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굿

한국무속신앙사전
병굿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하는 굿. ‘치병(治病)굿’, ‘환자굿’, ‘중천굿’, ‘별상굿’, ‘우환굿’ 등으로도 부른다.
definition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하는 굿. ‘치병(治病)굿’, ‘환자굿’, ‘중천굿’, ‘별상굿’, ‘우환굿’ 등으로도 부른다.
mp3Cnt
0
wkorname
이경엽
정의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하는 굿. ‘치병(治病)굿’, ‘환자굿’, ‘중천굿’, ‘별상굿’, ‘우환굿’ 등으로도 부른다.
내용병굿을 할 때는 병의 원인을 망자의 원한에 의한 것으로 보고 해원을 하는 데 역점을 둔다. 그리고 환자의 몸에 실린 역귀를 퇴치해 병을 치료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병굿은 일반 망자 [천도굿](/topic/천도굿)과 크게 다르지 않은 구성을 보인다. 병의 원인이 망자의 원한과 연관 된다고 보고 해원해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강원도 고성지역 환자굿은 부정굿, 서낭굿, 조상굿, 망자굿, 칠성굿, 산신굿, [성주굿](/topic/성주굿), 대감굿, 말명굿, [장군](/topic/장군)굿, 발원굿, [꽃노래](/topic/꽃노래)굿, 거리풀이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지역 굿의 기본 골격에 망자와 관련된 굿거리가 추가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치병을 목적으로 하는 굿으로는 환자굿이나 [푸닥거리](/topic/푸닥거리)가 일반적이고, 여기에 [영장치기](/topic/영장치기)·산거리·주천굿·명두굿 등이 있다. 특정한 병을 치료하기 위한 굿으로는 천연두를 퇴치하기 위한 별상굿·손풀이·마누라배송, 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맹인굿, 미친 병을 치료하는 [광인굿](/topic/광인굿)·[두린굿](/topic/두린굿) 등이 있다.
Byeonggut se refiere a una serie de rituales chamánicos para curar a las personas que padecen enfermedades.

El ritual chamánico de curación se llama también “chibyeonggut”, “hwanjagut” o “uhwangut”. Los procedimientos del ritual varían según las causas de enfermedades. Si una persona ha estado enferma debido al rencor de uno de sus ancestros o un espíritu de muerto no relacionado, se realiza un ritual conocido como mangjacheondogut para guiar a los espíritus al inframundo de manera tranquila. Si la enfermedad ha sido causada por un espíritu maligno o fantasma malo, se efectúa un ritual como “pudakgeori” o “yeongjangchigi”.

Ambos rituales son típicos chamánicos que son para curar a las enfermedades en general. Para tratar las enfermedades específicas, hay una serie de rituales incluyendo el ritual para erradicar la viruela, el ritual para prevenir enfermedades oculares y el ritual para curar a la locura.

El pudakgeori es un ritual sencillo que se lleva a cabo para ahuyentar las fuerzas del mal o las impurezas que se cree que han causado una enfermedad no grave. En caso de las enfermedades críticas, tiene lugar un ritual más elaborado que se llama chibyeonggut.

El término yeongjangchigi se refiere a uno de los rituales para tratar las enfermedades graves. Si uno se enferma después de haber atendido una boda o un servicio funerario, un chamán convocado oficia un ritual para curar la enfermedad. En este ritual se incluye un simulacro de enterramiento de un muñeco de paja o un pollo en vez del paciente. Este proceso similar al de un funeral se repite tres veces cuya intención implícita es rezar por la curación de la enfermedad que sufre el paciente. Los rituales de curación se llevan a cabo también para tratar la locura u otras enfermedades mentales.

Se cree que la causa de este tipo de enfermedades es la invasión de espíritus malignos o malos fantasmas, por lo tanto hay que echarlos fuera a través de la realización de un ritual de hechicería llamado anjeungut. En las zonas centrales de la costa este, el ritual denominado como gwangingut se oficia por los chamanes masculinos y esto es el único ritual del exorcismo en el cual un gran chamán de la costa del este presenta la danza de cortadora de paja con cuchilla afilada que se llama jakdutagi.
Byeonggut refers to shamanic rituals held to heal those suffering from illness.

