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사상

한국무속신앙사전
불사상
서울굿에서 불사(佛師)거리에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
definition
서울굿에서 불사(佛師)거리에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
mp3Cnt
0
wkorname
이수현
정의서울굿에서 불사(佛師)거리에 차리는 [제물](/topic/제물)상.
내용불사는 칠성(七星)·제석(帝釋)·천존(天尊) 등과 통하며, 이름이 다를 때도 상차림은 거의 같다. 이 때문에 한 상으로 불사거리와 제석거리를 치르거나 [천궁맞이상](/topic/천궁맞이상)으로 불사거리 또는 제석거리를 치르기도 한다. 불사거리는 [승무](/topic/승무)와 유사한 복장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나 그 이름에서 불교 색채가 짙다. 불사상에 육류를 쓰지 않는 이유를 여기에 두기도 하지만 제석상이나 천궁맞이상과 유사한 굿상이라는 점에서 도교, 용왕신앙, 곡신(穀神)신앙과도 연관시킬 수 있다. 서울에서는 천신의 성격을 강조한다. 굿당에서는 주로 안쪽 왼편에 차려서 떡을 비롯해 생미와 맑은 물을 놓고 두부, 나물, 빈대떡, 과일, 조과를 올린다.

떡의 종류와 수는 굿의 규모와 상황에 따라 달라지지만 주로 세 접시를 많이 볼 수 있으며, 드물게 여섯 접시가 나타난다. 기본은 굵은 [[가래](/topic/가래)떡](/topic/가래떡)인 [방망이떡](/topic/방망이떡)([기둥](/topic/기둥)떡 또는 [증편](/topic/증편)이라고도 부름)으로, 한 접시에 세 개에서 여섯 개를 놓는다. 그리고 불사시루가 있다. 가장 정성이 들어간 불사시루의 예는 시루 바닥에 판을 깔고 설탕과 소금으로 간을 맞춘 쌀가루를 안친 다음 고명으로 통[대추](/topic/대추)를 얹는다. 현재 대부분의 굿에서는 시루를 생략하고 백설기를 맞추어 접시에 담아 올린다. 떡을 담은 시루와 접시 위에는 찹쌀가루, 대추, [미나리](/topic/미나리) 또는 쑥갓을 넣어 부쳐낸 흰 ‘잰병’ 또는 전병을 고명 웃기로 올린다. 그 외에 백설기, [인절미](/topic/인절미) 등도 볼 수 있지만 붉은 팥떡은 쓰지 않는다.

생쌀은 그냥 올리기도 하지만 쌀그릇에 숟가락을 꽂고 [명주](/topic/명주)실을 올려 ‘액그릇’이라고 하기도 한다. 보통 서울굿의 불사거리보다 제석거리에서 더 자주 볼 수 있다. 밥을 올리기도 한다. 밥은 제기에 담아서 한 그릇 또는 세 그릇을 올린다. 물은 옥수(玉水)라고도 부르며 놋쇠 제기에 담기도 하고 찻잔에 담기도 한다. 물 대신 차(茶)를 쓰기도 한다. 이 차는 보통 찻잎을 우려낸 것이 아니라 물에 대추나 통후추를 띄운 것으로, 대추차·후추차(호초차)라고 부르며 무가(巫歌)에도 언급된다. 이는 단순한 물보다 한층 정성을 다한 것으로 여겨졌다.

이 밖에 생두부 또는 부친 두부와 빈대떡을 올린다. 나물은 흔히 [삼색나물](/topic/삼색나물)을 쓴다. 고사리·도라지·[시금치](/topic/시금치)가 기본이며, 시금치 대신 숙주 또는 무나물을 쓰기도 한다. 1970년대까지는 숙주 또는 무나물을 쓰는 경우가 더 많았다고 한다. 삼색나물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존재한다. 각 나물이 신과 조상과 인간을 상징한다는 설명도 있고 하늘로 자라는 고사리, 땅에서 캐는 도라지, 물에서 나는 숙주라는 설명도 있다. 드물게 튀각을 더하기도 한다. 또 불사상에 생미나리를 20cm 정도 크기로 잘라 다홍실로 묶어 올리는 경우가 당굿과 [진적](/topic/진적)굿 등에서 나타난 예가 있다. 미나리는 생명력을 의미한다.

과일과 조과는 불사상에 따로 올리지 않고 굿상 전체의 앞줄 또는 뒷줄에 길게 배열하는 일이 많다. 단 밤과 대추는 불사상에 꼭 올라간다. 생밤과 생대추를 접시에 놓으며, 불사거리 중에 이 접시를 굿 의뢰자의 품에 쏟아 그 수를 [가지](/topic/가지)고 복을 점치기도 한다. 이를 “산을 준다“라고 한다. 나머지 과일은 [사과](/topic/사과)·배·감을 기본으로 하여 3-5-7-9-12종으로 늘어나며, [복숭아](/topic/복숭아)를 빼면 종류에 제한이 없다. 조과는 산자·약과·다식을 기본으로 하여 3-5-7-9-12종으로 늘어난다. 조과에서는 옥춘, 팔보, 하스, 밤과자, 곶감 등을 볼 수 있다.

음식 외에 불사상에서 볼 수 있는 무구로는 흰 종이를 접은 [고깔](/topic/고깔), 흰 [창호지](/topic/창호지) 한 장을 여러 번 접어서 오려 만든 불[사전](/topic/사전), [한지](/topic/한지)를 길게 3등분하여 이를 꼬아 꽃잎 모양으로 만들어서 떡 위에 놓는 [새발심지](/topic/새발심지)가 있다. 무화(巫花)로는 흰색 한지로 만든 천궁맞이꽃이나 불사꽃을 꽂는다고 하지만 현재는 실례를 거의 보기 어렵다.
참고문헌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 (홍태한, 한국무속학 6, 한국무속학회, 2003)
굿과 음식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무당내력](/topic/무당내력) (서대석 해제, 민속원, 2005)
굿상에 투영된 신에 대한 인식 (이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불사상
64594
불사상
불사상
64361
불사상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