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6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통북어
    493 2023.02.27
    산신제, [장승제](/topic/장승제), 유황제 등 모든 민속 제의에서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중요한 [제물](/topic/제물).
  • 공싯상
    910 2023.02.27
    제주도 굿에서 심방의 [무조신](/topic/무조신)(巫祖神)을 위해 차려 놓는 것으로, 굿을 할 때 심방의 무구를 올려놓는 상.
  • 뒷전상
    572 2023.02.27
    서울굿에서 뒷전을 위해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
  • 봉지밥
    588 2023.02.27
    ‘거리메기기’의 [제물](/topic/제물)로, 동제를 지낼 때 소지올리기를 마친 뒤 동제 제물을 조금씩 떼서 [한지](/topic/한지)로 싼 것.
  • 실타래
    622 2023.02.27
    실을 쉽게 풀어 쓸 수 있도록 한데 뭉치거나 감아 놓은 타래. 실타래는 [가신](/topic/가신)(家神)이나 [마을](/topic/마을)신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의례와 집안의 [고사](/topic/고사) 등에 수명장수를 축원하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신령에게 바치는 [제물](/topic/제물) 또는 폐백으로 진설되는 게 일반적이다.
  • 장구떡
    598 2023.02.27
    서울 [만신](/topic/만신)들이 본인의 신령들을 위한 [진적굿](/topic/진적굿) 때 [천장](/topic/천장)에 당(堂)을 메고, 그 위에 올렸던 떡의 하나.
  • 팥죽
    429 2023.02.27
    동지 때 가정에서 [잡귀잡신](/topic/잡귀잡신)의 침입을 막기 위해 집의 가정신이 머무는 곳에 뿌리는 팥으로 만든 죽.
  • 군웅상
    876 2023.02.27
    군웅신을 대접하기 위해 [제물](/topic/제물)을 차린 상.
  • 565 2023.02.27
    곡식가루를 시루에 안쳐 쪄서 만든 증병(蒸餠), 시루에 찐 다음 안반에 놓고 쳐서 만든 도병(搗餠), 소댕에 지져서 만든 전병(煎餠), 가루를 반죽하여 빚어 모양을 만들어서 삶아 건져 고물을 묻힌 경단류 등의 총칭.
  • 부정상
    614 2023.02.27
    서울굿에서 부정을 물리기 위해 차리는 상.
  • 591 2023.02.27
    벼의 알맹이로 성주·조상·터주·철륭 등 [가신](/topic/가신)에게 정기적으로 올리는 [제물](/topic/제물).
  • 장군상
    573 2023.02.27
    [장군](/topic/장군)신에게 바치는 상.
  • 할망상
    478 2023.02.27
    산신인 삼승할망을 위하여 차린 상.
  • 녹음이시루
    789 2023.02.27
    충청남도 부여군 은산면에서의 은산별신제 때 올리는 산신을 대접하기 위한 제사 음식 중 하나로, 시루에 안쳐 찐 백설기.
  • 만당제물
    614 2023.02.27
    제주도굿에서 쓰이는 가장 기본적인 떡들을 총칭하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