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7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텃대감상
    458 2023.02.27
    터를 관장하는 텃대감 몫으로 마련되는 굿상.
  • 572 2023.02.27
    벼의 알맹이로 성주·조상·터주·철륭 등 [가신](/topic/가신)에게 정기적으로 올리는 [제물](/topic/제물).
  • 578 2023.02.27
    [한지](/topic/한지)를 비롯하여 김, 취나물, [시금치](/topic/시금치) 등 나물에 밥을 싸서 종교적 목적으로 바치는 공물(供物)의 일종. 주로 [우물](/topic/우물), 강, 바다에 임재한 수신(水神)에게 환심을 사거나 재앙을 구축하기 위해 바친다. 노적을 모방하여 풍농을 기원하기 위해 만든다.
  • 오곡밥
    563 2023.02.27
    중요한 곡식 다섯 [가지](/topic/가지)로 지은 밥. 주로 음력 정월 열나흗날이나 대보름날에 지어서 집안의 여러 [가신](/topic/가신)(家神)에게 올린 다음 식구나 이웃 간에 나누어 먹는다. 더러는 이월영등일과 [용왕제](/topic/용왕제)를 지내기 위해 [오곡](/topic/오곡)밥을 지어 올리기도 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찰밥](/topic/찰밥), 잡곡밥, 오곡잡밥 등으로 부른다.
  • 정월떡
    600 2023.02.27
    매년 음력 시월 또는 정월에 가정의 평안과 농사의 풍년에 대한 기원 및 감사 등의 목적으로 행하는 의례인 [안택](/topic/안택), 특히 정월에 행하는 안택에서 준비하는 떡 또는 이 떡으로 치르는 의례를 의미하기도 한다.
  • 객귀밥
    986 2023.02.27
    개인이 [고사](/topic/고사)나 제사를 지낸 후나 무속에서 굿의 맨 마지막에 객귀들을 위해 차려놓는 [제물](/topic/제물). 객귀는 객사하거나 횡사 또는 [옥사](/topic/옥사)해서 원한이 맺혀 저승에 들어[가지](/topic/가지) 못하고 이승에 떠돌며 인간을 가해하는 잡신을 말한다. 객귀밥은 치밥(키밥), 물밥, 물귀밥, 물앞, 까치밥, 바가치밥(바가지밥), 뒷밥, 뒷전밥, [거리밥](/topic/거리밥)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이를 차린 상은 객귀상, [뒷전상](/topic/뒷전상), [사자상](/topic/사자상), 손님상 등으로 불린다.
  • 정화수
    617 2023.02.27
    새벽 일찍이 [우물](/topic/우물)에서 길어온 물.
  • 고추
    938 2023.02.27
    아들이 출생하거나 환자가 발생할 때 부정을 씻기 위해 사용한 벽사물.
  • 팥죽
    584 2023.02.27
    동지 때 가정에서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의 침입을 막기 위해 집의 가정신이 머무는 곳에 뿌리는 팥으로 만든 죽.
  • 된장
    631 2023.02.27
    콩을 삶아서 띄운 메주와 소금물을 옹기 독에 넣어 장기간 숙성시킨 다음에 우러난 간장을 떠내고 남은 건더기를 계속 숙성시켜 만든 발효식품으로서, ‘객귀(客鬼) 물리기’와 ‘동티잡이’, ‘액막이’ 등 측신의 노여움을 푸는 주술적인 의례 등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저장](/topic/저장)음식.
  • 메밀묵
    638 2023.02.27
    충청남도 지역 가정신앙에서 [안택](/topic/안택)을 할 때 도깨비 터에 올리는 [메밀](/topic/메밀)로 만든 묵.
  • 미역
    625 2023.02.27
    가정신앙에서 산모가 아이를 낳거나 삼신고사를 지낼 때 주로 사용하는 [제물](/topic/제물). 감곽(甘藿) 또는 해채(海菜)라고도 한다.
  • 밀떡
    660 2023.02.27
    유두날이나 칠월칠석날 밀로 만들어 올리는 떡.
  • 북어
    643 2023.02.27
    명태를 일컫는 명칭 가운데 하나로 북쪽 바다에서 많이 잡혔기 때문에 북어라고 불림. 현재는 일반적으로 말린 명태를 의미한다. 신과 인간을 연결하는 매개물로서 일반 제례나 [고사](/topic/고사) 등에 북어를 [제물](/topic/제물)로 올렸다.
  • 삼신밥
    599 2023.02.27
    아기가 태어나면 [삼신상](/topic/삼신상) 위에 차려 놓던 밥. 백미로 밥을 짓고 해산미역으로 국을 끓여서 먼저 삼신할미 앞에 차린다. 이때 삼신상 위에 올린 밥을 ‘삼신밥’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