 따른 조상에 가깝지만 혈연보다 초월적 존재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definition
가정신앙에서 조상을 숭배하기 위하여 모시는 [가신](/topic/가신)(家神)의 하나. 조상 숭배를 위해 가신으로 모시는 조상(祖上)은 무속의 조상과 유교 이념에 따른 조상의 개념과 다르다. 굿에서 모시는 조상은 어린 나이에 죽거나 미혼으로 죽는 등 억울하게 죽은 사령(死靈)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가신으로 모시는 조상은 직계존속이란 측면에서 유교의 [종법](/topic/종법)(宗法)에 따른 조상에 가깝지만 혈연보다 초월적 존재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mp3Cnt
0
wkorname
김시덕
정의가정신앙에서 조상을 숭배하기 위하여 모시는 [가신](/topic/가신)(家神)의 하나. 조상 숭배를 위해 가신으로 모시는 조상(祖上)은 무속의 조상과 유교 이념에 따른 조상의 개념과 다르다. 굿에서 모시는 조상은 어린 나이에 죽거나 미혼으로 죽는 등 억울하게 죽은 사령(死靈)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가신으로 모시는 조상은 직계존속이란 측면에서 유교의 [종법](/topic/종법)(宗法)에 따른 조상에 가깝지만 혈연보다 초월적 존재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정의가정신앙에서 조상을 숭배하기 위하여 모시는 [가신](/topic/가신)(家神)의 하나. 조상 숭배를 위해 가신으로 모시는 조상(祖上)은 무속의 조상과 유교 이념에 따른 조상의 개념과 다르다. 굿에서 모시는 조상은 어린 나이에 죽거나 미혼으로 죽는 등 억울하게 죽은 사령(死靈)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가신으로 모시는 조상은 직계존속이란 측면에서 유교의 [종법](/topic/종법)(宗法)에 따른 조상에 가깝지만 혈연보다 초월적 존재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내용가정신앙에서 모시는 조상은 유교의 조상 범위와 거의 같다. 그래서 가정신앙의 조상 역시 유교의 4대 봉사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4대 봉사는 신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주자(朱子, 1120~1300)의 『가례(家禮)』에서 신분의 차이를 불문하고 4대 봉사를 원칙으로 함에 따라 나타난 현상이다. 또한 조상을 직접 모셔야 하는 당사자 역시 장남 또는 종손으로 한정하고 있다. 이는 유교에서 장남만이 조상의 신체를 모실 수 있게 정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宗)을 이루지 못할 경우 조상을 모실 자격은 부여되지 않는다. 단지 조선시대 또는 최근까지도 존재했던 윤회 봉사, 제사 분할상속에 따라 형제가 나누어서 제사를 지낼 경우에만 차남 이하도 직접 제사를 모실 수 있었다.

조상의 [봉안](/topic/봉안)은 상례를 치른 후에 하기도 하고 첫 기일(忌日)을 맞이하여 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이 대물림이거나 현몽, 점쟁이나 무당의 권유에 따라 봉안하는 경우가 많다. 간혹 둘째 아들 이하가 [분가](/topic/분가)할 때 무당이 조상을 모실 것을 권하면서 모시기도 한다. 이는 조상이 집안의 수호신으로서 기능함을 알려주는 좋은 예가 된다.

가정신앙에서 모시는 조상에 대한 제의는 무속의 굿이나 유교의 제사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단지 또는 항아리, 고리에 쌀이나 [한지](/topic/한지)를 넣고 일 년에 한 번 갈아 넣는다. 그리고 쌀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흉년이 들거나 집안에 좋지 않은 일이 생기는 것으로 여겼다. 쌀이나 종이를 갈아 넣을 때 무당을 불러 굿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제석굿, [[안택](/topic/안택)굿](/topic/안택굿)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른다. 명절이 되면 먼저 신체 앞에 제사상을 차려놓고 조상제사를 올린다. 이처럼 조상은 지역에 따라 성주보다 더 높은 신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내용가정신앙에서 모시는 조상은 유교의 조상 범위와 거의 같다. 그래서 가정신앙의 조상 역시 유교의 4대 봉사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 4대 봉사는 신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만 주자(朱子, 1120~1300)의 『가례(家禮)』에서 신분의 차이를 불문하고 4대 봉사를 원칙으로 함에 따라 나타난 현상이다. 또한 조상을 직접 모셔야 하는 당사자 역시 장남 또는 종손으로 한정하고 있다. 이는 유교에서 장남만이 조상의 신체를 모실 수 있게 정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宗)을 이루지 못할 경우 조상을 모실 자격은 부여되지 않는다. 단지 조선시대 또는 최근까지도 존재했던 윤회 봉사, 제사 분할상속에 따라 형제가 나누어서 제사를 지낼 경우에만 차남 이하도 직접 제사를 모실 수 있었다.

