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답

한국무속신앙사전
[마을](/topic/마을) 공동 소유의 농경지.
definition
[마을](/topic/마을) 공동 소유의 농경지.
mp3Cnt
0
wkorname
이인화
정의[마을](/topic/마을) 공동 소유의 농경지.
정의[마을](/topic/마을) 공동 소유의 농경지.
내용전답, [위토](/topic/위토), 도지, 산제답, 성황답 등 [마을](/topic/마을)마다 모시는 당신에 따라 사용되는 용어가 다르다. 동답은 산제, 고목제, [샘제](/topic/샘제), 유황제 등 마을공동제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소유하는 마을공동답이다. 많은 곳은 26,400㎡까지도 있다. 동답의 소출로 [시루떡](/topic/시루떡), 돼지머리, 김, 명태, 밤, [대추](/topic/대추), [사과](/topic/사과) 등을 마련하는 데 드는 제비와 무당 축원비, [제관](/topic/제관) 수고비 등의 경비를 충당한다.
참고문헌충청남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충남지방 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91)
조선땅 [마을](/topic/마을)지킴이 (주강현·장정룡, 열화당, 1993)
부여지역의 민속신앙 (이필영, 역사민속학 6, 역사민속학회, 1997)
금산의 탑 신앙 (강성복, 금산문화원, 1999)
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2000)
마을신앙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 (이필영, 웅진닷컴, 2000)
정선지역 동제의 특징 (권혁준, 강원민속학 19, 강원도민속학회, 2005)
춘천의 동제연구 (김의숙, 강원민속학 19, 강원도민속학회, 2005)
태백시의 동제와 성신앙 (김기설, 강원민속학 19, 강원도민속학회, 2005)
내포지역 마을제당의 민속지리 (이인화, 민속원, 2006)
내용전답, [위토](/topic/위토), 도지, 산제답, 성황답 등 [마을](/topic/마을)마다 모시는 당신에 따라 사용되는 용어가 다르다. 동답은 산제, 고목제, [샘제](/topic/샘제), 유황제 등 마을공동제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소유하는 마을공동답이다. 많은 곳은 26,400㎡까지도 있다. 동답의 소출로 [시루떡](/topic/시루떡), 돼지머리, 김, 명태, 밤, [대추](/topic/대추), [사과](/topic/사과) 등을 마련하는 데 드는 제비와 무당 축원비, [제관](/topic/제관) 수고비 등의 경비를 충당한다.
참고문헌충청남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충남지방 장승솟대신앙 (국립민속박물관, 1991)
조선땅 [마을](/topic/마을)지킴이 (주강현·장정룡, 열화당, 1993)
부여지역의 민속신앙 (이필영, 역사민속학 6, 역사민속학회, 1997)
금산의 탑 신앙 (강성복, 금산문화원, 1999)
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2000)
마을신앙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 (이필영, 웅진닷컴, 2000)
정선지역 동제의 특징 (권혁준, 강원민속학 19, 강원도민속학회, 2005)
춘천의 동제연구 (김의숙, 강원민속학 19, 강원도민속학회, 2005)
태백시의 동제와 성신앙 (김기설, 강원민속학 19, 강원도민속학회, 2005)
내포지역 마을제당의 민속지리 (이인화, 민속원, 2006)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