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7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청단일
    533 2023.02.27
    [마을](/topic/마을)제사를 지낼 [제관](/topic/제관)을 뽑는 날.
  • 고드개 무당
    1063 2023.02.27
    함경도 무속 현장에서 쓰이는 용어로써 [내림굿](/topic/내림굿)을 받고 얼마 되지 않은 새 무당.
  • 694 2023.02.27
    사람의 육신에 깃들어 목숨을 지탱해주고 있다는 기운 또는 실체.
  • 동사
    706 2023.02.27
    [마을](/topic/마을)회의나 행사·휴식을 위해서 사용하는 마을 공동의 공간으로 동제를 앞둔 [제관](/topic/제관)들이 근신을 위해 합숙 하거나 제의를 준비하기도 하는 장소.
  • 박수
    628 2023.02.27
    남자 무당을 일컫는 말.
  • 삼재
    613 2023.02.27
    사람의 태어난 해에 따라 주기적으로 찾아드는 나쁜 운수로서 세 [가지](/topic/가지) 재난인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災) 혹은 도병재(刀兵災), 역려재(疫癘災), 기근재(饑饉災) 등을 말함.
  • 신딸
    653 2023.02.27
    무속신앙에서 신어머니로부터 신의 계통을 이어받는 여자 무당.
  • 의무
    585 2023.02.27
    질병을 치료하는 무당. 무의(巫醫)라고도 한다.
  • 청송무당
    531 2023.02.27
    서울 지역에서 남이 맡은 굿판에 불려가 굿을 연행하는 무당. 청승무당, 청배무당, 정성무당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재가집](/topic/재가집)으로부터 굿을 의뢰받아 굿을 담당하는 무당을 당주무당이라고 하며 당주무당이 자신의 굿판에 불러 함께 굿을 연행하는 무당을 청송무당이라고 한다.
  • 고수레
    984 2023.02.27
    사람이 음식을 먹기 전에 조금 떼어 허공에 던지면서 “고[수레](/topic/수레)”라고 외치는 민간신앙 행위.
  • 노누메기
    703 2023.02.27
    서울굿을 비롯한 해서 지역의 굿에서 구현되는 음식과 굿 비용을 나누는데 작용하는 분배의 원리.
  • 동제계
    667 2023.02.27
    동제의 준비와 봉행, 동제를 위한 기금이나 전답의 관리 등 동제의 전승을 목적으로 조직된 계(契).
  • 반기
    617 2023.02.27
    제사나 잔치를 마치고 나서 목판에 몫몫이 담아 이웃이나 친척들에게 나누어주는 음식. 동제를 마친 뒤에도 동제의 [제물](/topic/제물)을 집집마다 나누어 주거나 나누어 먹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 삼칠일
    624 2023.02.27
    중요한 일이 발생한 날로부터 7일을 세 번 지낼 때까지 금기(禁忌)를 지키거나 특별한 의미를 두어 대응하는 기간.
  • 신법
    639 2023.02.27
    무당들의 철저한 규칙과 규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