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납읍리 포제단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의 금산공원 안에 있으며,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된 납읍리[마을](/topic/마을)제를 지내는 포제단.
definition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의 금산공원 안에 있으며,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된 납읍리[마을](/topic/마을)제를 지내는 포제단.
mp3Cnt
0
wkorname
강소전
정의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의 금산공원 안에 있으며,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된 납읍리[마을](/topic/마을)제를 지내는 포제단.
정의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의 금산공원 안에 있으며,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6호’로 지정된 납읍리[마을](/topic/마을)제를 지내는 포제단.
참조[제주납읍리[마을](/topic/마을)제](/topic/제주납읍리마을제)
참고문헌제주도부락지 Ⅱ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990)
북제주군의 문화유적 Ⅱ (북제주군·제주대학교박물관, 1998)
참조[제주납읍리[마을](/topic/마을)제](/topic/제주납읍리마을제)
참고문헌제주도부락지 Ⅱ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990)
북제주군의 문화유적 Ⅱ (북제주군·제주대학교박물관, 1998)
내용금산공원 안에 있는 포제단에서 납읍리 [마을](/topic/마을)제를 지낸다. 포제의 대상 신은 제단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토신(土神), 서신(西神), [포신](/topic/포신)(酺神)이다. 토신은 마을의 토지신(土地神)으로서 부락수호신이며, 서신은 홍역신(紅疫神)이고, 포신은 객신(客神)으로서 인물재해지신(人物災害之神)이라고 한다. 행제 순서는 토신, 포신, 서신의 순으로 한다. 예전에는 음력 정월에 춘제(春祭), 칠월에 추제(秋祭)라 하여 두 차례 포제를 지냈다고 한다. 하지만 1960년대에 마을회의의 결의를 통해 추제는 폐지되고 현재는 정월의 춘제만 지낸다.
내용금산공원 안에 있는 포제단에서 납읍리 [마을](/topic/마을)제를 지낸다. 포제의 대상 신은 제단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토신(土神), 서신(西神), [포신](/topic/포신)(酺神)이다. 토신은 마을의 토지신(土地神)으로서 부락수호신이며, 서신은 홍역신(紅疫神)이고, 포신은 객신(客神)으로서 인물재해지신(人物災害之神)이라고 한다. 행제 순서는 토신, 포신, 서신의 순으로 한다. 예전에는 음력 정월에 춘제(春祭), 칠월에 추제(秋祭)라 하여 두 차례 포제를 지냈다고 한다. 하지만 1960년대에 마을회의의 결의를 통해 추제는 폐지되고 현재는 정월의 춘제만 지낸다.
형태포제단은 ‘천연기념물 제375호’로 지정한 납읍 난대림지대가 있는 금산공원 안에 마련되어 있다. 금산공원 입구를 지나 조금 올라가면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인 포제단이 나온다. 포제단 주위로 [돌담](/topic/돌담)을 정성스럽게 [가지](/topic/가지)런히 쌓아 전체적인 제장을 마련하였다. 제장은 동서 길이가 8m, 남북 길이가 15m 정도로 비교적 넓은 편이다. 바닥도 자[연상](/topic/연상)태로 잘 정비되어 있다. 제장의 북쪽에 제단이 마련되었고, 남쪽에는 [기와](/topic/기와)를 덮은 포제청이 있다.

제단은 모두 세 개다. 북쪽인 제장 정면에 서신단(西神壇)과 토신단(土神壇)이 있고, 그 오른쪽에 따로 [포신](/topic/포신)단(酺神壇)이 마련되어 있다. 토신단과 포신단의 크기가 서로 비슷한 데 견주어 서신단은 비교적 작고 단출한 편이다. 제단의 상석(床石)은 모두 자연석을 이용하여 사각형으로 만들었다. 상석 뒤에는 자그마한 돌을 비석 모양으로 다듬어 세워 포제를 지낼 때 지방을 붙이는 용도로 사용한다. 망료위(望燎位, 능에서 제사를 지내고 [축문](/topic/축문)을 태우던 곳)는 서신단 왼쪽에 있다. 이 밖에 토신단과 포신단의 오른쪽에 직육면체의 자연석이 하나씩 놓여 있다. 한편 그동안 제단 주위에 쇠말뚝을 박고 쇠줄을 연결하여 제단을 보호하다가 현재는 쇠줄을 철거한 상태이다.
형태포제단은 ‘천연기념물 제375호’로 지정한 납읍 난대림지대가 있는 금산공원 안에 마련되어 있다. 금산공원 입구를 지나 조금 올라가면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인 포제단이 나온다. 포제단 주위로 [돌담](/topic/돌담)을 정성스럽게 [가지](/topic/가지)런히 쌓아 전체적인 제장을 마련하였다. 제장은 동서 길이가 8m, 남북 길이가 15m 정도로 비교적 넓은 편이다. 바닥도 자[연상](/topic/연상)태로 잘 정비되어 있다. 제장의 북쪽에 제단이 마련되었고, 남쪽에는 [기와](/topic/기와)를 덮은 포제청이 있다.

제단은 모두 세 개다. 북쪽인 제장 정면에 서신단(西神壇)과 토신단(土神壇)이 있고, 그 오른쪽에 따로 [포신](/topic/포신)단(酺神壇)이 마련되어 있다. 토신단과 포신단의 크기가 서로 비슷한 데 견주어 서신단은 비교적 작고 단출한 편이다. 제단의 상석(床石)은 모두 자연석을 이용하여 사각형으로 만들었다. 상석 뒤에는 자그마한 돌을 비석 모양으로 다듬어 세워 포제를 지낼 때 지방을 붙이는 용도로 사용한다. 망료위(望燎位, 능에서 제사를 지내고 [축문](/topic/축문)을 태우던 곳)는 서신단 왼쪽에 있다. 이 밖에 토신단과 포신단의 오른쪽에 직육면체의 자연석이 하나씩 놓여 있다. 한편 그동안 제단 주위에 쇠말뚝을 박고 쇠줄을 연결하여 제단을 보호하다가 현재는 쇠줄을 철거한 상태이다.
한국음악 4/김기수//국립국악원/196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1/
국악통론/서한범//태림출판사/1993/
최신 국악총론/장사훈//세광음악출판사/1985/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