조상의 [봉안](/topic/봉안)은 상례를 치른 후에 하기도 하고 첫 기일(忌日)을 맞이하여 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이 대물림이거나 현몽, 점쟁이나 무당의 권유에 따라 봉안하는 경우가 많다. 간혹 둘째 아들 이하가 [분가](/topic/분가)할 때 무당이 조상을 모실 것을 권하면서 모시기도 한다. 이는 조상이 집안의 수호신으로서 기능함을 알려주는 좋은 예가 된다.

가정신앙에서 모시는 조상에 대한 제의는 무속의 굿이나 유교의 제사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단지 또는 항아리, 고리에 쌀이나 [한지](/topic/한지)를 넣고 일 년에 한 번 갈아 넣는다. 그리고 쌀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흉년이 들거나 집안에 좋지 않은 일이 생기는 것으로 여겼다. 쌀이나 종이를 갈아 넣을 때 무당을 불러 굿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제석굿, [[안택](/topic/안택)굿](/topic/안택굿)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른다. 명절이 되면 먼저 신체 앞에 제사상을 차려놓고 조상제사를 올린다. 이처럼 조상은 지역에 따라 성주보다 더 높은 신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역사우리나라에서 조상을 숭배하는 역사는 매우 오래됐다.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 동옥저(東沃沮)조에 따르면 이미 삼국시대 이전부터 가족의 죽음을 상례로 처리하고 죽은 조상의 영혼을 모신 것으로 보인다. 신라의 김알지(金閼智)신화에 나오는 황금궤 역시 조상 숭배의 한 형태로 보고 있다. 물론 이러한 조상은 조선시대의 지배 이념인 유교에서 말하는 조상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조상 숭배의 전통은 민속신앙으로 이어져 무속, [마을](/topic/마을)신앙, 가정신앙 등에서 숭배의 [대상](/topic/대상)으로 조상이 존속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는 [위호](/topic/위호)(衛護)라 하여 가정신으로서 조령을 모셨다. 조선시대가 되면 지전(紙錢)의 폐백(幣帛) 형태로 섬기거나 무당에게 위탁하여 조령을 섬기는 등 신격과 신명은 고려시대와 동일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유교를 지배 이념으로 삼으면서 여타 종교를 인정하지 않고 [종법](/topic/종법)에 따른 조상만을 인정하게 되면서 전통적인 조상은 유교식 조상과 융화되어 오늘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역사우리나라에서 조상을 숭배하는 역사는 매우 오래됐다.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 동옥저(東沃沮)조에 따르면 이미 삼국시대 이전부터 가족의 죽음을 상례로 처리하고 죽은 조상의 영혼을 모신 것으로 보인다. 신라의 김알지(金閼智)신화에 나오는 황금궤 역시 조상 숭배의 한 형태로 보고 있다. 물론 이러한 조상은 조선시대의 지배 이념인 유교에서 말하는 조상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조상 숭배의 전통은 민속신앙으로 이어져 무속, [마을](/topic/마을)신앙, 가정신앙 등에서 숭배의 [대상](/topic/대상)으로 조상이 존속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는 [위호](/topic/위호)(衛護)라 하여 가정신으로서 조령을 모셨다. 조선시대가 되면 지전(紙錢)의 폐백(幣帛) 형태로 섬기거나 무당에게 위탁하여 조령을 섬기는 등 신격과 신명은 고려시대와 동일하였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유교를 지배 이념으로 삼으면서 여타 종교를 인정하지 않고 [종법](/topic/종법)에 따른 조상만을 인정하게 되면서 전통적인 조상은 유교식 조상과 융화되어 오늘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형태숭배의 대상인 조상의 영혼은 형태가 없지만 가정신앙에서는 [조상단지](/topic/조상단지)로 형상화되어 있다. 유교에서는 신주(神主)로 형상화되어 있고, [사당](/topic/사당)(祠堂)이라는 신성공간을 만들어 모신다. 조상단지는 가정신앙에서 조상의 신체(神體)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영남지방에서는 [세존단지](/topic/세존단지) 또는 조상당세기, 호남지방에서는 [제석오가리](/topic/제석오가리), 경기도지역에서는 [제석주머니](/topic/제석주머니), 제주도지역에서는 [마을](/topic/마을)의 본향당이라는 형태로 존재한다. 이 밖에도 경북 울진의 구신당세기 등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발견된다. 이들은 대부분이 항아리나 단지, 상자나 주머니 형태이다. 