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습무

한국무속신앙사전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definition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mp3Cnt
0
wkorname
조정현
정의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
내용강신무와 세습무로 대별되는 한국 무속의 계통설은 한국사회의 변화와 무업집단의 변신을 통해 설득력을 잃고 있다. 논의의 초기에 최길성은 북방의 샤먼 계통이 들어오기 이전에 사제자 중심의 남방종교 계통이 먼저 들어와 있었다고 보아, 경기 이북의 강신무와 경기 이남의 세습무는 처음부터 계통이 다르다고 보았다. 그리고 시기적으로 세습 계통의 제주도 신방, 역시 세습계통의 경기 이남의 [단골](/topic/단골), 강신되는 경기 이북의 강신무 순서로 우리나라의 무속이 성립되었다고 하였다. 반면에 김태곤은 북방의 샤먼 계통이 내려와 경기 이북의 강신무, 경기 이남의 세습무, 제주도의 신방이 성립되었다고 보고 이들은 같은 계통으로 지역적 편차만 보일 뿐이라 했다. 김태곤에 따르면 이들이 경기 이북의 강신무, 제주도의 신방, 경기 이남의 세습무 순서대로 우리나라에 정착되었다는 것이다.

강신무와 세습무는 기본적으로 입무(入巫)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 개념으로 현재 활동하고 있는 무당들을 유형화하는 한 방법으로 자리 잡은 게 현실이다. 최근 들어 학계 일각에서 이 개념이 오랜 세월 무업에 종사하고 있는 무당들 모두를 유형화하여 분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논의가 활발하다. 이는, 세습무 전통에 속한 무당들 중에서 강신체험을 하거나 했던 무당들이 많이 있으며, 강신무 전통에 속한 무당들 중에서도 자신의 무업이 가진 세습성을 주장하는 무당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강신무와 세습무는 근대 초기에 역사적으로 형성된 개념에 불과하며, 입무 방식에 따른 강신무와 세습무 유형론에서는 [내림굿](/topic/내림굿) 이후 무당이 무당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재창조하는 과정이 배제된다는 문제점을 드러낸다.

강신무와 대별되는 용어로서 세습무와 관련해서 논란이 많다. 초기에는 한강 이남 지역에서 [신내림](/topic/신내림) 없이 무속과 관련한 기예를 학습해서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을 가리킨다고 했지만, 사실상 남한 지역 전체에서 신내림을 받고 무업을 수행하는 무당이 많기 때문에 강신무와 세습무라는 용어가 현재의 무당들을 구분하는 주요 기준이 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강신무의 경우에도 세습적인 면이 매우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강신체험, 구체적 신관, 춤과 음악, [점사](/topic/점사), [재가집](/topic/재가집)과의 관계, 무가 등의 측면에서 강신무와 세습무의 개념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 강신무는 [신병](/topic/신병)체험을 통해 무당이 되지만 세습적인 성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영력을 바탕으로 하되 개인적인 능력과 예술적인 소양으로 굿을 진행한다. 그리고 굿판에나 점사에서 신의 뜻을 알아낼 수 있는 방법과 능력을 지닌다 점에서 다른 무당과 구별된다.

세습무와 강신무는 개념적으로 구분해 설명이 가능하지만 이질적인 존재가 아니다. 강신무와 세습무의 구분을 역사적·상황적 맥락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 중요한 현실 흐름은 과거와는 달리 강신무의 활동영역이 대폭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세습무 우위의 당골·점쟁이 관계가 재편되고 있다. 세습무 우위의 대립적·상보적 관계에서 점쟁이가 주도하는 관계로 변하고 있다. 무속 전승의 실상으로 볼 때, 세습무와 강신무의 구분을 고정적인 관점에서 다루기보다 변화 과정과 맥락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동안 논의되어온 대표적인 세습무는 전라도의 당골, 강원도와 경상도의 별신굿 무업집단, 서울 경기 남부의 화랭이집단, 제주도 신방 등이다. 이들은 부계와 모계가 얽혀있는 혈연구조 또는 단골판을 이어가는 구조 등을 통해 세습무의 전통을 계승한다. 반면 강신무는 대개 부부 무당보다 여성이 중심이 되고 [박수](/topic/박수)무당이 있으며, 따로 [악사](/topic/악사)집단이 편성되는 형태이다. 결국 세습무들은 굿판 연행의 주체를 혈연계승을 중심으로 담당하고 있으며, 따로 악사를 부르지 않고 자신들의 무업집단 내에서 충당한다. 즉 신과 소통하는 기술인 가무악극 모두에 능통하다. 하지만 세습무의 전통 속에서 활동하는 무당이라고 해서 모두가 신내림을 받지 않은 것은 아니다.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 무업집단만 하더라도 [빈순애](/topic/빈순애) 등 상당수의 무녀들이 신내림을 받았거나 신이 지펴서 강신무와 유사한 체험을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기예를 학습하여 굿을 수행하는 세습무의 전통과 신내림 혹은 유사한 형태의 신과 교섭하는 사제자의 전통은 자연스럽게 맞물려 있다고 볼 수 있다. 동해안의 굿에서도 [마을](/topic/마을) 인근에 거주하는 점쟁이(점바치, [막음쟁이](/topic/막음쟁이), [비래쟁이](/topic/비래쟁이) 등) 역할을 하는 주민이 별신굿의 너름받기 등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큰굿이 필요한 점사가 나올 경우 인근의 세습무와 공동으로 굿을 실행하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한국 무계의 분화 변천-강신영감무계와 세습사제무계의 분화 원인을 중심으로 (김태곤, 한국민속학 창간호, 한국민속학연구회, 1969)
세습무와 [강신무](/topic/강신무) (최길성, 새로 쓴 한국 무속, 아세아문화사, 1999)
강신무, 세습무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용범, 한국무속학 7, 한국무속학회, 2003)
강신무의 사례로 본 강신무와 세습무의 유형 구분 (홍태한, 한국무속학 7, 2003)
강신무·세습무 유형론에 대한 일고찰-강신체험 및 강신무의 세습성 주장에 대한 상징론적 이해 (김동규, 한국무속학 8, 한국무속학회, 2004)
강신무·세습무 유형론에 따른 무속연구 검토-김태곤, 최길성론을 중심으로 (양종승, 한국무속학 8, 한국무속학회, 2004)
강신무와 세습무-세습무 유지의 한 조건으로서 경기이남 무부집단의 세습 (손태도, 한국무속학 8, 한국무속학회, 2004)
세습무 사례를 통해 살펴본 세습무·강신무의 구분 검토-전라도 당골과 점쟁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경엽, 한국무속학 7, 한국무속학회, 2004)
因世代承袭巫师的身份而从巫的巫师。

