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5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볏가리제
    591 2023.02.27
    이월 초하룻날에 정월 열나흗날 세운 볏가릿대 앞에서 풍년을 기원하는 농부들의 진솔한 염원을 담아 제(祭)를 지내고 노는 풍농기원 세시의례.
  • 봉등채
    638 2023.02.27
    경기도 남부 세습무인 산이 집단에서 제석굿을 할 때 쓰는 [장단](/topic/장단) 가운데 하나.
  • 매년 [정월대보름](/topic/정월대보름)날에 전라북도 부안군 부안읍 내요리에서 행해지는 [마을](/topic/마을) 제의. 돌모산당산은 솟대형 석주신간(솟대당산)이며, ‘당산할머니’ 또는 ‘당산 하나씨’ 등으로 불린다. 마을 주민들은 이 신간이 마을을 지켜 주는 수호신이라 여기고 해마다 이곳에 제의를 올리고 있다. 돌모산당산은 1985년 8월 16일에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9호’로 지정되었다.
  • 불밝이쌀
    599 2023.02.27
    제장에 불을 밝힐 목적으로 안치하는 쌀 또는 신령의 [흠향](/topic/흠향)(歆饗)을 위해 공물(供物)로 바치는 생미(生米).
  • 사신
    679 2023.02.27
    신(神)이 이동할 때 호위하는 역할을 하는 신.
  • 산신당
    675 2023.02.27
    [마을](/topic/마을)의 뒤쪽 산중턱이나 산기슭에 당을 마련하여 산신을 모셔 놓은 마을 제당. 대체로 산 전체를 신성하게 여기면서 산신이라는 신격이 형성되어 산신당을 모시게 된다. 반드시 산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마을의 평지라 하더라도 산신을 신격으로 한 제당을 상정(想定)하기도 한다. 산신당은 마을의 수호신을 섬기는 제당이라는 점에서 마을신앙에 포함되는 반면에 때로는 무당들의 기도처이기도 하여 무속신앙에 포함되기도 한다. 또한 가정 단위로 산신을 섬기는 경우가 있어 가정신앙에 포함될 수도 있다.
  • 삼공본풀이
    741 2023.02.27
    제주도의 큰굿에서 불리는 신화로 전상차지신인 삼공신의 근본내력을 설명하고 있는 본풀이. 현재는 큰굿 31제차 가운데 14번째 거리에서 거행되는 제차인 ‘삼공본풀이’에서 구송되고 있지만 원래는 큰굿 열두 거리 가운데 초감제, 불도제, 초공제, 이공제에 이어 다섯 번째 거리인 삼공제에서 구송되던 신화로 볼 수 있다.
  • 삼신받기
    566 2023.02.27
    불임(不姙)의 원인을 삼신의 부재(不在) 또는 이탈로 여겨서 삼신을 ‘집’이나 ‘임신을 원하는 불임녀’에게로 받아 모셔와 수태(受胎)를 유도하는 풍습. 넓은 뜻으로는 어떤 외부의 현상과 사물로부터 생명력이나 생산력을 불임녀에게 전이(轉移)시키는 일체의 의례도 일컫는다.
  • 삼태자풀이
    588 2023.02.27
    평양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로, 삼불제석신의 내력을 서사적으로 읊은 구전신화. 여주인공의 이름을 따서 세장애기라고도 한다. 는 가내의 평안, 무병장수,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는 것이 목적인 ‘[도신](/topic/도신)’에서 불린다.
  • 샛별국화
    717 2023.02.27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이나 [동해안오구굿](/topic/동해안오구굿)에서 제단에 올려놓는 지화(紙花)의 한 종류로 샛별 모양의 국화. 일명 당국화(唐菊花)라고도 한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당인동부군당에서 지내는 제의. 과거에는 당주무당을 불러 굿을 했으나 최근에는 [마을](/topic/마을) 주민들이 주축이 되어 간단한 유교식 제사를 지낸다.
  • 선왕상
    642 2023.02.27
    제주도에서 어부와 선주를 수호하는 신인 뱃선왕을 위해 차린 상차림.
  • 성주풀이
    569 2023.02.27
    가택신(家宅神)인 성주신(城主神)과 그 부인인 터주신의 내력을 이야기하는 무가(巫歌) 또는 [무속신화](/topic/무속신화). 새로 집을 지었거나 [이사](/topic/이사)한 경우 집의 신인 성주신을 모시는 굿을 하거나 [독경](/topic/독경)(讀經)을 할 때 부르거나 읽는 것이 성주풀이이다. 일반적으로 성주신은 집의 주인인 남성을 보호하는 신으로 여겨지기 때문에 집의 주재신이 된다. 이에 따라 성주신은 [대청](/topic/대청)의 [대들보](/topic/대들보) 위에 모셔진다. 지역에 따라 성조푸리, 성조풀이, 성주본가, 성조신가 등의 이칭이 있지만 성주풀이가 널리 받아들여지는 명칭이다.
  • 소삼신
    609 2023.02.27
    소가 새끼를 낳을 때 도와주는 신.
  • 송당본향당
    762 2023.02.27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마을](/topic/마을) 사람들을 보호해 주는 본향신을 모시는 당. 2005년 4월 6일에 ‘제주도 민속자료 제9-1호’로 지정되었으며, 제주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산 199-1[번지](/topic/번지)에 위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