경상도 동해안지역에서는 귀신단지, 귀신동이, 귀신종이, 조상이라는 명칭과 함께 단지․항아리․종이 형태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형태숭배의 대상인 조상의 영혼은 형태가 없지만 가정신앙에서는 [조상단지](/topic/조상단지)로 형상화되어 있다. 유교에서는 신주(神主)로 형상화되어 있고, [사당](/topic/사당)(祠堂)이라는 신성공간을 만들어 모신다. 조상단지는 가정신앙에서 조상의 신체(神體)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영남지방에서는 [세존단지](/topic/세존단지) 또는 조상당세기, 호남지방에서는 [제석오가리](/topic/제석오가리), 경기도지역에서는 [제석주머니](/topic/제석주머니), 제주도지역에서는 [마을](/topic/마을)의 본향당이라는 형태로 존재한다. 이 밖에도 경북 울진의 구신당세기 등 지역에 따라 다양한 명칭이 발견된다. 이들은 대부분이 항아리나 단지, 상자나 주머니 형태이다. 경상도 동해안지역에서는 귀신단지, 귀신동이, 귀신종이, 조상이라는 명칭과 함께 단지․항아리․종이 형태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의의가정신앙의 조상은 무속과 같이 억울하게 죽은 사령과는 관련이 없는 조상 이다. 가정신앙의 조상은 유교식 조상과 융화되어 조상 숭배를 문화적 전통으로 전승하는 토대가 되었다. 이러한 조상은 단순히 선조(先祖)라는 개념 이상으로 종교적 기능도 지닌다. [가신](/topic/가신)으로서 조상은 혈연적 조상을 숭배하기 위해 모시는 유교적 조상이 아니라 가족의 안녕은 물론 농경사회에서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신, 출산을 관장하는 삼신이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가정신앙의 조상은 무속이나 유교의 신과 구별되며 웃어른으로서 혈연적 관계는 물론 초월적 힘을 가진 영적 존재로 믿어지는 신앙적 측면이 우선시되는 신이다.
참고문헌家禮, 三國志
三國遺事
禮記
後漢書
영남지방의 민간신앙과 김알지 신화 (장주근, 문화재 3, 문화재청, 1967)
한국 가족제도 연구 (김두헌, 서울대학교출판부, 1969)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남․전북 (문화재관리국, 1969~1970)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북 (문화재관리국, 1974)
한국의 향토신앙 (장주근, 을유문화사, 1975)
한국 민간신앙의 [조상숭배](/topic/조상숭배)-유교 제례 이외의 전승 자료에 대하여 (장주근, 한국문화인류학 15, 한국문화인류학회, 1983)
한국고대종교사상 (리은봉, 집문당, 1984)
무속의 조상숭배 (장주근, 한국문화인류학 18, 한국문화인류학회, 1986)
한국민속학개론 (박계홍, 형설출판사, 1987)
한국 민속학 개설 (이두현․장주근․이광규, 일조각, 2004)
한국의 가정신앙-상․하 (김명자 외, 민속원, 2005)
Josang is a god widely worshipped in Korean folk religion, which in narrow terms refers to one’s immediate ancestors or offspring, but in broader terms refers to any deceased relative or unrelated soul that can affect the family.

As a household god, Josang refers to one’s immediate ancestors or offspring, but they are viewed as transcendental beings rather than blood relations. On the other hand, Josang as a shamanic god includes all immediate and extended family, both male and female, and all other deceased souls that can influence the family, including those who died before marriage, who died a tragic or untimely death.

Rituals for Josang as a household god are quite different from shamanic rituals or Confucian memorial services. Rice or mulberry paper is kept inside earthenware jars or baskets as sacred entity and replaced each year, sometimes accompanied by a shamanic ritual. On seasonal holidays, a ritual table is set up in front of the sacred entity and a worship ritual is held for Josang. In some regions, Josang is worshipped as a higher god than [[Seongju](/topic/HouseGuardianGod)](/topic/Seongju) (House Guardian God).

