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라술

한국무속신앙사전
산신제(山神祭)나 [용왕제](/topic/용왕제)(龍王祭) 등에서 산신과 용왕께 올리는 술.
definition
산신제(山神祭)나 [용왕제](/topic/용왕제)(龍王祭) 등에서 산신과 용왕께 올리는 술.
mp3Cnt
0
wkorname
김상보
정의산신제(山神祭)나 [용왕제](/topic/용왕제)(龍王祭) 등에서 산신과 용왕께 올리는 술.
내용보통은 술을 빚어서 제단 옆에 묻었다가 쓰는데 조라라고도 한다. 신성한 신께 올리는 이 술은 만드는 과정에서부터 엄격한 관리를 받는다.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서 봄에 행사하는 은산별신제 때 산신께 올리는 조라술은 누룩만들기, 물봉하기, 고두밥만들기, 고두밥과 누룩섞기, 항아리에 담기, 숙성시키기, 조라술병에 담기 등 순으로 술을 빚는다.

누룩은 별신제를 행하는 해의 전년 음력 8월에 만든다. 통밀을 [맷돌](/topic/맷돌)에 갈아 지하수를 끓여서 식힌 물로 간신히 뭉쳐질 정도가 되게 반죽한 다음 누룩판에 [삼베](/topic/삼베)를 깔고 반죽을 넣는다. 그 위에 삼베로 덮고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발로 단단히 밟아 다져 성형시킨다. 이것이 누룩디디기이다. 만들어진 누룩은 25도에서 28도 정도의 건조한 곳에서 약 한 달간 사오일 간격으로 뒤집어 주면서 쑥을 덮어 띄운다. 숙성이 끝나면 덩[어리](/topic/어리)채 단지 안에 보관하였다가 이듬 해 봄에 조라술을 빚을 때 [절구](/topic/절구)통에 담아 곱게 빻아 성긴 체(도두미)로 쳐서 그늘에 두어 이삼 일 동안 말린다.

술 담그는 책임을 맡은 화주(火主, [제관](/topic/제관))는 별신제 올리기 사흘 전에 [대문](/topic/대문)에 [금줄](/topic/금줄)을 치거나 별신당 뒷산에서 가져온 [황토](/topic/황토)를 대문 밖에 놓는 등의 부정 예방 의례를 한 다음 목욕재계한다. 이른 새벽이 되면 별신당 옆의 가로질러 흐르는 은산천으로 가서 조라술 만들기 위한 물을 길어오기 위하여 금줄을 치고 물을 봉한다. 이어서 제물 없이 간단한 제사를 지내고는 위쪽 상탕(上湯)에서 물동이에 물을 떠 담아 집으로 돌아온다. 일단 금줄을 치면 별신제가 끝날 때까지 누구도 상탕의 물을 사용할 수 없다.

쌀을 세 시간 이상 물에 불렸다가 시루에 쪄서 고두밥(술밥)을 만든다. 이 술밥용 쌀은 정월 초사흗날에 은산면의 각 집에서 걸립하여 [저장](/topic/저장)해 둔 쌀이다. 술밥이 완성되면 갈대로 엮어 만든 삿[자리](/topic/자리) 위에다 펼쳐서 싸늘하게 식힌다. 나팔수가 나팔을 부는 가운데 주걱과 손을 사용해 고두밥과 누룩이 잘 섞이도록 비벼 준다.

화주댁으로 누룩 섞은 고두밥을 옮겨와 은산천 상탕에서 길어온 물과 혼합하여 항아리에 담는다. [한지](/topic/한지)로 항아리 입을 단단히 봉하고 풍물패의 [장단](/topic/장단)에 맞추어 술이 잘 익도록 빌고는 사흘 동안 방 안에 술 항아리를 놓아 두는데, 그 사이 방에 불을 때어 숙성시킨다. 제사 날 개봉하여 용수를 박는다. 이것이 조라술이다. 화주는 항아리에서 조라술을 퍼 조라술병에 담아 별신당으로 운반한다.

산신제는 [분향](/topic/분향)(焚香), 강신(降神), [참신](/topic/참신)(參神), [초헌](/topic/초헌)(初獻), 산신축(山神祝), [아헌](/topic/아헌)(亞獻), [장군](/topic/장군)축(將軍祝), [종헌](/topic/종헌)(終獻), 동민들의 [헌작](/topic/헌작), 소지(燒紙)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삼헌으로 조라술을 헌주(獻酒)한 유교식 제사가 자정 쯤에 끝나면 상에 차린 제물을 걷고 제사에 참석한 모든 사람은 별신당 앞 뜰에서 산신이 드시고 남긴 조라술과 안주를 골고루 [음복](/topic/음복)한다. 이 때 [삼현육각](/topic/삼현육각)과 풍물패의 가락이 울리며, 사람들은 산신이 내려주신 복(福)을 즐거워하면서 밤새 노래하며 춤을 춘다[飮酒歌舞]. 이처럼 산신께 올린 조라술은 철저한 음복(飮福)이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신성성이 공음공식(共飮共食)으로 확인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무·굿과 음식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高麗史
新增東國輿地勝覽
三國遺事
집문당도깨비고임동권1971
효성여대목랑고박은용1986
계명대학교두두리(목랑) 재고강은해1989
예림기획한국난타의 원형, 두두리 도깨비의 세계강은해2003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