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화수

한국무속신앙사전
정화수
새벽 일찍이 [우물](/topic/우물)에서 길어온 물.
definition
새벽 일찍이 [우물](/topic/우물)에서 길어온 물.
mp3Cnt
0
wkorname
임장혁
정의새벽 일찍이 [우물](/topic/우물)에서 길어온 물.
정의새벽 일찍이 [우물](/topic/우물)에서 길어온 물.
[[Jeonghwa](/topic/Depuración)](/topic/Jeonghwa)su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l agua fresca que ha sido sacada de un pozo a primeras horas de la mañana.

Siendo indispensable para el sustento de la vida humana, el agua ha servido como un objeto o medio del culto religioso a lo largo de la historia. En este caso, al agua se le llama jeongansu. Generalmente la mujer de la casa saca un cuenco del agua fresca al amanecer y la ofrece con el deseo de que se hagan realidad sus deseos.

El jeonghwasu tiene un significado simbólico como una ofrenda sagrada por su forma más pura, preparada con la devoción a primeras horas del día. El ritual en el que se ofrece el jeonghwasu tiene lugar en varios espacios de la mujer en el hogar, incluyendo el pozo y la terraza donde se guardan las vasijas de barro para salsa en el patio y la cocina. Los dioses domésticos como la deidad de las siete estrellas llamada [[Chilseong](/topic/SieteEstrellas)](/topic/Chilseong), el dios de la cocina llamado [[Jowang](/topic/DiosdelaCocina)](/topic/Jowang) y la deidad tutelar de la tierra llamada [[Teoju](/topic/DiosTutelardelaTierra)](/topic/Teoju) son reverenciados, junto con otras deidades naturales como árboles o rocas.

Se cree que el agua posee la capacidad de purificación de lo impuro, por lo cual la gente utiliza el jeonghwasu también para eliminar impurezas salpicándola con los dedos.
凌晨从井里打上来的水。

如果没有水,人类将无法延续生命,因此,作为饮品的清水成为了信仰行为的对象和媒介。井华水还被称作“井安水”,一般是由主妇把井华水盛放在碗里,向神灵祈求家人健康安宁,家庭和睦。

“井华水”是主妇们为了在凌晨不定期向神灵祈求小小的愿望而精心盛放的清水。此时的清水可视为祭祀用水或贡品。在凌晨这一特定时间段精心打上的洁净的水,具有献给神灵或神的神圣祭水的象征性意义。主妇们盛放井华水祈愿的场所多为井边,酱缸台,厨房等女性空间,信仰对象为[七星](/topic/七星),[灶王](/topic/灶王),[宅基神](/topic/宅基神)等妇女供奉的家神或岩石等自然神。

此外,水被认为具有洗净脏污的[净化](/topic/净化)能力,因此人们还用井华水消除[不净](/topic/不净)。此时,用手指将井华水抛洒三次,期待出现咒术性效果。
내용인간은 물이 없이는 영위할 수 없기 때문에 음료로 사용되는 맑은 물은 신앙행위의 대상이나 매체가 되었다. 이 물을 ‘정안수’라고도 한다. 주로 주부가 사발이나 중발에 정화수를 떠놓고 가족의 건강과 화목 등을 신령에게 기원한다.

정화수는 주부들이 비정기적으로 새벽에 정성을 들여 작은 소망을 빌기 위해 떠놓는 깨끗한 물이며, 제수나 공물로서 의미가 있다. 이른 새벽이라는 특정한 시간대에 정성을 들여서 떠온 정갈하고 맑은 물은 신령이나 신에게 바치는 성스러운 제수로서의 상징적 가치를 띤다. 주부들이 정화수를 떠놓고 소망을 비는 장소는 [우물](/topic/우물)가나 [장독대](/topic/장독대), [부엌](/topic/부엌) 등이다. 이곳들은 여성의 공간이다. 신앙대상은 수목이나 바위와 같은 자연신이거나 칠성, 조왕, 터주 등 여성이 모시는 [가신](/topic/가신)(家神)이다. 따라서 정화수를 매개로 기원의 공간이나 신령은 여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