In shamanism, rituals include a Josang segment, in which all the ancestral gods meet their descendants, the shaman serving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When they meet, the ancestral gods reveal the grievances they carry from their past lives and express gratitude for the devotion of the descendants, promising care and support.

Josang is a deity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living, and thus has the biggest influence on them, playing a central role in shamanic belief. In shamanism, it is a widespread belief that lack of devotion in worshipping Josang results in trouble for the descendants, and that a well treated ghost will respond accordingly while an ill-treated ghost will respond accordingly as well.

In other words, despite a strong Confucian tradition of ancestral worship, the shamanic ancestral god Josang was also worshipped in a different manner and form.
___Josang___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l dios adorado ampliamente en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que en sentido restringido, se refiere a los ancestros o descendientes de una persona, pero en términos más generales, se refiere a todas las ramas de parientes fallecidos que puedan afectar a la familia.

Como un dios doméstico, ___Josang___ hace referencia a los antepasados o descendientes directos de una persona, pero ellos se consideran como seres trascendentales más que vinculados por sangre. En el ámbito del chamanismo, ___Josang___ comprende la familia inmediata y familia extensa, ambos hombres y mujeres, así como todas las almas de los fallecidos que puedan influenciar a los miembros familiares, incluyendo aquellos que murieron solteros y aquellos que murieron de manera trágica o prematura.

Los rituales para venerar a ___Josang___ como un dios del hogar son totalmente distintos de los chamánicos o confucianos. Los granos de arroz o papel de morera se guardan en el interior de jarras de barro o cestas como entidades sagradas. Sin embargo, a veces se acompaña un ritual chamánico para reemplazarlos por nuevos cada año. Los días feriados, se prepara una mesa ritual en frente de la entidad sagrada y se realiza un ritual para adorar a ___Josang___. Algunas regiones veneran a ___Josang___ como un dios superior al dios guardián del hogar, [[Seongju](/topic/DiosProtectordelHogar)](/topic/Seongju).

Los rituales chamánicos incluyen un segmento de ___Josang___, en los cuales todos los dioses ancestrales se encuentran con sus descendientes, en este caso, el chamán sirve como un medio de comunicación entre las dos partes. En el encuentro, los dioses ancestrales expresan sus agravios, y luego dan gracias por la devoción de sus descendientes y les prometen atención y apoyo.

___Josang___ es una deidad que se relaciona estrechamente con la vida de los seres humanos, y por tanto, es la que más influye en ellos, desempeñando un papel central en la creencia chamánica. En el ámbito del chamanismo, se persiste la creencia generalizada de que la falta de devoción en la veneración a ___Josang___ da lugar a muchos problemas entre sus descendientes, por lo que un espíritu bien tratado responderá debidamente, mientras un espíritu mal tratado responderá también en consecuencia. Dicho de otra forma, pese a la arraigada tradición confuciana en cuanto al culto a los antepasados, ___Josang___ es adorado de manera muy distinta en los rituales chamánicos.
民俗信仰所敬奉的神中之一,狭义上指依照血缘关系的直系尊属,广义上指可对家人造成影响的死者。

“祖先”是经常出现在民俗信仰中的神,作为家神的祖先与巫俗中的祖先存在差异。作为家神敬奉的祖先虽指直系尊属,但属于超越血缘的存在。而巫俗中敬奉的祖先则不分直旁系与男女,包含未婚而逝者,因事故而非正常死亡者,英年早逝者等对家人造成影响的所有祖先与死者。

家庭信仰所敬奉的祖先祭礼,与巫俗及儒教祭祀存在着很大的不同。在坛子,缸,柳条箱等容器中放入[大米](/topic/大米)或韩纸,一年换一次。更换大米或纸时,有时会请来巫师做法。每逢节日,先在神体前的祭案上摆放好供品,然后举行祭祖。在某些地区,祖先被视作地位高于[城主](/topic/城主)的神。

巫俗信仰中巫术的“祖先祭程”是祖先个体附体至巫师,使祖先和子孙间能够进行沟通的祭程。此时,祖先通过巫师见到子孙,吐露自己活在人世时的怨恨,感谢子孙的[孝](/topic/孝)心,同时约定自己将好好关照子孙们。

