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전상

한국무속신앙사전
뒷전상
서울굿에서 뒷전을 위해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
definition
서울굿에서 뒷전을 위해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
mp3Cnt
0
wkorname
이수현
정의서울굿에서 뒷전을 위해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
내용뒷전거리는 모든 굿에서 마지막 제차로 행하며, 여러 잡귀와 잡신을 풀어먹이면서 굿에 들어온 별비를 나누고 굿상을 철하는 등 정리 단계에 해당한다. 황해도굿의 [마당](/topic/마당)거리, 충청도굿의 수분거리, 전라도굿의 [퇴송](/topic/퇴송)거리 및 [거리굿](/topic/거리굿) 등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뒷전상은 굿당 문 밖이나 마당에 차린다. 상차림은 어느 굿에서나 거의 동일하되 큰상에 두는 제물을 조금씩 덜어서 놓기 때문에 굿판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 이 상은 잡귀와 잡신을 풀어먹이는 목적으로 차리는 제물이기 때문에 차림에 격식이 없다. [부정상](/topic/부정상)으로 대신하기도 한다.

『[무당내력](/topic/무당내력)(巫黨來歷)』에서는 뒷전상에 떡 한 접시와 밥 세 그릇, 북어를 둔 그림이 남아 있다. 북어는 대체로 하위 신격에게 바치는 제물로 여겨지며, 1마리 또는 3마리를 쓴다. 현재는 밥, 떡, 나물, 전, 과일, 조과(造菓)를 올리고 흐린 술(주로 막걸리) 3잔과 [통북어](/topic/통북어)를 놓는다. 떡, 나물, 전, 과일, 조과 등은 격식을 차려 따로 담는 일이 드물고 한 접시에 담기도 한다. 따로 미역국을 준비하기도 하며, 날계란을 쓸 때는 뒷전거리 중에 마당에 던져 깨뜨린다. 이는 액을 쫓는 의미가 있다.

잡밥([수수](/topic/수수)•팥•좁쌀 등을 볶은 밥)을 함께 쓸 때는 잡밥 그릇을 상 밑에 두며, 따로 건물 바깥이나 문 밖에 두기도 한다. 잡밥은 “섣달 한달 드는 홍수 정월하고도 열나흗날 [오곡](/topic/오곡) 잡밥으로 막아내고”라는 무가 구절에서 보듯 좋지이 않은 기운을 막는 것으로 여겨진다. 다른 제물 없이 잡밥과 북어만으로 상차림을 끝내기도 한다. 다른 제물상과 달리 이 상에 놓는 음식은 굿이 끝난 후에 사람이 먹지 않는다.
참고문헌서울지방의 무속신앙 [제상](/topic/제상)차림을 통하여 본 식문화에 대한 고찰 (김상보·황혜성,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988)
한국의 샤머니즘 (조흥윤,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 (홍태한, 한국무속학 6, 한국무속학회, 2003)
서울의 무가 ([최형근](/topic/최형근), 민속원, 2004)
[무당내력](/topic/무당내력) (서대석 해제, 민속원, 2005)
굿상에 투영된 신에 대한 인식 (이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뒷전상
64585
뒷전상
뒷전상
64358
뒷전상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