물은 부정을 쫓거나 더러운 것을 씻어주는 정화력(淨化力)이 있는 것으로 여겨왔기 때문에 정화수로써 부정을 물리치고자 한다. 정화수를 손가락으로 세 번 흩뿌리며 주술적 효과를 기대한다. [비손](/topic/비손)은 가족에게 닥칠지도 모르는 병 또는 액을 막기 위해 무당에게 간단한 굿을 의뢰하거나 경험이 있는 이웃 주부에게 부탁하여 행한다. [제물](/topic/제물)로 떡이나 정화수를 간단히 마련하여 두 손을 비비며 기원하기도 한다.
내용인간은 물이 없이는 영위할 수 없기 때문에 음료로 사용되는 맑은 물은 신앙행위의 대상이나 매체가 되었다. 이 물을 ‘정안수’라고도 한다. 주로 주부가 사발이나 중발에 정화수를 떠놓고 가족의 건강과 화목 등을 신령에게 기원한다.

정화수는 주부들이 비정기적으로 새벽에 정성을 들여 작은 소망을 빌기 위해 떠놓는 깨끗한 물이며, 제수나 공물로서 의미가 있다. 이른 새벽이라는 특정한 시간대에 정성을 들여서 떠온 정갈하고 맑은 물은 신령이나 신에게 바치는 성스러운 제수로서의 상징적 가치를 띤다. 주부들이 정화수를 떠놓고 소망을 비는 장소는 [우물](/topic/우물)가나 [장독대](/topic/장독대), [부엌](/topic/부엌) 등이다. 이곳들은 여성의 공간이다. 신앙대상은 수목이나 바위와 같은 자연신이거나 칠성, 조왕, 터주 등 여성이 모시는 [가신](/topic/가신)(家神)이다. 따라서 정화수를 매개로 기원의 공간이나 신령은 여성과 깊은 관련이 있다.

