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차례

한국무속신앙사전
음력 9월 9일에 지내는 차례(茶禮). 설, 삼짇날, 단오, 유두, 추석, 동지 등과 함께 명절에 지내는 절사(節祀) 가운데 하나이다. [구일차례](/topic/구일차례)(九日茶禮) 또는 중구제사(重九祭祀)라고도 한다.
definition
음력 9월 9일에 지내는 차례(茶禮). 설, 삼짇날, 단오, 유두, 추석, 동지 등과 함께 명절에 지내는 절사(節祀) 가운데 하나이다. [구일차례](/topic/구일차례)(九日茶禮) 또는 중구제사(重九祭祀)라고도 한다.
mp3Cnt
0
wkorname
윤동환
정의음력 9월 9일에 지내는 차례(茶禮). 설, 삼짇날, 단오, 유두, 추석, 동지 등과 함께 명절에 지내는 절사(節祀) 가운데 하나이다. [구일차례](/topic/구일차례)(九日茶禮) 또는 중구제사(重九祭祀)라고도 한다.
정의음력 9월 9일에 지내는 차례(茶禮). 설, 삼짇날, 단오, 유두, 추석, 동지 등과 함께 명절에 지내는 절사(節祀) 가운데 하나이다. [구일차례](/topic/구일차례)(九日茶禮) 또는 중구제사(重九祭祀)라고도 한다.
내용중구차례(重九茶禮)는 첫째로 명절(名節)에 지내는 [속절](/topic/속절)제(俗節祭)의 성격을 지닌다. [추석차례](/topic/추석차례)는 일종의 추수감사제로 조상에게 천신(薦新)하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농작물의 작황과 추수의 시기에 따라 [수확](/topic/수확)이 미루어지는 경우 음력 9월 9일 중구차례로 대체하였다.

둘째로 추석차례를 지내려고 할 때 집안에 부정이 끼게 되어 중구(重九)로 미루는 경우이다. 민속신앙에서 부정은 재앙이나 질병을 유발하고, 악귀를 자극하거나 신령의 노여움을 촉발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양수가 겹친 중구에 차례를 지낸다.

셋째로 추석에 차례를 지내고 중구에 무연고의 조상이나 무사귀신(無祀鬼神)에게 차례를 지낸다. 조상으로 좌정한 신들은 추석차례에서 대접을 받지만 그 밖의 귀신들은 그렇지 못하다. 조선시대 기록에는 전염병이 돌 때 무사귀신과 역신(疫神)에게 제사한 여제(厲祭)의 기록이 곳곳에 나타난다. 무사귀신은 인간에게 탈을 주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중구에 차례를 지낸다.

넷째로 특정 조상을 위해 차례를 지내는 경우가 있다. 충남 연기군 금남면 반곡리의 진병돈씨 일가에서는 4대조인 위정과 3대조인 화잠내외의 차례를 중구에 지낸다. 대체로 가을에 신곡(新穀)을 수확하면 조상에게 천신하기 위하여 차례나 시제(時祭)를 지낸다. [문중](/topic/문중)에 따라 시제를 지내는 시기가 일정치 않으나 추수가 끝난 뒤에 날을 골라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로 음력 시월에 모시지만 그밖에 한식, 삼짇날, 중구 등에도 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내용중구차례(重九茶禮)는 첫째로 명절(名節)에 지내는 [속절](/topic/속절)제(俗節祭)의 성격을 지닌다. [추석차례](/topic/추석차례)는 일종의 추수감사제로 조상에게 천신(薦新)하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농작물의 작황과 추수의 시기에 따라 [수확](/topic/수확)이 미루어지는 경우 음력 9월 9일 중구차례로 대체하였다.

둘째로 추석차례를 지내려고 할 때 집안에 부정이 끼게 되어 중구(重九)로 미루는 경우이다. 민속신앙에서 부정은 재앙이나 질병을 유발하고, 악귀를 자극하거나 신령의 노여움을 촉발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양수가 겹친 중구에 차례를 지낸다.

셋째로 추석에 차례를 지내고 중구에 무연고의 조상이나 무사귀신(無祀鬼神)에게 차례를 지낸다. 조상으로 좌정한 신들은 추석차례에서 대접을 받지만 그 밖의 귀신들은 그렇지 못하다. 조선시대 기록에는 전염병이 돌 때 무사귀신과 역신(疫神)에게 제사한 여제(厲祭)의 기록이 곳곳에 나타난다. 무사귀신은 인간에게 탈을 주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중구에 차례를 지낸다.

