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

한국무속신앙사전
남자 무당을 일컫는 말.
definition
남자 무당을 일컫는 말.
mp3Cnt
0
wkorname
강정원
정의남자 무당을 일컫는 말.
내용박수는 한자로 박수(博數)로 표기되며, 한자어 박사(博士)나 복사(卜師)에서 와전된 것이라고 하는 견해도 있지만 박수는 알타이어를 사용하는 여러 민족이 남무를 부르는 명칭과 유사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만주어에서는 faksi, 나나이 어에서는 paksi, 어원키 어(또는 예벤키 어)에서는 baksi, 몽골 어에서는 baksi 혹은 balsi, 터키 어에서는 baksi, 키르기스 어에서는 baksa로 불린다.

박수는 맹인이 아닌 남자 무당을 일컫는데, 경기도•충청도•강원도 등지에서 부르는 호칭이다. 경기도 수원 지방과 동해안에서는 남무를 화랑이라고 하며, 동해안에서는 양중이라고도 한다. 양중은 남해안에서도 사용되는 호칭이며, 평안도에서는 훈장이라고 부른다. 제주도에서는 심방이라고 부른다. 맹인인 남성 무당의 경우에는 경문쟁이, 경장, 경객, 경사, [송경](/topic/송경) 혹은 복술, 복사, 문복쟁이, [점사](/topic/점사)로 불리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장, [축사](/topic/축사), 신장, 장임이라고도 불린다.
참고문헌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81)
조선무속의 현지연구 (秋葉隆 著·최길성 역, 계명대학교출판부, 1987)
한국민속학개설 (이두현 외, 일조각, 1991)
[조선무속고](/topic/조선무속고) (이능화, 동문선, 1995)
샤마니즘 (미르치아 엘리아데, 까치, 1998)
한국의 굿 (하효길 외, 도서출판 民俗苑, 2002)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