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딸

한국무속신앙사전
무속신앙에서 신어머니로부터 신의 계통을 이어받는 여자 무당.
definition
무속신앙에서 신어머니로부터 신의 계통을 이어받는 여자 무당.
mp3Cnt
0
wkorname
오세길
정의무속신앙에서 신어머니로부터 신의 계통을 이어받는 여자 무당.
Sinttal es el término que significa literalmente “hija espiritual” y se refiere a un chamán femenino que ha sido aceptado en el linaje divino de su madre espiritual.

La relación entre una hija o hijo espiritual y su madre o padre espiritual se establece entre los chamanes poseídos llamados gangsinmu en base a los vínculos de sangre y el linaje de la llamada chamánica.

La madre espiritual acepta a un chamán poseído como su hija espiritual mediante el ritual de la iniciación chamánica llamado naerimgut que no sirve solo para un rito de iniciación, sino también para un rito de curación de la enfermedad espiritual que padece el chamán poseído.

Las hijas e hijos espirituales bajo el ala de la misma madre o padre espiritual llegan a ser como hermanos. Estas relaciones son generalmente más vinculantes que la relaciones de parentesco y también más estructuradas y organizadas. Las normas que rigen estas relaciones se llaman sinbeop, el término que significa “leyes espirituales”.

Un proceso de enseñanza y aprendizaje de prácticas chamánicas tiene lugar entre una hija espiritual y su madre espiritual. En el pasado, ellas vivían bajo el mismo techo durante al menos tres años entrenando cada uno de los elementos de un ritual chamánico, pero en tiempos contemporáneos, una hija espiritual a veces efectúa la práctica independiente del chamanismo siguiendo su ritual de la iniciación debido a la noción general de que los chamanes recién iniciados poseen los tremendos poderes espirituales. No obstante, la mayoría de chamanes aprenden las prácticas básicas acerca de la adivinación, plegarias y las preparaciones de la comida sacrificial, accesorios chamánicos y sitios de rituales de su madre espiritual.
내용신딸은 강신무권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남자의 경우 신아들이라 한다. 이때 신딸에게 신의 계통을 이어주는 사람을 ‘신어머니’ 혹은 ‘신아버지’라고 한다. 이것은 혈족에 따른 실제적 관계가 아니라 허구적 친자관계의 형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 목적도 무속신앙과 관련된 것으로 제한된다.

신어머니와 신딸 간의 관계는 형식적으로는 신어머니로부터 신딸이 [신내림](/topic/신내림)굿을 받는 순간부터 형성되지만 실제로는 [내림굿](/topic/내림굿)을 하기 이전부터 시작되기도 한다. 보통 [신병](/topic/신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먹지 못하는 등 정신적·육체적 고통을 경험한다. 이때 무당을 찾게 되고, 무당을 통해 자신이 신내림을 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게 된다. 그러나 곧바로 신내림굿을 받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붙어 있는 거짓 신령인 허주를 가려내고 올바른 [몸주신](/topic/몸주신)을 맞이하기 위한 정화기간을 [가지](/topic/가지)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모든 것을 총괄하는 사람은 장차 신어머니가 될 무당이다. 따라서 이때 이미 실제적인 신딸과 신어미의 관계가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개인에 따라서는 신내림을 결심한 이후 며칠 내로 신내림굿을 받기도 한다.

신굿, 내림굿, 신풀이, 명두굿으로 불리는 신내림굿은 신병의 치유와 함께 무당으로 입문하게 되는 공식적인 [통과의례](/topic/통과의례)이다. 보편적으로 신내림굿을 주관하는 신어머니는 나이가 지긋이 든 큰무당으로서 영험하고 굿을 잘하는 무당이며, 무업 경력을 많이 쌓아 신딸에게 많은 것을 전수해 줄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같은 신아버지·신어머니를 모시고 있는 신딸·신아들 사이에는 신형제·신자매의 관계가 맺어지며, 원칙적으로 이들의 관계는 혈통으로 맺어지는 가족이나 친족보다 훨씬 엄하고 의리가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다. 이러한 무당들 사이의 관계 설정에 대한 법칙을 ‘[신법](/topic/신법)’이라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현재에는 신딸과 신어머니뿐만 아니라 신형제·자매간의 유대의식도 느슨한 경우가 많다. 신내림굿을 받으려고 결정한 신딸들이 이름 난 신어머니를 모시려는 경향이 많아 신어머니의 입장에서는 모든 신딸에게 자신의 신 계통[문서]을 전수해 줄 현실적인 조건을 갖추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딸과 신어머니 간의 관계도 의례적이거나 형식적인 것에 그치기도 한다.

신어머니는 대개 큰무당이므로 보통 전문악사인 장구잽이와 징잽이를 고정적으로 데리고 있다. 신딸은 보통 장구잽이에게는 큰할머니, 징잽이에게 작은할머니라는 호칭을 사용한다. 신내림굿을 통해 처음으로 맺어지는 이들과의 관계도 평생 동안 지속되며, 질서와 규칙 또한 엄한 편이다.

