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구떡

한국무속신앙사전
서울 [만신](/topic/만신)들이 본인의 신령들을 위한 [진적굿](/topic/진적굿) 때 [천장](/topic/천장)에 당(堂)을 메고, 그 위에 올렸던 떡의 하나.
definition
서울 [만신](/topic/만신)들이 본인의 신령들을 위한 [진적굿](/topic/진적굿) 때 [천장](/topic/천장)에 당(堂)을 메고, 그 위에 올렸던 떡의 하나.
mp3Cnt
0
wkorname
김형근
정의서울 [만신](/topic/만신)들이 본인의 신령들을 위한 [진적굿](/topic/진적굿) 때 [천장](/topic/천장)에 당(堂)을 메고, 그 위에 올렸던 떡의 하나.
참조[벙거지떡](/topic/벙거지떡)
참고문헌무·굿과 음식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서울굿의 다양성과 구조 (김헌선, 한국무속학 12, 한국무속학회, 2006)
내용‘[당떡](/topic/당떡)’의 하나인 장구떡은 생김새가 악기인 장구 같다고 하여 이러한 이름으로 불린다. 정식 명칭은 당에 올리는 떡이므로 ‘당떡’이다.

서울의 무당들이 자신이 신을 받을 날을 생일처럼 여기고 한 해 한 차례 자신들의 신령들을 위해 [진적굿](/topic/진적굿)을 한다. 진적굿을 할 때 차리는 제물로 장구떡을 올린다. 이때 제물은 많이 차리지 않고 당떡 세트를 만들어 올리는데, 당떡은 편떡, 웃기, 장구떡, [벙거지떡](/topic/벙거지떡)으로 구성된다. 당떡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이 사진 ‘벙거지떡’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가회박물관무속화-토속신앙의 원형을 찾아서윤열수2007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