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5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598 2023.02.27
    [한지](/topic/한지)를 비롯하여 김, 취나물, [시금치](/topic/시금치) 등 나물에 밥을 싸서 종교적 목적으로 바치는 공물(供物)의 일종. 주로 [우물](/topic/우물), 강, 바다에 임재한 수신(水神)에게 환심을 사거나 재앙을 구축하기 위해 바친다. 노적을 모방하여 풍농을 기원하기 위해 만든다.
  • 정화수
    598 2023.02.27
    새벽 일찍이 [우물](/topic/우물)에서 길어온 물.
  • 메밀
    598 2023.02.27
    도깨비가 메밀을 좋아한다는 사고방식이 반영된 [마을](/topic/마을)신앙이나 개인[고사](/topic/고사) 등에서 올리는 [제물](/topic/제물).
  •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 연행 전날에 치러지는 안당사경맞이에 준비되는 [제상](/topic/제상).
  • 요왕차사상
    596 2023.02.27
    영등굿이나 잠수굿 등에서 용왕차사(龍王差使)에게 올리는 [제물](/topic/제물) 음식을 차린 상.
  • 산바라기상
    595 2023.02.27
    산신을 위해 차려지는 상.
  • 상식상
    595 2023.02.27
    서울굿의 상식거리에서 망자가 극락으로 가기 전에 마지막으로 받는 상.
  • 목제남근
    593 2023.02.27
    소나무 등 나무를 깎아서 만든 모형 남근.
  • 정화수
    592 2023.02.27
    새벽 일찍이 [우물](/topic/우물)에서 길어온 물.
  • 591 2023.02.27
    벼의 알맹이로 성주·조상·터주·철륭 등 [가신](/topic/가신)에게 정기적으로 올리는 [제물](/topic/제물).
  • 봉지밥
    588 2023.02.27
    ‘거리메기기’의 [제물](/topic/제물)로, 동제를 지낼 때 소지올리기를 마친 뒤 동제 제물을 조금씩 떼서 [한지](/topic/한지)로 싼 것.
  • 방망이떡
    588 2023.02.27
    서울굿에 쓰이는 떡 중 한 종류로, [불사상](/topic/불사상)과 [연지당상](/topic/연지당상)에 올려짐.
  • 성주상
    588 2023.02.27
    집을 수호하는 신령인 성주신에게 바치는 [제물](/topic/제물)의 상차림.
  • 실타래
    586 2023.02.27
    실을 쉽게 풀어 쓸 수 있도록 한데 뭉치거나 감아 놓은 타래. 실타래는 [가신](/topic/가신)(家神)이나 [마을](/topic/마을)신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의례와 집안의 [고사](/topic/고사) 등에 수명장수를 축원하는 의미로 사용되거나 신령에게 바치는 [제물](/topic/제물) 또는 폐백으로 진설되는 게 일반적이다.
  • 연지당상
    583 2023.02.27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에서 지장보살을 모시기 위해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