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

한국무속신앙사전
영조의 둘째 아들로 [뒤주](/topic/뒤주) 안에 갇혀 굶어 죽은 뒤에 영조에 의해 붙여진 이름. 사도세자는 정치적으로 억울하게 희생된 인물로 그려져 민간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모셔지고 있다.
definition
영조의 둘째 아들로 [뒤주](/topic/뒤주) 안에 갇혀 굶어 죽은 뒤에 영조에 의해 붙여진 이름. 사도세자는 정치적으로 억울하게 희생된 인물로 그려져 민간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모셔지고 있다.
mp3Cnt
0
wkorname
이정재
특징영웅의 억울하고 비참한 죽음은 대체로 민간에서 신격으로 전승되곤 한다. 오늘날 새남굿의 전통에서 사도세자를 신격으로 직접 모시는 경우는 찾기 어렵다. 연로한 분들은 다음과 같이 기억하고 있다. 즉 40~50년 전까지 사도세자를 모시는 사람이 많이 있었으나 지금은 별상으로 거의 녹아 들어가 모셔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밖에도 능이 모셔진 경기도 화성시나 행궁이 있는 수원시에서도 민간이나 무속에서 사도세자를 직접적인 신격으로 모시는 경우는 찾기 어렵다. 무속에서는 희미해진 신격은 다른 곳에서 다른 형태로 남아 전승된다. 이는 강원도 영월군과 태백산 일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단종대왕신격의 경우와 대조적인 현상을 보인다.

최초로 사도세자를 모신 공간은 경모궁이다. 경모궁은 1973년에 ‘사적 제237호’로 지정된 함춘원지와 관계된다. 함춘원지는 현재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 일대에 남아있는 함춘원의 옛 터이다. 경모궁은 정조가 왕위에 오른 뒤 아버지 장헌세자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마련한 [사당](/topic/사당)이다. 경모궁의 사도세자 제사는 조선 말까지 이어지다가 1899년(광무 3) 11월 사도세자를 장조로 높이고 신주를 종묘로 모셨다. 1924년 5월 일제는 이 자리에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를 세움으로써 경모궁 건물을 없어지고 이곳으로 드나들던 함춘문과 [기단](/topic/기단)석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특징영웅의 억울하고 비참한 죽음은 대체로 민간에서 신격으로 전승되곤 한다. 오늘날 새남굿의 전통에서 사도세자를 신격으로 직접 모시는 경우는 찾기 어렵다. 연로한 분들은 다음과 같이 기억하고 있다. 즉 40~50년 전까지 사도세자를 모시는 사람이 많이 있었으나 지금은 별상으로 거의 녹아 들어가 모셔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밖에도 능이 모셔진 경기도 화성시나 행궁이 있는 수원시에서도 민간이나 무속에서 사도세자를 직접적인 신격으로 모시는 경우는 찾기 어렵다. 무속에서는 희미해진 신격은 다른 곳에서 다른 형태로 남아 전승된다. 이는 강원도 영월군과 태백산 일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단종대왕신격의 경우와 대조적인 현상을 보인다.

