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48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대사산이
    837 2023.02.27
    경상도 남해안 지역에서 사용하는 말로 으뜸이 되는 남자 무당. 남해안 지역에서는 남자무당을 ‘양중’, ‘고인’, ‘산이’, ‘잽이’, ‘화랭이’ 라고 지칭한다.
  • 신장위목
    838 2023.02.27
    천존(天尊)의 명령을 받아 귀신을 통제·제압·축출·조정하는 12위(位) 혹은 48위 신장(神將)의 명단을 종이에 쓴 위목(位目).
  • 사신성황당(使臣城隍堂)에 보관되어 있던 나무 [현판](/topic/현판). 사신당무신도 부 현판(使臣堂巫神圖 附 懸板)은 2005년 2월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27호로 지정되었다.
  • 대모
    838 2023.02.27
    경상도 남해안 지역에서 여자 무당 가운데 큰 무당을 일컫는 용어.
  • 동화대
    838 2023.02.27
    동화제’로 호명되는 [마을](/topic/마을) 제사에서 사용하는 일종의 ‘달집’.
  • 방앗간신
    838 2023.02.27
    곡식을 [탈곡](/topic/탈곡)하는 방앗간에 있는 신. 가정고사 때 마지막 순서로 [제물](/topic/제물)을 올리는 가정신앙의 대상신이다. [방아](/topic/방아)지신이라고도 한다.
  • 소미
    839 2023.02.27
    수무(首巫)인 큰심방을 돕는 심방을 두루 일컫는 말. 소미가 차지하는 위상에 따라 접소미, 신소미, 수소미, 폿소미, 안체포소미 등 여러 명칭이 쓰인다. 소미는 한자어 [소무](/topic/소무)(小巫)에서 비롯된 말로 큰심방을 돕는 작은 심방이라는 뜻이다.
  • 서낭제
    839 2023.02.27
    [마을](/topic/마을)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서낭신](/topic/서낭신)에게 한 해 동안 마을의 안녕과 농어업의 풍요 및 제액초복을 기원하는 동제.
  • 정주
    839 2023.02.27
    호남 지역 무속의례에 사용되는 종형(鐘形) 무구. 그 지역 용어로 ‘정쇠’라는 이칭을 지니며, 옥황종(玉皇鐘)이라 불리기도 한다. 불교 의식구인 경쇠(磬釗)에서 유래하였으며 불교에서 쓰이는 경쇠는 법식을 행할 때에 쓰이는 것으로, 부처님에게 절을 할 때에 흔드는 일종의 작은 종이다.
  • 성줏단지
    840 2023.02.27
    성주신의 신체로 쌀이나 [나락](/topic/나락)을 넣은 단지.
  • 의원가면
    840 2023.02.27
    동해안 지역의 무속적 [마을](/topic/마을)굿인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 [탈굿](/topic/탈굿)을 연행할 때 사용되는 종이가면. 의원탈이라고도 부른다. 탈굿 속에서 의원 역할을 맡은 화랭이가 쓴다. 탈굿에서 [영감](/topic/영감)이 쓰러진 후 등장하여 영감을 소생시키려 하지만, 실패하는 의원을 형상화하는 기능을 한다.
  • 띠배
    840 2023.02.27
    풍어제에서 제의 마지막에 바다로 띄워 보내는 모형(模型)의 의식용 배.
  • 비래쟁이
    841 2023.02.27
    [비손](/topic/비손)을 전문적으로 행하는 사람.
  • 산동이
    841 2023.02.27
    경상북도 울진군의 산간지역에서 전승되는 가정신앙의 하나로 집안의 태평과 소의 무사함을 기원하는 신격.
  • 삼칠일
    842 2023.02.27
    중요한 일이 발생한 날로부터 7일을 세 번 지낼 때까지 금기(禁忌)를 지키거나 특별한 의미를 두어 대응하는 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