Shamanic healing rituals are also called chibyeonggut (healing ritual), hwanjagut (ritual for the ailing), or uhwangut (illness ritual). Ritual procedures vary by cause of the illness. If one has fallen sick due to a grievance held by an ancestor or an unrelated dead person, an underworld entry ritual is called for. If the illness has been caused by an evil spirit or ghost, rituals like pudakgeori or yeongjangchigi are staged, both typical shamanic rites for overall healing. Procedures for treating specific diseases include the smallpox eradication ritual, eye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and madness prevention and treatment ritual.

Pudakgeori is a simple ritual carried out to chase away evil forces (sal) or impurities that are believed to have caused an illness, usually limited to lesser diseases that are not critical. In the case of grave illnesses, a more elaborate chibyeonggut (healing ritual) is held.

Yeongjangchigi is one of the rituals for healing serious diseases. When one falls ill after attending a wedding or a funeral, a shaman is called in to treat the illness by staging this ritual. It includes a mock burial of the patient, using a straw effigy (jeung) and a chicken as proxies. This process is repeated three times, which reflects the procedures of a funeral. The implied intent is to pray for healing by having the straw effigy and the chicken die in the place of the patient, taking away the illness with them.

Healing rituals were also held for madness and other mental illnesses. They were believ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invasion of evil spirits or ghosts, which had to be chased away through the sorcery ritual anjeungut (sitting ritual). In central parts of the eastern coast, gwangingut (ritual for mad person), is officiated by male shamans and is the only exorcism ritual in which a master shaman of the eastern coast performs the blade dance (jakdutagi).
지역사례병굿의 대표적인 사례로 [순천삼설양굿](/topic/순천삼설양굿)을 들 수 있다. 인근 지역에서는 거리설양 또는 설양굿이라고도 한다. 설양굿의 어원은 설양(設禓)인 것으로 풀이된다. 가거도에서는 객귀에게 밥을 주는 것을 ‘[양밥](/topic/양밥) 준다’라고 말하는데 여기서 양(禓 : [길제](/topic/길제)사, 길귀신; 驅儺)이 ‘거리 귀신에게 제사지낸다’는 의미임을 알 수 있다. 곧 설양굿은 거리잡귀를 위해 제사를 베푼다는 뜻이며, 거기에 삼(三 : 거듭, 자주)을 붙여 [삼설양](/topic/삼설양)굿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뜻풀이에서 알 수 있듯이 삼설양굿은 잡귀를 먹이고 대접해서 환자의 병을 치료하는 내용이 부각돼 있다.

삼설양굿을 하게 되면 일반 씻김굿의 절차를 그대로 하고, 마지막에 잡귀와 잡신들을 대접하고 놀리는 삼설양을 한다. 삼설양은 여러 사연이 있는 귀신들이 한 명씩 등장하여 자신의 사연을 말하고 한바탕 놀고 퇴장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도시, 한량혼신, 총각혼신, 처녀혼신, 총 맞고 죽은 혼신, 소동패 혼신, 벙[어리](/topic/어리) 혼신, 임산부 혼신, 봉사 혼신, 도채비 등이 차례로 나온다. 무녀는 여러 귀신을 차례로 흉내 내며 [악사](/topic/악사)와 [재담](/topic/재담)을 주고받으면서 연극적 방식으로 굿을 진행한다. 삼설양은 병을 치료하고 집안의 우환을 털어내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행되므로 갖[가지](/topic/가지) 귀신을 불러서 풀어먹이고 보내는 과정이 중요시된다. 굿의 마지막에는 환자 머리에 바가지를 씌워 굿청 중앙에 앉힌 다음 무녀가 식칼과 도끼 등으로 잡귀와 잡신을 내쫓고 복을 불러오는 축원을 한다. 이와 같이 삼설양굿은 잡귀와 잡신들을 위로하고 달래서 우환의 근본을 제거하고자 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나라 무속의 전통적인 귀신관이 그대로 담겨 있음을 알 수 있다. 순천삼설양굿은 이런 귀신관을 연극적으로 형상화한 치병굿놀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지역이나 무당에 따라 병굿을 하는 방법은 차이를 보인다. 세습무는 삼설양굿과 같은 방법으로 병굿을 하고, 강신무는 직접 원혼과 접선하는 과정이 부각되며, 법사는 [독경](/topic/독경)을 통해 환자를 치료한다. 전북에서 40년 이상을 무업에 종사해 온 고창 안병채 법사의 경우 앉은굿으로 병굿을 한다. 안씨는 환자의 육십갑자에 따라 십이대왕에 매인 사주가 다르므로 그것을 뽑아서 풀어줘야 한다고 말한다. 먼저 산신경, 용왕경, 오방토지지신 [명당](/topic/명당)경을 차례로 읽고난 다음에 산신·용왕·지신을 위한 합수고를 풀어준다. 이어 환자의 나이·주소·성명을 아뢰고 [병경](/topic/병경)(病經)을 읽은 후에 조상 해원경을 읽고 고를 풀어준다. 그리고 환자 가족에게 [신대](/topic/신대)를 잡게 한 후 어떤 혼신이 해를 입히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별도로 [위패](/topic/위패)를 써서 위로하는 회심곡을 읽어준다. 그리고 잡신을 털어내기 위해 털임굿을 한다. 털임굿은 옥추경을 읽은 다음 신장칼을 들고 [오색천](/topic/오색천)을 갈라 환자의 몸을 닦아주고 명태에 일곱 매듭을 묶어 대명대신으로 던져주는 순서로 진행된다. 이어 곳베를 펼쳐 길 가르기를 하고 마지막으로 잡귀를 돌려보내는 [퇴송](/topic/퇴송)을 한다.
참고문헌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씻김굿무가 (이경엽, 박이정, 2000)
무구 (이경엽·최진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为治疗患者而进行的巫俗仪礼。