신딸과 신어머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무의식의 가르침과 배움의 과정을 ‘학습’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최소 3년 이상 동거하며 하나에서 열까지 무업에 관한 모든 절차를 다 배워야 했지만, 요즘은 신내림굿을 마치고 곧바로 신딸이 독립하여 무업을 행하기도 한다. 신내림굿을 받은 지 얼마 되지 않은 무당은 신애기·애동 또는 애동제자라고 부르는데, 일반 사람들에게 이들 애동제자는 영험이 강하다고 인식되어 찾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이처럼 경제적인 이유로 신내림굿과 동시에 신딸은 신당을 차리고 독립하는 것이 현재의 추세이다. 하지만 이때 대개는 신어머니를 통해 기본적인 [점사](/topic/점사)의 방법이나 치성드리는 방법 등을 배운다. 또 신당을 차릴 장소를 물색하거나 신전에 바칠 제물이나 각종 무구 등의 준비도 신어미를 통해 이루어진다.

신딸이 신내림굿 이후 바로 독립했다고 해도 이들 간의 관계가 단절되는 것은 아니다. 신어머니에게 큰굿이 있을 때 신딸은 마땅히 굿에 참여하여 도와야 할 의무가 있으며, 신딸의 요구에 따라 신어머니는 무의식을 가르쳐야 할 암묵적인 책임감이 존재한다. 신딸 입장에서는 무당으로서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굿거리나 무가 등을 배우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간혹 이름난 신어머니의 경우 학원 강습처럼 일정한 횟수를 정해 놓고 굿을 가르치기도 한다. 이때 금전적인 거래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신딸과 신어머니 간의 관계 형성은 얼핏 계통[문서]을 이어주는 인간간의 사제관계로 파악된다.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신의 뜻에 의한 것으로, 무의식뿐 아니라 무업권(巫業圈)이나 무구(巫具) 등을 물려주는 무업상의 상속권을 주고받는 관계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한국민속학 새로 읽기 (최인학 외, 민속원, 2001)
巫俗信仰中,自神母继承神体系的女巫。

“神女”出现在[降神](/topic/降神)巫业圈,如果继承人是男性则叫“神子”。给神女传承神体系的人称作“神母”或“神父”,可见,彼此之间并没有血缘关系,而是虚构的亲子关系。

神女和神母大致通过神降[巫祭](/topic/巫祭)形成关系,如神巫祭,[降神巫](/topic/降神巫)祭等。神降巫祭是治愈神病,实现入巫的正式性通过仪礼。一般而言,主持神降巫祭的神母是上了年纪,灵验且精于巫祭的女巫,神母应具备多年从巫经历,并将其传授给神女。

侍奉同一位神父或神母的神女,神子之间形成有神兄弟,神姊妹关系。原则上,他们之间的关系相较于血缘关系连成的家族或亲戚关系更加严格,仗义,且具有组织性和系统性。这种关于女巫之间的关系设定法则称作“神法”。

神母和神女之间无意识的传授与习得过程称作“学习”。在过去,神女至少要与神母同居三年,学习巫业从一到十的所有步骤,而如今,结束神降巫祭后,即可独立从事巫业,因为很多人认为降神不久的巫师更加灵验。即便如此,神女也会向神母学习基本的占辞及祈祷方法,而物色神堂地点,筹备摆放在神殿的祭品,准备各种巫祭用具等均由神母完成。
Sinttal, meaning, “spiritual daughter, ” is a term referring to a female shaman who has been accepted into the divine lineage of her spiritual mo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a spiritual daughter or son and a spiritual mother or father is formed among gangsinmu, or possessed shamans, based not on blood ties but on the lineage of shamanic calling.

The spiritual mother accepts a possessed shaman as her spiritual daughter through naerimgut, which serves as an initiation rite and also a healing ritual for the spiritual sickness of the possessed. The spiritual mother who officiates this rite is usually an aged shaman, one who has acquired sufficient competence, experience and spirituality to pass down to the spiritual daughter.

The spiritual daughters and sons under the wing of the same spiritual parent are joined in siblinghood. These ties are generally far more binding than blood relations, and also more structured and organized. The rules that govern their relationships are called sinbeop, or spiritual laws.

A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shamanic practice takes place between a spiritual daughter and mother. In the past, they lived under the same roof for at least three years, training in every single element of a shamanic ritual, but in contemporary times, a spiritual daughter sometimes enters independent shamanic practice immediately following her possession ritual, due to the public notion that newly initiated shamans possess keen spiritual powers. A majority, however, learn the basic practices of divination and prayer from their spiritual mothers, as well as ritual preparations including sacrificial foods, props and venue set-up.

On the surface, a spiritual daughter’s relationship to her spiritual mother might appear to be that of an apprenticeship formed to support human traditions, but it is essentially a spiritual one formed by the will of the gods, centering on the inheritance of not only the shamanic practice but the shamanic legacy.
講談社大東亞民俗學の虛實川村溱1996
서경문화사일제의 동화이데올로기의 창출최석영1997
서경문화사일제하 무속론과 식민지권력최석영1999
風響社日帝植民地時代と朝鮮民俗學-中生勝美편-崔吉城2000
韓国朝鮮文化研究会赤松智城の學問世界に關する一考察-京城帝國大學時代を中心に전경수2005
일지사학문과 제국 사이의 秋葉隆-경성제국대학 교수론(1)전경수2005
동국대학교 출판부‘조선민속학’과 식민주의남근우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