최초로 사도세자를 모신 공간은 경모궁이다. 경모궁은 1973년에 ‘사적 제237호’로 지정된 함춘원지와 관계된다. 함춘원지는 현재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 일대에 남아있는 함춘원의 옛 터이다. 경모궁은 정조가 왕위에 오른 뒤 아버지 장헌세자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마련한 [사당](/topic/사당)이다. 경모궁의 사도세자 제사는 조선 말까지 이어지다가 1899년(광무 3) 11월 사도세자를 장조로 높이고 신주를 종묘로 모셨다. 1924년 5월 일제는 이 자리에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를 세움으로써 경모궁 건물을 없어지고 이곳으로 드나들던 함춘문과 [기단](/topic/기단)석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정의영조의 둘째 아들로 [뒤주](/topic/뒤주) 안에 갇혀 굶어 죽은 뒤에 영조에 의해 붙여진 이름. 사도세자는 정치적으로 억울하게 희생된 인물로 그려져 민간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모셔지고 있다.
정의영조의 둘째 아들로 [뒤주](/topic/뒤주) 안에 갇혀 굶어 죽은 뒤에 영조에 의해 붙여진 이름. 사도세자는 정치적으로 억울하게 희생된 인물로 그려져 민간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모셔지고 있다.
내용사도세자(1735~1762)는 이름은 선(愃), 자는 윤관, 호는 의재이다. 어머니는 영빈 이씨이며, 부인은 영의정 홍봉한의 딸 혜경궁 홍씨이다. 이복형인 효장세자[진종(眞宗)으로추존됨]가 일찍 죽고 영조가 나이 40세가 넘어 선을 낳자 2세 때부터 세자로 책봉된다. 10세 때 혼인하여 별궁에 거처하였다. 그는 어려서부터 영특하여 문장과 글을 잘 읽[고지](/topic/고지)었다. 정치에도 일찍부터 안목이 있어 노론의 행적(신임사화)을 비판하기도 하였다. 15세 때부터는 부왕을 대신하여 서정(庶政)을 대리하게 되자 그를 싫어하던 노론과이에 동조한 계비 정순왕후 김씨, 숙의 문씨 등이 그를 무고하였다. 주변의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세자는 격간도동이라는 정신질환에 걸려 궁 내외에서 비행을 저지른다. 계비김씨의 아비 김한구와 그의 노론계 일파의 사주를 받아 나경언이 세자의 비행 10조목을 상소하였다. 영조는 나라의 앞날을 위해 결국 아들을 죽이기로 결정한다. 자결을 명하였으나 듣지 않자 [뒤주](/topic/뒤주) 안에 가두어 8일 만에 죽게 하였다. 사도세자는 18세 때 낳은 아들인 정조가 왕에 오른 뒤 장헌(莊獻)으로 추존되고, 1899년에 다시 장조(莊祖)로 추존되었다.

장조는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억울하게 희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1749년(영조 25)에 사도세자가 대리청정을 시작하면서 남인, 소론, 소북 세력 등을 가까이 하기 시작하자 이에 불안해진 노론은 정치적으로 압박을 가하며 영조에게 온갖 모략을 고하면서 이것을 극복할 수 없었던 극한의 처방이 이루어진 것이다.
英祖(朝鲜第21代王,1694~1776)的次子,被关在粮柜里饿死,是在政治中含冤牺牲,后世被民间视为信仰对象而供奉的人物。

思悼世子(1735 ~ 1762)名愃﹐ 2 岁被册封为世子。年幼时起便聪慧灵透,饱读诗书文采出众。很早就具有独特的政治眼光,从15 岁起开始代理听政(朝鲜时代获得君王的允许后,代替君王执行政治等各种事项的行为)。思悼世子较为疏远当时主要的政治势力老论派,而亲近其他势力。对此惴惴不安的老论派在政治上施加压力,在英祖面前陷害世子,最终世子被关入粮柜而死。冤屈惨死的英雄通常会被民间升华为神,并进行传承。思悼世子在巫俗中亦被称为“粮柜大王”。
Sadoseja era el segundo hijo del Yeongjo (1694-1776), el vigésimo primer rey de la dinastía Joseon, que fue encerrado dentro de un arcón de arroz y lo dejaron morir de hambre como víctima de intereses políticos. El príncipe heredero Sado fue deificado y adorado por el público tras su muerte.

El nombre de nacimiento del príncipe heredero Sado (1735-1762) era Yi Seon y fue nombrado como heredero al trono a la edad de dos años. Él era un brillante niño que tenía mucho talento en la lectura y escritura. Desde temprana edad, el príncipe demostraba también gran interés en la política y empezó a gobernar la dinastía como príncipe regente a la edad de quince años. A pesar de todo, él se mantenía alejado de la fracción Noron que estaba en el poder y manipulaba al rey Yeongjo hasta que matara a su hijo, Sadoseja mediante la combinación de presión política y calumnias. Muchos héroes que murieron injusta y trágicamente son deificados en la religión popular. En el ámbito del chamanismo coreano, el príncipe heredero Sado es adorado también por el nombre de Dwijudaewang que significa “rey del arcón de arroz”.
Sadoseja (1735-1762) was the second son of Yeongjo (1694-1776), the 21st king of Joseon, who was locked inside a wooden chest and left to die as a victim of political sacrifice, and later deified and worshipped by the people.

Crown Prince Sado’s birth name was Yi Seon and was named at age two as the heir to the throne. He was a brilliant child, talented in reading and writing, showing keen interest in politics as well, and starting at the age of fifteen, ruled as prince-regent. However, he grew distant from the Noron (Old Doctrine) faction, then in power, which led to political pressure and slander, and eventually, his murder.