又称为“治病[巫祭](/topic/巫祭)”,“患者巫祭”,“忧患巫祭”等。“祛病祭”根据病因的不同,其巫祭的形式也不同。如果是由于祖上或死者的冤魂引起,则进行“死者荐度巫祭”这样的巫祭;而如果是由于恶鬼或杂鬼引起,则进行“除祟”或“葬永尸”这样的巫祭。

此外,一般性祛病巫祭有患者巫祭,除祟,葬永尸等,为治疗特殊病患的巫祭有驱逐天花巫祭,眼病预防和治疗巫祭,治疗疯病巫祭等。

除祟是一种小规模巫俗祭仪,当认为因杂鬼而中[煞](/topic/煞),或因[不净](/topic/不净)而中病时,为驱逐杂鬼而进行的小规模巫俗祭仪,它仅限于轻微患病的情形,此时为了恐吓杂鬼而驱逐疾病,是具有很强逐鬼性质的巫俗祭仪。患大病和重病时,一般会进行规模较大的治病巫祭。

葬永尸是为治愈患重病的患者而进行的巫俗祭仪。当参加丧礼或婚礼回家后大病时,会请巫师进行葬永尸来治愈患者。为治疗病患而进行模拟[埋葬](/topic/埋葬)尸体仪式,以[刍灵](/topic/刍灵)和鸡代替患者,将它们埋入地下。这种模拟仪式反复进行三次,它完全仿制了葬礼。这种行为表示刍灵和鸡带着患者的病,代替患者死去,而患者则得到痊愈。

当患上疯病和精神疾病时,也要进行祛病祭,此时的祛病祭是将精神疾病归因于恶鬼或杂鬼,杂神的入侵,用“坐诵巫祭”来驱逐它们的咒术行为。在东海岸中部地区,由男巫进行的狂人巫祭即是大巫师上[铡刀](/topic/铡刀)而进行驱鬼仪式的唯一一种巫祭。
박진호씨댁 병굿 제물
64750
박진호씨댁 병굿 제물
박진호씨댁 병굿
64749
박진호씨댁 병굿
박진호씨댁 병굿
64748
박진호씨댁 병굿
박진호씨댁 병굿
64747
박진호씨댁 병굿
박진호씨댁 병굿
64746
박진호씨댁 병굿
박진호씨댁 병굿
64745
박진호씨댁 병굿
박진호씨댁 병굿
64744
박진호씨댁 병굿
박진호씨댁 병굿 제물진설도
64743
박진호씨댁 병굿 제물진설도
병굿
13400
병굿
병굿
13399
병굿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