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5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상량문
    585 2023.02.27
    목조 건물 건축 과정에서 최상부 부재인 종도리(마룻도리)를 올리는 [상량제](/topic/상량제)(上樑祭) 때 사용하는 [축문](/topic/축문)(祝文).
  • 오색천
    584 2023.02.27
    붉은색․녹색․파란색․노란색․흰색 등 다섯 [가지](/topic/가지) 색깔의 천. 주로 서낭나무, [서낭기](/topic/서낭기), 영등대 등에 매달아서 이를 신체(神體) 혹은 신에게 바치는 헌물로 인식하며 배서낭을 모실 때도 오색천을 신체로 모시거나 헌물 등으로 쓴다.
  • 성줏대
    576 2023.02.27
    성주신의 [봉안](/topic/봉안)의식을 할 때 성주를 받는 도구.
  • 신대
    575 2023.02.27
    우리나라 민속 신앙에서 하늘이나 산속, 또는 신당에서 신을 받거나 옮길 때 쓰는 대나무나 서낭대.
  • 삼신대
    575 2023.02.27
    남녀가 결혼 후 자식이 없을 때 삼신을 받는 기자신앙 의례에서 사용되는 삼신을 받는 대.
  • 영등까꾸리
    574 2023.02.27
    영남지방의 해안지역에서 2월 [영등제](/topic/영등제)사를 지낼 때 제물인 물고기를 [저장](/topic/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제구. 영등신의 신체(神體)로 믿는 경우도 있다. 보통 소나무로 만들어 [부엌](/topic/부엌) [천장](/topic/천장)에 매달아 둔다.
  • 춘첩
    573 2023.02.27
    입춘 때 집안 곳곳에 경축과 벽사의 의미를 기원하며 붙인 문구.
  • 복숭아나무
    573 2023.02.27
    주술적인 기운이 있다고 여겨 나뭇[가지](/topic/가지) 등으로 도구를 만들어 나쁜 귀신과 재앙을 쫓는 데 사용하는 나무.
  • 뱃기
    572 2023.02.27
    뱃사람들의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배의 고물이나 이물에 다는 삼색 혹은 오색으로 만든 깃발.
  • 솔가지
    571 2023.02.27
    소나무 [가지](/topic/가지)를 말하며 소나무가 지닌 상징성을 취해 그 가지로 부정을 쫓고 공간을 정화하며 생명력을 북돋우는 데 사용하는 제구. 주로 솔가지를 특정한 곳에 걸어 두거나 솔가지에 물이나 팥죽 등을 적셔 뿌린다. 이 밖에도 솔가지를 태우거나 던지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한다.
  • 오쟁이
    570 2023.02.27
    나쁜 액과 질병을 담아 없애는 제의용 도구로, [거리제](/topic/거리제)를 지낼 때 액운이 낀 사람의 오쟁이를 만들어 개울이나 [마을](/topic/마을) 밖으로 던져 한 해의 액운을 미리 막거나 떨쳐버리는 데 사용한다
  • 짚말
    570 2023.02.27
    무속의 [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 혹은 동제의 제장에 재액(災厄)을 물리칠 목적으로 안치하는 짚으로 엮은 말.
  • 소금단지
    565 2023.02.27
    소금단지는 [마을](/topic/마을)에 빈번하게 일어나는 화재를 막기 위한 [풍수](/topic/풍수)상의 조치로 마을의 산에 묻는 일종의 제구(祭具)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신체(神體)가 되기도 한다.
  • 제웅
    564 2023.02.27
    [볏짚](/topic/볏짚)과 풀 등으로 사람의 형상을 제작하여 [마을](/topic/마을)제의가 끝날 무렵에 불에 태우거나 배에 실어 바다에 띄워 보내는 액막이형 제의도구이자 신체.
  • 짚말
    562 2023.02.27
    무속의 [마마배송굿](/topic/마마배송굿) 혹은 동제의 제장에 재액(災厄)을 물리칠 목적으로 안치하는 짚으로 엮은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