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방청

한국무속신앙사전
심방청
조선 후기에 제주도 무속인들의 결속과 무업의 질서를 위하여 운영된 무속 자치 기구.
definition
조선 후기에 제주도 무속인들의 결속과 무업의 질서를 위하여 운영된 무속 자치 기구.
mp3Cnt
0
wkorname
신연우
정의조선 후기에 제주도 무속인들의 결속과 무업의 질서를 위하여 운영된 무속 자치 기구.
내용제주도에서는 무당을 심방 또는 슨방이라고 한다. 심방청[神房廳] 또는 슨방청이란 제주도 무당의 단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전국적으로 이와 같은 성격의 무속인 단체인 신청(神廳)이 있었다. 다른 지역은 흔히 무부(巫夫)인 악공들이 주체가 되는데 반하여, 제주도의 경우에는 남무(男巫)가 많아 활동 주체도 남무였다.

일제강점기에 이 지역을 답사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는 제주도 전체를 통할하는 슨방청의 우두머리로 도향수(都鄕首·都行首)가 있고, 그 아래 섬 곳곳에 슨방청이 있어서 각기 향수(鄕首·行首)가 있다고 했다. 도향수를 보좌하는 이를 도공원(都公員), 면향수를 보좌하는 이를 면공원(面公員)이라고 했다. 서무와 회계도 따로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단체는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존재한 것으로 보인다. 그 뒤 일제에 의해 1920년 전국적인 무속단체인 숭신인조합(崇神人組合)이 결성될 무렵에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초공본풀이](/topic/초공본풀이)나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의 공시풀이에서는 “옛날 선성 옛날 황수(行首) 곽곽(郭璞) 주육(周易) 이승불(李淳風) 제갈량에 놀던 선성님네 멘공원(面公員)에 멘황수(面行首)나 도공원(都公員)에 [도황수](/topic/도황수)(都行首) … 신공시로 상 받읍서”와 같이 언급되고 있다.

이 단체의 설립 목적은 무당사회의 친목과 공조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 굿을 못하는 무당에 대한 교육이라든지 비행을 저지른 무당에 대한 징계 등 무당사회의 기강을 확립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신굿을 하지 않은 자가 무업을 하면 심방청으로부터 엄벌을 받았다고 한다.

일제강점기 초기까지 마지막 도황수로 이름이 알려진 이로는 고임생, 홍매화 등이 있다. 전남 장흥·나주·해남의 신청, 경기의 [재인청](/topic/재인청) 등 내륙에서는 선배 선생들의 이름을 적은 선생안을 만들고 그들의 넋을 기리는 제사를 따로 지냈다고 한다. 제주도의 경우도 그렇게 했을 가능성도 있으나 확실한지는 알 수 없다.
참고문헌제주도 무속자료 [사전](/topic/사전) (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조선무속의 연구](/topic/조선무속의연구) 하 (赤松智城·秋葉隆, 심우성 옮김, 동문선, 1991)
여수영당, 풍어굿, [악공청](/topic/악공청) (이경엽 외, 민속원, 2007)
동복 정병춘댁 [시왕맞이](/topic/시왕맞이) (강정식 외,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2008)
문화재관리국관북지방무가임석재ㆍ장주근1965
문학사상사한국무가의 연구서대석1980
민족문화사한국민속대사전1991
원신청(元神廳)
64952
원신청(元神廳)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