물은 부정을 쫓거나 더러운 것을 씻어주는 정화력(淨化力)이 있는 것으로 여겨왔기 때문에 정화수로써 부정을 물리치고자 한다. 정화수를 손가락으로 세 번 흩뿌리며 주술적 효과를 기대한다. [비손](/topic/비손)은 가족에게 닥칠지도 모르는 병 또는 액을 막기 위해 무당에게 간단한 굿을 의뢰하거나 경험이 있는 이웃 주부에게 부탁하여 행한다. [제물](/topic/제물)로 떡이나 정화수를 간단히 마련하여 두 손을 비비며 기원하기도 한다.
역사[우물](/topic/우물)에 대한 문헌기록으로는 『삼국사기(三國史記)』1 「신라본기」1 시조 혁거세 거서간(居西干) 5년 정월에 용이 알영정(閼英井)에 나타나 오른쪽 옆구리에서 여자아이를 낳았으며, 여자 아이는 자라면서 덕행과 용모가 뛰어나 시조가 왕비로 맞았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삼국사기』권23 「백제본기」1 시조 온조왕 25년 2월에 왕궁의 우물물이 넘쳤는데 이는 대왕이 우뚝 일어날 징조라고 하였다. 고대 초기에 우물은 이미 있었으며, 신화적 상징인 생명력과 풍요의 기능을 발휘하고 미래를 예지하는 성스러운 곳으로 여겨왔다. 따라서 기원을 위해 의례적으로 정화수를 올리는 관행은 고대에도 행하였던 것으로 추론된다.
역사[우물](/topic/우물)에 대한 문헌기록으로는 『삼국사기(三國史記)』1 「신라본기」1 시조 혁거세 거서간(居西干) 5년 정월에 용이 알영정(閼英井)에 나타나 오른쪽 옆구리에서 여자아이를 낳았으며, 여자 아이는 자라면서 덕행과 용모가 뛰어나 시조가 왕비로 맞았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삼국사기』권23 「백제본기」1 시조 온조왕 25년 2월에 왕궁의 우물물이 넘쳤는데 이는 대왕이 우뚝 일어날 징조라고 하였다. 고대 초기에 우물은 이미 있었으며, 신화적 상징인 생명력과 풍요의 기능을 발휘하고 미래를 예지하는 성스러운 곳으로 여겨왔다. 따라서 기원을 위해 의례적으로 정화수를 올리는 관행은 고대에도 행하였던 것으로 추론된다.
지역사례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에서는 칠성을 장독에 모신다. 칠성은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신이어서 천신(天神)의 신격(神格)으로 모시기도 한다. 잘못 모시면 큰 탈을 입는다고 한다. 칠성을 모실 때에는 장독에 정화수를 떠놓고 흰 [시루떡](/topic/시루떡)을 올린다. 칠성은 깨끗한 것을 좋아하므로 비린 것은 일절 쓰지 않는다.
지역사례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상노리에서는 칠성을 장독에 모신다. 칠성은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신이어서 천신(天神)의 신격(神格)으로 모시기도 한다. 잘못 모시면 큰 탈을 입는다고 한다. 칠성을 모실 때에는 장독에 정화수를 떠놓고 흰 [시루떡](/topic/시루떡)을 올린다. 칠성은 깨끗한 것을 좋아하므로 비린 것은 일절 쓰지 않는다.
의의정화수는 유교의 제사나 굿에서 올리는 제수 또는 공물이 다양해지면서 의례에서 사라지고 있다. 단지 주부들이 간소한 소망을 빌거나 액을 물리치기 위해 주술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화수는 물의 상징성과 거의 일치하며, 여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한국의 향토신앙 (장주근, 을유문화사, 1975)
三國史記, [우물](/topic/우물)의 상징적 의미와 사회적 기능 (구미래, 비교민속학 23, 민속원, 2002)
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Jeonghwasu is fresh water that has been fetched from a well early in the morning.

Water, being an indispensable substance for sustaining human life, has throughout civilization served as an object or medium of religious worship.

It is the women in the family who generally fetch a bowl of clean water at the crack of dawn as an offering to pray for their wishes. Jeonghwasu carries symbolic significance as a sacred offering in its purest form, prepared with devotion during the day’s first hours. Rituals that offer jeonghwasu take place in women’s spaces in the house, including the well or the sauce jar terrace in the backyard and the kitchen. Household gods including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 (Seven Stars), [[Jowang](/topic/KitchenGod)](/topic/Jowang) (Kitchen God) and [[Teoju](/topic/LandTutelaryGod)](/topic/Teoju) (Land Tutelary God) are worshipped, along with nature deities like trees or rocks.

Water is also believed to possess purifying powers for cleansing what is unclean, so jeonghwasu is also used for chasing away impurities, by sprinkling it three times with your fingers.
[[Jeonghwa](/topic/Depuración)](/topic/Jeonghwa)su es el término que hace referencia al agua fresca que ha sido sacada de un pozo a primeras horas de la mañana.

Siendo indispensable para el sustento de la vida humana, el agua ha servido como un objeto o medio del culto religioso a lo largo de la historia. En este caso, al agua se le llama jeongansu. Generalmente la mujer de la casa saca un cuenco del agua fresca al amanecer y la ofrece con el deseo de que se hagan realidad sus deseos.

El jeonghwasu tiene un significado simbólico como una ofrenda sagrada por su forma más pura, preparada con la devoción a primeras horas del día. El ritual en el que se ofrece el jeonghwasu tiene lugar en varios espacios de la mujer en el hogar, incluyendo el pozo y la terraza donde se guardan las vasijas de barro para salsa en el patio y la cocina. Los dioses domésticos como la deidad de las siete estrellas llamada [[Chilseong](/topic/SieteEstrellas)](/topic/Chilseong), el dios de la cocina llamado [[Jowang](/topic/DiosdelaCocina)](/topic/Jowang) y la deidad tutelar de la tierra llamada [[Teoju](/topic/DiosTutelardelaTierra)](/topic/Teoju) son reverenciados, junto con otras deidades naturales como árboles o rocas.