祖先是与活人的生活有着密切关系的神,行使着最大的影响力。因此,在巫俗中祖先起到了中心作用。巫俗中有“怠慢祖先,后孙有祸”的观念。同时,还有“鬼得到多少回报多少,失去多少报复多少”的说法,亦为要好好敬奉死者灵魂的观念。由此可见巫俗中祖先的特征,即虽然持续了儒教式的文化传统,还被认知为不同于儒教的独特内涵。
의의가정신앙의 조상은 무속과 같이 억울하게 죽은 사령과는 관련이 없는 조상 이다. 가정신앙의 조상은 유교식 조상과 융화되어 조상 숭배를 문화적 전통으로 전승하는 토대가 되었다. 이러한 조상은 단순히 선조(先祖)라는 개념 이상으로 종교적 기능도 지닌다. [가신](/topic/가신)으로서 조상은 혈연적 조상을 숭배하기 위해 모시는 유교적 조상이 아니라 가족의 안녕은 물론 농경사회에서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신, 출산을 관장하는 삼신이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가정신앙의 조상은 무속이나 유교의 신과 구별되며 웃어른으로서 혈연적 관계는 물론 초월적 힘을 가진 영적 존재로 믿어지는 신앙적 측면이 우선시되는 신이다.
참고문헌家禮, 三國志
三國遺事
禮記
後漢書
영남지방의 민간신앙과 김알지 신화 (장주근, 문화재 3, 문화재청, 1967)
한국 가족제도 연구 (김두헌, 서울대학교출판부, 1969)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남․전북 (문화재관리국, 1969~1970)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북 (문화재관리국, 1974)
한국의 향토신앙 (장주근, 을유문화사, 1975)
한국 민간신앙의 [조상숭배](/topic/조상숭배)-유교 제례 이외의 전승 자료에 대하여 (장주근, 한국문화인류학 15, 한국문화인류학회, 1983)
한국고대종교사상 (리은봉, 집문당, 1984)
무속의 조상숭배 (장주근, 한국문화인류학 18, 한국문화인류학회, 1986)
한국민속학개론 (박계홍, 형설출판사, 1987)
한국 민속학 개설 (이두현․장주근․이광규, 일조각, 2004)
한국의 가정신앙-상․하 (김명자 외, 민속원, 2005)
Josang is a god widely worshipped in Korean folk religion, which in narrow terms refers to one’s immediate ancestors or offspring, but in broader terms refers to any deceased relative or unrelated soul that can affect the family.

As a household god, Josang refers to one’s immediate ancestors or offspring, but they are viewed as transcendental beings rather than blood relations. On the other hand, Josang as a shamanic god includes all immediate and extended family, both male and female, and all other deceased souls that can influence the family, including those who died before marriage, who died a tragic or untimely death.

Rituals for Josang as a household god are quite different from shamanic rituals or Confucian memorial services. Rice or mulberry paper is kept inside earthenware jars or baskets as sacred entity and replaced each year, sometimes accompanied by a shamanic ritual. On seasonal holidays, a ritual table is set up in front of the sacred entity and a worship ritual is held for Josang. In some regions, Josang is worshipped as a higher god than [[Seongju](/topic/HouseGuardianGod)](/topic/Seongju) (House Guardian God).

In shamanism, rituals include a Josang segment, in which all the ancestral gods meet their descendants, the shaman serving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When they meet, the ancestral gods reveal the grievances they carry from their past lives and express gratitude for the devotion of the descendants, promising care and support.

Josang is a deity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the living, and thus has the biggest influence on them, playing a central role in shamanic belief. In shamanism, it is a widespread belief that lack of devotion in worshipping Josang results in trouble for the descendants, and that a well treated ghost will respond accordingly while an ill-treated ghost will respond accordingly as well.

In other words, despite a strong Confucian tradition of ancestral worship, the shamanic ancestral god Josang was also worshipped in a different manner and form.
___Josang___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l dios adorado ampliamente en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que en sentido restringido, se refiere a los ancestros o descendientes de una persona, pero en términos más generales, se refiere a todas las ramas de parientes fallecidos que puedan afectar a la familia.

Como un dios doméstico, ___Josang___ hace referencia a los antepasados o descendientes directos de una persona, pero ellos se consideran como seres trascendentales más que vinculados por sangre. En el ámbito del chamanismo, ___Josang___ comprende la familia inmediata y familia extensa, ambos hombres y mujeres, así como todas las almas de los fallecidos que puedan influenciar a los miembros familiares, incluyendo aquellos que murieron solteros y aquellos que murieron de manera trágica o prematura.