Many heroes who have met unjust and tragic deaths are deified in folk religion. In Korean shamanism, Crown Prince Sado is also worshipped by the name Dwijudaewang, or Wooden Chest King.
내용사도세자(1735~1762)는 이름은 선(愃), 자는 윤관, 호는 의재이다. 어머니는 영빈 이씨이며, 부인은 영의정 홍봉한의 딸 혜경궁 홍씨이다. 이복형인 효장세자[진종(眞宗)으로추존됨]가 일찍 죽고 영조가 나이 40세가 넘어 선을 낳자 2세 때부터 세자로 책봉된다. 10세 때 혼인하여 별궁에 거처하였다. 그는 어려서부터 영특하여 문장과 글을 잘 읽[고지](/topic/고지)었다. 정치에도 일찍부터 안목이 있어 노론의 행적(신임사화)을 비판하기도 하였다. 15세 때부터는 부왕을 대신하여 서정(庶政)을 대리하게 되자 그를 싫어하던 노론과이에 동조한 계비 정순왕후 김씨, 숙의 문씨 등이 그를 무고하였다. 주변의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세자는 격간도동이라는 정신질환에 걸려 궁 내외에서 비행을 저지른다. 계비김씨의 아비 김한구와 그의 노론계 일파의 사주를 받아 나경언이 세자의 비행 10조목을 상소하였다. 영조는 나라의 앞날을 위해 결국 아들을 죽이기로 결정한다. 자결을 명하였으나 듣지 않자 [뒤주](/topic/뒤주) 안에 가두어 8일 만에 죽게 하였다. 사도세자는 18세 때 낳은 아들인 정조가 왕에 오른 뒤 장헌(莊獻)으로 추존되고, 1899년에 다시 장조(莊祖)로 추존되었다.

장조는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억울하게 희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즉 1749년(영조 25)에 사도세자가 대리청정을 시작하면서 남인, 소론, 소북 세력 등을 가까이 하기 시작하자 이에 불안해진 노론은 정치적으로 압박을 가하며 영조에게 온갖 모략을 고하면서 이것을 극복할 수 없었던 극한의 처방이 이루어진 것이다.
英祖(朝鲜第21代王,1694~1776)的次子,被关在粮柜里饿死,是在政治中含冤牺牲,后世被民间视为信仰对象而供奉的人物。

思悼世子(1735 ~ 1762)名愃﹐ 2 岁被册封为世子。年幼时起便聪慧灵透,饱读诗书文采出众。很早就具有独特的政治眼光,从15 岁起开始代理听政(朝鲜时代获得君王的允许后,代替君王执行政治等各种事项的行为)。思悼世子较为疏远当时主要的政治势力老论派,而亲近其他势力。对此惴惴不安的老论派在政治上施加压力,在英祖面前陷害世子,最终世子被关入粮柜而死。冤屈惨死的英雄通常会被民间升华为神,并进行传承。思悼世子在巫俗中亦被称为“粮柜大王”。
Sadoseja era el segundo hijo del Yeongjo (1694-1776), el vigésimo primer rey de la dinastía Joseon, que fue encerrado dentro de un arcón de arroz y lo dejaron morir de hambre como víctima de intereses políticos. El príncipe heredero Sado fue deificado y adorado por el público tras su muerte.

El nombre de nacimiento del príncipe heredero Sado (1735-1762) era Yi Seon y fue nombrado como heredero al trono a la edad de dos años. Él era un brillante niño que tenía mucho talento en la lectura y escritura. Desde temprana edad, el príncipe demostraba también gran interés en la política y empezó a gobernar la dinastía como príncipe regente a la edad de quince años. A pesar de todo, él se mantenía alejado de la fracción Noron que estaba en el poder y manipulaba al rey Yeongjo hasta que matara a su hijo, Sadoseja mediante la combinación de presión política y calumnias. Muchos héroes que murieron injusta y trágicamente son deificados en la religión popular. En el ámbito del chamanismo coreano, el príncipe heredero Sado es adorado también por el nombre de Dwijudaewang que significa “rey del arcón de arroz”.
Sadoseja (1735-1762) was the second son of Yeongjo (1694-1776), the 21st king of Joseon, who was locked inside a wooden chest and left to die as a victim of political sacrifice, and later deified and worshipped by the people.

Crown Prince Sado’s birth name was Yi Seon and was named at age two as the heir to the throne. He was a brilliant child, talented in reading and writing, showing keen interest in politics as well, and starting at the age of fifteen, ruled as prince-regent. However, he grew distant from the Noron (Old Doctrine) faction, then in power, which led to political pressure and slander, and eventually, his murder.

