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7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대감시루
    749 2023.02.27
    서울과 경기도 일대를 비롯해 관북과 관서 지역의 무속에서도 모셔지는 신령인 대감신을 위해 차려지는 [제물](/topic/제물).
  • 메밀묵
    617 2023.02.27
    충청남도 지역 가정신앙에서 [안택](/topic/안택)을 할 때 도깨비 터에 올리는 [메밀](/topic/메밀)로 만든 묵.
  • 산바라기상
    596 2023.02.27
    산신을 위해 차려지는 상.
  • 연양탁상
    578 2023.02.27
    제주도굿에서 굿을 할 때 차려 놓는 [제상](/topic/제상).
  • 조라술
    521 2023.02.27
    산신제(山神祭)나 [용왕제](/topic/용왕제)(龍王祭) 등에서 산신과 용왕께 올리는 술.
  • 감흥시루
    1368 2023.02.27
    황해도굿에서 감흥당을 꾸미고 나서 바치는 시루며, 경우에 따라 감흥신을 위해 올리는 시루를 지칭하기도 함.
  • 대령상
    807 2023.02.27
    제주도굿에서 사용하는 굿상 가운데 하나.
  • 목제남근
    593 2023.02.27
    소나무 등 나무를 깎아서 만든 모형 남근.
  • 삼신밥
    578 2023.02.27
    아기가 태어나면 [삼신상](/topic/삼신상) 위에 차려 놓던 밥. 백미로 밥을 짓고 해산미역으로 국을 끓여서 먼저 삼신할미 앞에 차린다. 이때 삼신상 위에 올린 밥을 ‘삼신밥’이라고 한다.
  • 연지당상
    583 2023.02.27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에서 지장보살을 모시기 위해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
  • 조상상
    554 2023.02.27
    서울굿에서 조상을 대접하기 위해 차린 상.
  • 973 2023.02.27
    [마을](/topic/마을)신의 [흠향](/topic/흠향)을 위해, 혹은 특정 대상신에게 부정(不淨)행위를 하여 주재집단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바치는 [제물](/topic/제물).
  • 대상
    707 2023.02.27
    서울굿에서 [관성제군](/topic/관성제군)과 [최영](/topic/최영)[장군](/topic/장군)을 위해 차리는 굿상 가운데 하나.
  • 미역
    624 2023.02.27
    가정신앙에서 산모가 아이를 낳거나 삼신고사를 지낼 때 주로 사용하는 [제물](/topic/제물). 감곽(甘藿) 또는 해채(海菜)라고도 한다.
  • 상식상
    596 2023.02.27
    서울굿의 상식거리에서 망자가 극락으로 가기 전에 마지막으로 받는 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