Se cree que el agua posee la capacidad de purificación de lo impuro, por lo cual la gente utiliza el jeonghwasu también para eliminar impurezas salpicándola con los dedos.
凌晨从井里打上来的水。

如果没有水,人类将无法延续生命,因此,作为饮品的清水成为了信仰行为的对象和媒介。井华水还被称作“井安水”,一般是由主妇把井华水盛放在碗里,向神灵祈求家人健康安宁,家庭和睦。

“井华水”是主妇们为了在凌晨不定期向神灵祈求小小的愿望而精心盛放的清水。此时的清水可视为祭祀用水或贡品。在凌晨这一特定时间段精心打上的洁净的水,具有献给神灵或神的神圣祭水的象征性意义。主妇们盛放井华水祈愿的场所多为井边,酱缸台,厨房等女性空间,信仰对象为[七星](/topic/七星),[灶王](/topic/灶王),[宅基神](/topic/宅基神)等妇女供奉的家神或岩石等自然神。

此外,水被认为具有洗净脏污的[净化](/topic/净化)能力,因此人们还用井华水消除[不净](/topic/不净)。此时,用手指将井华水抛洒三次,期待出现咒术性效果。
의의정화수는 유교의 제사나 굿에서 올리는 제수 또는 공물이 다양해지면서 의례에서 사라지고 있다. 단지 주부들이 간소한 소망을 빌거나 액을 물리치기 위해 주술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화수는 물의 상징성과 거의 일치하며, 여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한국의 향토신앙 (장주근, 을유문화사, 1975)
三國史記, [우물](/topic/우물)의 상징적 의미와 사회적 기능 (구미래, 비교민속학 23, 민속원, 2002)
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Jeonghwasu is fresh water that has been fetched from a well early in the morning.

Water, being an indispensable substance for sustaining human life, has throughout civilization served as an object or medium of religious worship.

It is the women in the family who generally fetch a bowl of clean water at the crack of dawn as an offering to pray for their wishes. Jeonghwasu carries symbolic significance as a sacred offering in its purest form, prepared with devotion during the day’s first hours. Rituals that offer jeonghwasu take place in women’s spaces in the house, including the well or the sauce jar terrace in the backyard and the kitchen. Household gods including [[Chilseong](/topic/SevenStars)](/topic/Chilseong) (Seven Stars), [[Jowang](/topic/KitchenGod)](/topic/Jowang) (Kitchen God) and [[Teoju](/topic/LandTutelaryGod)](/topic/Teoju) (Land Tutelary God) are worshipped, along with nature deities like trees or rocks.

Water is also believed to possess purifying powers for cleansing what is unclean, so jeonghwasu is also used for chasing away impurities, by sprinkling it three times with your fingers.
문교부진쇠장단외 십일장단박헌봉1966
문화재관리국시나위유기룡ㆍ이보형1971
민속원지영희민속음악연구자료집2000
김옥수 할머니의 가정신앙
13792
김옥수 할머니의 가정신앙
터주에 올린 정화수와 불밝이쌀
13791
터주에 올린 정화수와 불밝이쌀
당산에 올린 정화수
13790
당산에 올린 정화수
우물을 상징하는 청수동이
13789
우물을 상징하는 청수동이
청수동이와 기름종지
13788
청수동이와 기름종지
김옥수 할머니의 가정신앙
13792
김옥수 할머니의 가정신앙
터주에 올린 정화수와 불밝이쌀
13791
터주에 올린 정화수와 불밝이쌀
당산에 올린 정화수
13790
당산에 올린 정화수
우물을 상징하는 청수동이
13789
우물을 상징하는 청수동이
청수동이와 기름종지
13788
청수동이와 기름종지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