Many heroes who have met unjust and tragic deaths are deified in folk religion. In Korean shamanism, Crown Prince Sado is also worshipped by the name Dwijudaewang, or Wooden Chest King.
지역사례현재 사도세자가 신격으로 모셔진 곳은 종묘 외에 용주사라는 절이 더 있다. 정조가 왕으로 즉위하자 아버지의 영혼을 기리기 위해 능을 옮기고 원찰을 지어 제향을 지내게 하였다. 정조가 죽자 나란히 묘를써 각각 융릉(장조의 능)과 건릉(정조의 능)이라 하여 그 넋을 위해 정기적인 제향을 올린다. 융릉과 건릉으로부터 1.7㎞ 정도 떨어져 있는 용주사는 도로변에 숲으로 둘러싸여 있는 절이다. 이곳에는 원래 854년(신라 문성왕 16)에 염거화상이 세운 갈양사(葛陽寺)가 있었으나 병자호란 때 소실된 뒤 폐사되었다고 한다. 그 뒤 정조가 부친인 장헌세자의 능을 이곳 화산으로 옮겨와 현륭원(顯隆園, 뒤에 융릉으로 승격됨)을 조성하면서 1790년(정조 14) 부친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갈양사 자리에 능사(陵寺)로서 용주사를 조성하였다. 용주사란 절 이름의 내력이 있다. 즉 용주사 낙성식 하루 전날 밤에 정조가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꿈을 꾸어 용주사라 부르게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창건한 사찰인 용주사에서는 일제에 의해 조선의 정통성과 역사가 단절되기 전까지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 정조대왕과 효의왕후김씨의 [위패](/topic/위패)를 모시고 일 년에 열두 차례 제향을 봉행해 왔다.

1907년까지 제향을 했으나 일제강점기에 중단된 의식은 100년 만에 다시 재현되었다. 홍살문을 다시 세우고 호성전(護聖殿) [현판](/topic/현판)식과 함께 왕실의 의식과 불교의식으로 장엄한제향의식이 거행되고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 중단돼 사도세자 제향의식은 2009년에 사도세자 융릉과 정조대왕 건릉을 포함한 조선왕릉 40기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과정이 계기가 되었다. 2007년에 이루어진 용주사의 제향의식은 사후 극락왕생을 위해 생전에 부처님 앞에 참회하는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 사도세자 제향, 죽은 사람의 영혼을 천도하는 중요무형문화재 50호 영산재(靈山齋), 물과 육지에서 헤매는 외로운 영혼에게 공양을 드리는 수륙재(水陸齋)로 이어졌다. 사도세자 제향의식은 정호 스님의 봉행사, 사도세자 행장 낭독, 제향, 추모사, 이철수 시인의 발원문 낭독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조선 왕릉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관심을 불러일으킨 융릉과 건릉은 사도세자에 대한 애도를 다시 상기시켰고, 이는 민간에 여러 형태로 전승이 재현되고 있다. 특히수원행궁을 중심으로 한 축제와 행사는 사도세자의 억울한 죽음과 정조의 효심을 함께 기리는 행사를 두루 묶어 시행하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로 수원 행궁터에서 열린 사도세자 진혼제를 들 수 있다.

