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가리기

한국무속신앙사전
삼살방(三煞方)이나 대[장군](/topic/장군)방(大將軍方) 등 흉신(凶神)이 머무는 방위를 가려 어떤 일을 삼가는 속신 행위.
definition
삼살방(三煞方)이나 대[장군](/topic/장군)방(大將軍方) 등 흉신(凶神)이 머무는 방위를 가려 어떤 일을 삼가는 속신 행위.
mp3Cnt
0
wkorname
안상경
정의삼살방(三煞方)이나 대[장군](/topic/장군)방(大將軍方) 등 흉신(凶神)이 머무는 방위를 가려 어떤 일을 삼가는 속신 행위.
정의삼살방(三煞方)이나 대[장군](/topic/장군)방(大將軍方) 등 흉신(凶神)이 머무는 방위를 가려 어떤 일을 삼가는 속신 행위.
내용삼살방은 세살(歲煞), 겁살(劫煞), 재살(災煞) 등 불길한 살이 낀 세 방위를 말한다. 이들 방위에 집을 짓거나 묘를 쓰거나, 심지어 [화장실](/topic/화장실)을 고치더라도 불길한 살이 동하여 액운을 당한다고 한다. 예컨대 세살은 천살(天煞)이라고도 하며, 이 방위를 범하면 자손 또는 [가축](/topic/가축)이 해를 입거나 수해나 냉해로 농사를 망친다고 여긴다. 겁살은 대살(大煞)이라고도 하며, 이 방위를 범하면 재산을 탕진하거나 칼부림이 난다고 한다. 재살은 수옥살(囚獄煞)이라고도 하며, 이 방위를 범하면 관재구설 또는 송사에 휘말리거나 질병에 걸린다고 한다. 한편 삼불복(三不伏)이라고 해서 삼살방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절을 하지 말아야 한다.

대[장군](/topic/장군)방은 팔장신(八將神)이 관장하고 있는 여덟 방위를 말한다. 여기서 팔장신은 태세(太歲), 대장군(大將軍), 태음(太陰), 세형(歲刑), 세파(歲破), 세살(歲煞), 황번(黃幡), 표미(豹尾) 등으로 원래 음양가(陰陽家)의 신들이다. 태세는 목성의 다른 이름으로 간지(干支)의 방향에 따라 순행하는데, 그 방위에서는 길사(吉事)를 하면 복을 받지만 나무를 베면 액운을 맞는다고 한다. 대장군 방위에서는 만사를 삼가야 한다. 태음 방위에서는 혼인이나 출산을 삼가야 한다. 세형 방위에서는 창업을 삼가야 한다고 한다. 세파는 물을 다스리는 신으로, 그 방위에서는 배를 타거나 [이사](/topic/이사)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 세살 방위에서는 어떤 사람과도 교유를 삼가야 한다. 황번 방위에서는 흙을 다루는 일을 삼가야 한다. 표미 방위는 그 방위로 장가드는 것을 삼가야 한다.

삼살방은 뱀․닭․소의 해에는 정동쪽, 돼지․토끼․양의 해에는 정서쪽, 원숭이․쥐․용의 해에는 정남쪽, 호랑이․말․개의 해에는 정북쪽에 1년간 머문다고 한다. 그리고 대장군방은 뱀․말․양의 해에는 정동쪽, 돼지․쥐․소의 해에는 정서쪽, 원숭이․닭․개의 해에는 정남쪽, 범․토끼․용의 해에는 정북쪽에 3년간 머문다고 한다. 삼살방의 위력이 대장군방보다 더욱 세다고 한다.
참고문헌신살 격국 총정리-그림으로 배우는 사주통변술 (김춘기, 백산출판사, 2002)
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 [택일](/topic/택일)풍속의 전승양상과 특징 (김만태, 정신문화연구 32, 2009)
내용삼살방은 세살(歲煞), 겁살(劫煞), 재살(災煞) 등 불길한 살이 낀 세 방위를 말한다. 이들 방위에 집을 짓거나 묘를 쓰거나, 심지어 [화장실](/topic/화장실)을 고치더라도 불길한 살이 동하여 액운을 당한다고 한다. 예컨대 세살은 천살(天煞)이라고도 하며, 이 방위를 범하면 자손 또는 [가축](/topic/가축)이 해를 입거나 수해나 냉해로 농사를 망친다고 여긴다. 겁살은 대살(大煞)이라고도 하며, 이 방위를 범하면 재산을 탕진하거나 칼부림이 난다고 한다. 재살은 수옥살(囚獄煞)이라고도 하며, 이 방위를 범하면 관재구설 또는 송사에 휘말리거나 질병에 걸린다고 한다. 한편 삼불복(三不伏)이라고 해서 삼살방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절을 하지 말아야 한다.

대[장군](/topic/장군)방은 팔장신(八將神)이 관장하고 있는 여덟 방위를 말한다. 여기서 팔장신은 태세(太歲), 대장군(大將軍), 태음(太陰), 세형(歲刑), 세파(歲破), 세살(歲煞), 황번(黃幡), 표미(豹尾) 등으로 원래 음양가(陰陽家)의 신들이다. 태세는 목성의 다른 이름으로 간지(干支)의 방향에 따라 순행하는데, 그 방위에서는 길사(吉事)를 하면 복을 받지만 나무를 베면 액운을 맞는다고 한다. 대장군 방위에서는 만사를 삼가야 한다. 태음 방위에서는 혼인이나 출산을 삼가야 한다. 세형 방위에서는 창업을 삼가야 한다고 한다. 세파는 물을 다스리는 신으로, 그 방위에서는 배를 타거나 [이사](/topic/이사)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 세살 방위에서는 어떤 사람과도 교유를 삼가야 한다. 황번 방위에서는 흙을 다루는 일을 삼가야 한다. 표미 방위는 그 방위로 장가드는 것을 삼가야 한다.

삼살방은 뱀․닭․소의 해에는 정동쪽, 돼지․토끼․양의 해에는 정서쪽, 원숭이․쥐․용의 해에는 정남쪽, 호랑이․말․개의 해에는 정북쪽에 1년간 머문다고 한다. 그리고 대장군방은 뱀․말․양의 해에는 정동쪽, 돼지․쥐․소의 해에는 정서쪽, 원숭이․닭․개의 해에는 정남쪽, 범․토끼․용의 해에는 정북쪽에 3년간 머문다고 한다. 삼살방의 위력이 대장군방보다 더욱 세다고 한다.
참고문헌신살 격국 총정리-그림으로 배우는 사주통변술 (김춘기, 백산출판사, 2002)
한국의 가정신앙-강원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한국 [택일](/topic/택일)풍속의 전승양상과 특징 (김만태, 정신문화연구 32, 2009)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