Los rituales para venerar a ___Josang___ como un dios del hogar son totalmente distintos de los chamánicos o confucianos. Los granos de arroz o papel de morera se guardan en el interior de jarras de barro o cestas como entidades sagradas. Sin embargo, a veces se acompaña un ritual chamánico para reemplazarlos por nuevos cada año. Los días feriados, se prepara una mesa ritual en frente de la entidad sagrada y se realiza un ritual para adorar a ___Josang___. Algunas regiones veneran a ___Josang___ como un dios superior al dios guardián del hogar, [[Seongju](/topic/DiosProtectordelHogar)](/topic/Seongju).

Los rituales chamánicos incluyen un segmento de ___Josang___, en los cuales todos los dioses ancestrales se encuentran con sus descendientes, en este caso, el chamán sirve como un medio de comunicación entre las dos partes. En el encuentro, los dioses ancestrales expresan sus agravios, y luego dan gracias por la devoción de sus descendientes y les prometen atención y apoyo.

___Josang___ es una deidad que se relaciona estrechamente con la vida de los seres humanos, y por tanto, es la que más influye en ellos, desempeñando un papel central en la creencia chamánica. En el ámbito del chamanismo, se persiste la creencia generalizada de que la falta de devoción en la veneración a ___Josang___ da lugar a muchos problemas entre sus descendientes, por lo que un espíritu bien tratado responderá debidamente, mientras un espíritu mal tratado responderá también en consecuencia. Dicho de otra forma, pese a la arraigada tradición confuciana en cuanto al culto a los antepasados, ___Josang___ es adorado de manera muy distinta en los rituales chamánicos.
民俗信仰所敬奉的神中之一,狭义上指依照血缘关系的直系尊属,广义上指可对家人造成影响的死者。

“祖先”是经常出现在民俗信仰中的神,作为家神的祖先与巫俗中的祖先存在差异。作为家神敬奉的祖先虽指直系尊属,但属于超越血缘的存在。而巫俗中敬奉的祖先则不分直旁系与男女,包含未婚而逝者,因事故而非正常死亡者,英年早逝者等对家人造成影响的所有祖先与死者。

家庭信仰所敬奉的祖先祭礼,与巫俗及儒教祭祀存在着很大的不同。在坛子,缸,柳条箱等容器中放入[大米](/topic/大米)或韩纸,一年换一次。更换大米或纸时,有时会请来巫师做法。每逢节日,先在神体前的祭案上摆放好供品,然后举行祭祖。在某些地区,祖先被视作地位高于[城主](/topic/城主)的神。

巫俗信仰中巫术的“祖先祭程”是祖先个体附体至巫师,使祖先和子孙间能够进行沟通的祭程。此时,祖先通过巫师见到子孙,吐露自己活在人世时的怨恨,感谢子孙的[孝](/topic/孝)心,同时约定自己将好好关照子孙们。

祖先是与活人的生活有着密切关系的神,行使着最大的影响力。因此,在巫俗中祖先起到了中心作用。巫俗中有“怠慢祖先,后孙有祸”的观念。同时,还有“鬼得到多少回报多少,失去多少报复多少”的说法,亦为要好好敬奉死者灵魂的观念。由此可见巫俗中祖先的特征,即虽然持续了儒教式的文化传统,还被认知为不同于儒教的独特内涵。
울진군 북면·대구경북향토사연구협의회북면 사람들의 삶과 민속한양명 외2006
울진군 온정면·대구경북향토사연구협의회온정면 사람들의 삶과 민속한양명 외2006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동해안 굿의 전승과 변화윤동환2007
한수원 울진원자력본부·안동대학교남자는 그물 치고 여자는 모를 심고한양명 외2007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13824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13823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13822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13821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소돈지 김판용씨댁 조상
13820
소돈지 김판용씨댁 조상
읍포 임상희씨댁 조상
13819
읍포 임상희씨댁 조상
읍포 임상희씨댁 조상
13818
읍포 임상희씨댁 조상
읍포 이점순씨댁 조상
13817
읍포 이점순씨댁 조상
읍포 이점순씨댁 조상
13816
읍포 이점순씨댁 조상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13824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13823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13822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13821
소돈지 변정부씨댁 조상
소돈지 김판용씨댁 조상
13820
소돈지 김판용씨댁 조상
읍포 임상희씨댁 조상
13819
읍포 임상희씨댁 조상
읍포 임상희씨댁 조상
13818
읍포 임상희씨댁 조상
읍포 이점순씨댁 조상
13817
읍포 이점순씨댁 조상
읍포 이점순씨댁 조상
13816
읍포 이점순씨댁 조상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