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6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방석화랭이
    537 2023.02.27
    굿을 할 때 굿판에서 잔심부름을 하는 사람 또는 다른 민속예술 분야로 나아[가지](/topic/가지) 않고 평생 굿판에서 굿일만 하는 무당.
  • 양밥
    535 2023.02.27
    전통적인 민간처방으로 액막이 방법의 하나로 예방․방법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며 방술이나 술법이라고도 함.
  • 심방청
    535 2023.02.27
    조선 후기에 제주도 무속인들의 결속과 무업의 질서를 위하여 운영된 무속 자치 기구.
  • 비래쟁이
    534 2023.02.27
    [비손](/topic/비손)을 전문적으로 행하는 사람.
  • 신수보기
    534 2023.02.27
    음력 정월에 일 년 동안의 길흉(吉凶) 운세를 점치는 것.
  • 신딸
    533 2023.02.27
    무속신앙에서 신어머니로부터 신의 계통을 이어받는 여자 무당.
  • 왕십리본
    532 2023.02.27
    전통적인 서울굿의 지역적 세분 명칭 가운데 하나. 오늘날까지도 유효한 구분으로 동쪽과 서쪽을 나누었을 때, 동쪽의 중심 지역이 왕십리이기 때문에 왕십리본이라고 한다. ‘본(本)’이라는 명칭은 보통 활자화된 문서를 지칭하는 것이어서 왕십리본이라고 표현하면 왕십리 일대를 중심으로 굿을 하던 이들의 무가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이 무가집은 존재하지 않는다. 무가의 학습은 구비로 이루어지고, 지역의 세부적인 차이는 무가 측면보다 굿의 연행적 측면이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서 ‘본’은 정형화된 무가 [사설](/topic/사설)이라는 의미보다는 무가를 포함한 굿법(-法) 또는 굿제(-制)를 의미한다.
  • 동제계
    532 2023.02.27
    동제의 준비와 봉행, 동제를 위한 기금이나 전답의 관리 등 동제의 전승을 목적으로 조직된 계(契).
  • 신부리
    532 2023.02.27
    신(神)의 뿌리를 일컫는 무속용어. 부리는 조상의 영혼이나 집안에 대대로 내려오는 신을 일컫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만신](/topic/만신)(萬神)부리’, ‘조상(祖上)부리’라는 용어를 무속에서는 종종 사용한다.
  • 수지
    531 2023.02.27
    ‘첫’의 의미가 강하며 보통 곡식에서는 ‘가장 먼저 나온 것’ 또는 ‘가장 먼저 [수확](/topic/수확)한 것’이고, [삼베](/topic/삼베)와 같은 [직물](/topic/직물)제조에서는 ‘가장 먼저 짠 것’ 등을 의미.
  • 빙의
    530 2023.02.27
    심리종교학적인 용어로 초월적 의식세계를 경험하거나 인식하는 상태.
  • 삼칠일
    529 2023.02.27
    중요한 일이 발생한 날로부터 7일을 세 번 지낼 때까지 금기(禁忌)를 지키거나 특별한 의미를 두어 대응하는 기간.
  • 매당왕신
    528 2023.02.27
    한강을 중요한 운송로로 이용하던 시절에 이 교통의 장애(암초와 여울 등)지역들에 세워진 [화주](/topic/화주)당(化主堂)에서 모시는 주신. 매(鷹)+당(堂)+왕신(王神) 또는 매(鷹)+대왕신(大王神)의 합성어로 보인다.
  • 생기복덕
    527 2023.02.27
    그날의 운수를 알아 보는 방법 중 하나. 일진(日辰)과 나이를 팔괘(八卦)에 배정하여 상·중·하 세 효(爻)의 변화로써 운수를 본다. 이것은 [제관](/topic/제관) 선정의 기준이 된다.
  • 무감
    526 2023.02.27
    굿의 연행 중 잠시 쉬는 사이에 [재가집](/topic/재가집)의 [대주](/topic/대주)나 청중이 [무복](/topic/무복)을 입고 굿장단에 맞춰 춤을 추는 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