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5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고리동반
    872 2023.02.27
    둥글납작한 떡 위에 방울 모양의 떡 일곱 개를 놓아 댓[가지](/topic/가지)로 얽어매고 창살 모양의 [백지](/topic/백지)로 감싼 것.
  • 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 사내리 [마을](/topic/마을) 앞에 서 있는 4기의 입석 형태 당산. 1999년 7월 9일에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32호’로 지정되었다.
  • 거리제
    866 2023.02.27
    음력 정월 초순이나 보름 무렵에 [마을](/topic/마을) 어귀나 큰 삼거리에서 올리는 마을 공동 제의.
  • 겜심바침
    865 2023.02.27
    서울 지역에서 기자를 위한 축원의례의 하나. ‘삼신축원’이라고도 한다.
  • 골맥이
    862 2023.02.27
    [마을](/topic/마을)굿이나 동제(洞祭)를 지낼 때 풍년ㆍ풍어나 제액(除厄)을 기원하는 마을의 수호신.
  • 걸립상
    861 2023.02.27
    [걸립신](/topic/걸립신)에게 바치는 상
  • 개성 덕물산에 있는 [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을 모시는 신당. 덕물산은 개성 동남 2리에 위치한 해발 200m 정도의 야산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경기도 풍덕군(豊德郡)의 관아가 있는 곳에서 동쪽으로 30리 지점에 있다고 했다.
  • 공하
    860 2023.02.27
    경상북도 일부 지역에서 동제를 준비하고 제의를 행하는 [제관](/topic/제관)에게 수고했다는 뜻으로 주민들이 곡식이나 돈 또는 기물(器物) 등을 공동으로 지급하는 것을 일컫는 말.
  • 거리밥
    859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마지막 제차인 [거리굿](/topic/거리굿)을 할 때 굿판에 놀러온 여러 잡귀와 잡신을 풀어먹이기 위해 큰 통 또는 그릇에 한데 섞은 [제물](/topic/제물) 음식.
  • 거령산
    857 2023.02.27
    동해안 지역의 굿에서 양중이 [장삼](/topic/장삼)에 [고깔](/topic/고깔)을 쓰고 추는 춤과 이를 반주하는 [장단](/topic/장단) 명칭.
  • 걸립신
    855 2023.02.27
    한국 무(巫)의 신격 중 하나. 주로 굿의 뒷전에 모시는 하위신으로 분류된다.
  • 계면
    852 2023.02.27
    서울ㆍ경기 지역 굿의 계면거리와 동해안 지역 굿의 계면굿에서 모셔지는 신.
  • 걸립
    851 2023.02.27
    공공의 자금이 필요할 때 풍물패를 조직하여 굿을 해 주고 각 가정에서 돈과 곡식을 걷는 것.
  • 걸립신
    850 2023.02.27
    흔히 잘 얻어먹지 못하는 문간귀신으로 여기며 집안으로의 왕래를 활발하게 하고 영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신. 일부 지역에서는 재복신 또는 농사신으로 여긴다.
  • 객귀
    849 2023.02.27
    사람이 천수를 다하지 못하고 집 밖의 객지에서 죽었을 때 그 혼령이 승천하지 못하고 [원귀](/topic/원귀)가 되어 자기 가족이나 친척 등을 괴롭힌다는 귀신. 떠돌이 귀신을 부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