넷째로 특정 조상을 위해 차례를 지내는 경우가 있다. 충남 연기군 금남면 반곡리의 진병돈씨 일가에서는 4대조인 위정과 3대조인 화잠내외의 차례를 중구에 지낸다. 대체로 가을에 신곡(新穀)을 수확하면 조상에게 천신하기 위하여 차례나 시제(時祭)를 지낸다. [문중](/topic/문중)에 따라 시제를 지내는 시기가 일정치 않으나 추수가 끝난 뒤에 날을 골라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로 음력 시월에 모시지만 그밖에 한식, 삼짇날, 중구 등에도 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지역사례경북지역에서는 추석에 신곡이 없어 제사를 지내지 못하거나 출산 또는 초상을 치르게 되어 미루어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고령, 청도지역에서는 중구에 주인 없는 귀신의 제사를 지내면 좋다고 하여 지내는 집안이 있다. 영일(포항시)지역에서는 이날 방구석 [시렁](/topic/시렁)의 재미단지에 신곡을 넣어둔다. 안동, 달성, 영일, 월성(현 경주시), 영덕, 금릉(현 김천시) 등 지역에서는 이날 양수가 겹치는 날이라 하여 무슨 일이든 마음 놓고 한다.

인접한 충북지역에서도 추석에 햇곡식이 나지 않거나 차례를 지내지 못한 집안은 보편적으로 중구에 차례를 지낸다. 충주시 엄정면 목계리에서는 이날 후손이 없어 추석에 차례를 드리지 못한 [마을](/topic/마을)의 산소에 시사(時祀)를 지낸다.

전남의 강진, 영암, 무안 등의 지역에서도 마찬[가지](/topic/가지)로 중구에 떡을 하고 성주에게 밥을 올려 차례를 지냈다. 고흥과 완도지역에서는 떠돌아다니는 주인 없는 귀신의 제사라 하여 [제물](/topic/제물)을 차려놓는 가정도 있다.

함남지역에서도 [기후](/topic/기후) 악화로 음력 팔월에 햇곡식이 나지 않은 때에는 중구에 제수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황해도지역에서는 이날 [산신의 탄신일](/topic/산신의탄신일)이라고 하여 마을의 산신당에서 당제를 지냈다. 이때 친척 가운데 자식 없이 죽은 사람의 제사도 함께 지냈다.
참고문헌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남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북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4)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충북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6)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황해․평안남북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0)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함경남․북도 (문화재관리국, 1981)
충청북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경상북도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충남 연기군의 가정신앙 [구일차례](/topic/구일차례) 고찰 (윤동환, 한국의 가정신앙-하, 민속원, 2005)
문경민속지 세시풍속 ([문경새재](/topic/문경새재)박물관 외, 민속원, 2006)
한국의 가정신앙-전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지역사례경북지역에서는 추석에 신곡이 없어 제사를 지내지 못하거나 출산 또는 초상을 치르게 되어 미루어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고령, 청도지역에서는 중구에 주인 없는 귀신의 제사를 지내면 좋다고 하여 지내는 집안이 있다. 영일(포항시)지역에서는 이날 방구석 [시렁](/topic/시렁)의 재미단지에 신곡을 넣어둔다. 안동, 달성, 영일, 월성(현 경주시), 영덕, 금릉(현 김천시) 등 지역에서는 이날 양수가 겹치는 날이라 하여 무슨 일이든 마음 놓고 한다.

인접한 충북지역에서도 추석에 햇곡식이 나지 않거나 차례를 지내지 못한 집안은 보편적으로 중구에 차례를 지낸다. 충주시 엄정면 목계리에서는 이날 후손이 없어 추석에 차례를 드리지 못한 [마을](/topic/마을)의 산소에 시사(時祀)를 지낸다.

전남의 강진, 영암, 무안 등의 지역에서도 마찬[가지](/topic/가지)로 중구에 떡을 하고 성주에게 밥을 올려 차례를 지냈다. 고흥과 완도지역에서는 떠돌아다니는 주인 없는 귀신의 제사라 하여 [제물](/topic/제물)을 차려놓는 가정도 있다.

함남지역에서도 [기후](/topic/기후) 악화로 음력 팔월에 햇곡식이 나지 않은 때에는 중구에 제수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황해도지역에서는 이날 [산신의 탄신일](/topic/산신의탄신일)이라고 하여 마을의 산신당에서 당제를 지냈다. 이때 친척 가운데 자식 없이 죽은 사람의 제사도 함께 지냈다.
참고문헌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전남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69)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경북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4)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충북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6)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황해․평안남북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0)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함경남․북도 (문화재관리국, 1981)
충청북도 [세시풍속](/topic/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
경상북도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충남 연기군의 가정신앙 [구일차례](/topic/구일차례) 고찰 (윤동환, 한국의 가정신앙-하, 민속원, 2005)
문경민속지 세시풍속 ([문경새재](/topic/문경새재)박물관 외, 민속원, 2006)
한국의 가정신앙-전남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신구문화사제주도무속자료사전현용준1980
집문당한국무속연구김태곤1981
도서출판 民俗苑한국의 굿하효길 외2002
제주무속학사전진성기2004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