사도세자를 둘러싼 처가와 외척들은 거의 전부가 정치적으로 그의 적이었다. 사도세자의 장인 홍봉한을 비롯하여 영조의 장인 김한구,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 총애하던 후궁 숙의 문씨, 화순옹주의 시아버지 김흥경, 화협옹주의 시아버지 신만, 화평옹주의 시아버지 박사정 등이 모두 노론이었다. 화완옹주를 비롯하여 화령옹주, 화길옹주도 모두 노론 집안으로 시집갔다. 이런 상황에서 맞이한 죽음은 얼마나 억울한 일이었을까. 사도세자가 당쟁 때문에 [뒤주](/topic/뒤주)에서 희생된 지 245년 만인 2007년 7월에 사도세자의 넋을달래는 진혼굿이 수원 화성행궁 신풍루에서 있었다. 무당 [김금화](/topic/김금화)는 사도세자의 혼을 불러 그 억울함을 모두 듣고 저승으로 편안히 안내하는 진혼굿을 행하였다. 김금화 만신은 245년 전 그날의 사도세자령이 씌인 듯 뒤주 안에서의 답답함을 호소하였고, 억울한 죽음을 당한 영혼을 달래는 굿으로 한스러운 이생을 떠나 극락왕생하기를 빌었다.
지역사례현재 사도세자가 신격으로 모셔진 곳은 종묘 외에 용주사라는 절이 더 있다. 정조가 왕으로 즉위하자 아버지의 영혼을 기리기 위해 능을 옮기고 원찰을 지어 제향을 지내게 하였다. 정조가 죽자 나란히 묘를써 각각 융릉(장조의 능)과 건릉(정조의 능)이라 하여 그 넋을 위해 정기적인 제향을 올린다. 융릉과 건릉으로부터 1.7㎞ 정도 떨어져 있는 용주사는 도로변에 숲으로 둘러싸여 있는 절이다. 이곳에는 원래 854년(신라 문성왕 16)에 염거화상이 세운 갈양사(葛陽寺)가 있었으나 병자호란 때 소실된 뒤 폐사되었다고 한다. 그 뒤 정조가 부친인 장헌세자의 능을 이곳 화산으로 옮겨와 현륭원(顯隆園, 뒤에 융릉으로 승격됨)을 조성하면서 1790년(정조 14) 부친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갈양사 자리에 능사(陵寺)로서 용주사를 조성하였다. 용주사란 절 이름의 내력이 있다. 즉 용주사 낙성식 하루 전날 밤에 정조가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꿈을 꾸어 용주사라 부르게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창건한 사찰인 용주사에서는 일제에 의해 조선의 정통성과 역사가 단절되기 전까지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 정조대왕과 효의왕후김씨의 [위패](/topic/위패)를 모시고 일 년에 열두 차례 제향을 봉행해 왔다.

1907년까지 제향을 했으나 일제강점기에 중단된 의식은 100년 만에 다시 재현되었다. 홍살문을 다시 세우고 호성전(護聖殿) [현판](/topic/현판)식과 함께 왕실의 의식과 불교의식으로 장엄한제향의식이 거행되고 있다. 일제강점기 이후 중단돼 사도세자 제향의식은 2009년에 사도세자 융릉과 정조대왕 건릉을 포함한 조선왕릉 40기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과정이 계기가 되었다. 2007년에 이루어진 용주사의 제향의식은 사후 극락왕생을 위해 생전에 부처님 앞에 참회하는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 사도세자 제향, 죽은 사람의 영혼을 천도하는 중요무형문화재 50호 영산재(靈山齋), 물과 육지에서 헤매는 외로운 영혼에게 공양을 드리는 수륙재(水陸齋)로 이어졌다. 사도세자 제향의식은 정호 스님의 봉행사, 사도세자 행장 낭독, 제향, 추모사, 이철수 시인의 발원문 낭독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조선 왕릉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관심을 불러일으킨 융릉과 건릉은 사도세자에 대한 애도를 다시 상기시켰고, 이는 민간에 여러 형태로 전승이 재현되고 있다. 특히수원행궁을 중심으로 한 축제와 행사는 사도세자의 억울한 죽음과 정조의 효심을 함께 기리는 행사를 두루 묶어 시행하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로 수원 행궁터에서 열린 사도세자 진혼제를 들 수 있다.

사도세자를 둘러싼 처가와 외척들은 거의 전부가 정치적으로 그의 적이었다. 사도세자의 장인 홍봉한을 비롯하여 영조의 장인 김한구,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 총애하던 후궁 숙의 문씨, 화순옹주의 시아버지 김흥경, 화협옹주의 시아버지 신만, 화평옹주의 시아버지 박사정 등이 모두 노론이었다. 화완옹주를 비롯하여 화령옹주, 화길옹주도 모두 노론 집안으로 시집갔다. 이런 상황에서 맞이한 죽음은 얼마나 억울한 일이었을까. 사도세자가 당쟁 때문에 [뒤주](/topic/뒤주)에서 희생된 지 245년 만인 2007년 7월에 사도세자의 넋을달래는 진혼굿이 수원 화성행궁 신풍루에서 있었다. 무당 [김금화](/topic/김금화)는 사도세자의 혼을 불러 그 억울함을 모두 듣고 저승으로 편안히 안내하는 진혼굿을 행하였다. 김금화 만신은 245년 전 그날의 사도세자령이 씌인 듯 뒤주 안에서의 답답함을 호소하였고, 억울한 죽음을 당한 영혼을 달래는 굿으로 한스러운 이생을 떠나 극락왕생하기를 빌었다.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