“世袭巫”指汉江以南没有经历过[降神](/topic/降神)仅凭学习巫俗技艺而从巫的巫师。

代表性的世袭巫包括:全罗道的“堂骨女巫”( 音),江原道和庆尚道的“别神[巫祭](/topic/巫祭)”巫业组织,首尔京畿南部的“花郎觋”组织,济州岛“神房”组织等。他们通过父系和母系的血缘关系或继承[丹骨](/topic/丹骨)派( 音) 来传承世袭巫的传统。

巫祭活动中的各个角色由世袭巫通过血缘关系继承,一般不另请乐师,各项工作主要由巫业组织内部成员做。这表明世袭巫精通和神沟通的所有歌舞乐剧。不过也并非所有世袭巫都没有经历过降神。东海岸大型巫祭巫业组织内就有很多巫女接受过降神或经历过和[降神巫](/topic/降神巫)相似的体验。由此可知,通过学习技艺而从事巫祭的世袭巫传统,和经历过降神等与神沟通的祭司传统已自然而然地融合在一起。
El “chamán hereditario” que es llamado a ser chamán siguiendo la tradición familiar.

El seseummu que significa “chamán hereditario” se refiere a los chamanes que han sido llamados por herencia de sus antepasados; son llamados a ser chamanes siguiendo la tradición familiar en las zonas sureñas del río Han.

La comunidad de chamanes hereditarios en Corea está formada por los chamanes llamados “dangol” en la provincia de Jeolla-do, el grupo de chamanes del byeolsingut en la provincia de Gangwon-do y en la provincia de Gyeongsang-do, el grupo de chamanes masculinos llamado “hwaraengi” en la parte sureña de la provincia de Gyeonggi-do y los chamanes conocidos como “sinbang” en la isla de Jeju. Esta comunidad ha transmitido la tradición chamánica tanto por los ambos linajes -el matriarcado o el patriarcado- como por la dangolpan que significa “relación estrecha entre el chamán y sus creyentes”.

Los chamanes hereditarios nombran a los músicos u otros profesionales dentro de la comunidad de chamanes hereditarios para realizar sus rituales, en vez de contratar a las personas fuera del grupo de chamanes hereditarios. Además, muchos de ellos son sumamente cualificados en las artes escénicas, danza, música y teatro, ya que dichas técnicas sirven como su principal canal para comunicarse con los dioses. Sin embargo, esto no quiere decir que los seseummu nunca han tenido la experiencia de la posesión. En el grupo de chamanes del byeolsingut en la costa este, muchos de ellos han sido iniciados por un chamán por medio de un ritual de posesión o han tenido alguna experiencia similar a aquellos chamanes poseídos. Por esta razón, se puede concluir que, en la religión popular coreana, se interconectan naturalmente la tradición de chamanes hereditarios en la que se incluye la formación en la práctica chamánica, y la tradición de chamanes poseídos que experimentan el contacto directo con los dioses.
Seseummu is a shaman who inherits the calling as part of a family trade passed down through generations.

The practice of inheriting the shamanic role was prevalent in regions south of the Han River, and hereditary shamans did not experience possession but carried out the role by training in the skills of the ritual.

Hereditary shaman communities around Korea include the dangol shamans of Jeolla Province; the byeolsingut (village ritual) shaman community of Gangwon and Gyeongsang provinces; the community of male shamans called hwaraengi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and sinbang of Jeju Island. These communities pass down the shamanic tradition through mixed lineages of both patriarchy and matriarchy and also through exclusive dangol ties formed between a shaman and her followers.

Hereditary shamans designate the various duties of ritual staging to members of their communities instead of hiring musicians or other professionals, and many of them are highly skilled in the performing arts, including song, dance, music and acting, which are their main channels of communicating with the gods. This does not mean, however, that hereditary shamans never experience possession. In the byeolsingut shaman community of the east coast, many shamans have been initiated through possession rituals or have been through experiences similar to those of possessed shamans. It can be concluded therefore that in Korean folk religion, the tradition of the hereditary shaman, which involves training in the shamanic practice, and the tradition of the possessed shaman who experiences direct contact with the gods, are naturally interconnected.
국립민속박물관무당 귀물 연구-「삼국유사」의 삼부인과 무당의 거울·칼·방울을 중심으로양종승2001
도서출판 民俗苑한국의 굿하효길 외2002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서울시·경기도·강원도2005
민속원서울굿의 무구 연구최진아2007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무속의 물질문화 연구최진아2009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