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지

한국무속신앙사전
무속신앙에서 무녀가 굿을 할 때 [장단](/topic/장단)을 도와주는 일이나 무가(巫歌)의 선율(旋律)을 받아서 대선율(對旋律)로 응답하는 일.
definition
무속신앙에서 무녀가 굿을 할 때 [장단](/topic/장단)을 도와주는 일이나 무가(巫歌)의 선율(旋律)을 받아서 대선율(對旋律)로 응답하는 일.
mp3Cnt
0
wkorname
최명림
정의무속신앙에서 무녀가 굿을 할 때 [장단](/topic/장단)을 도와주는 일이나 무가(巫歌)의 선율(旋律)을 받아서 대선율(對旋律)로 응답하는 일.
내용바라지는 다른 사람을 도와서 뒷바라지한다는 말인데 무속에서의 바라지는 무녀의 생활 일체를 뒷바라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라지는 일반적으로 무가를 되받아서 하는 것을 의미하며 지방에 따라서 ‘만수받이’라고도 하고 ‘살대답’이라고도 한다.

만수받이는 무가의 일종으로 경기도 북부와 서북부 지방 굿에서는 신을 청할 때 하는 청신 절차에서 부른다. 굿을 할 때 입무(立巫)가 [선소리](/topic/선소리)를 메기면 [고수](/topic/고수)인 좌무(坐巫)가 [장고](/topic/장고)를 치며 그 선소리에 따라 되받아 간다.

전라도 지방의 굿에서는 대선율형의 바라지가 많으나, 제주도 지방의 굿에서는 드물다고 한다. 특히 지방에 따라 명칭과 쓰이는 [장단](/topic/장단)이 조금씩 다른데, 경기 서북부 지방에서는 청신 절차에 무당이 한 장단 또는 두 장단을 메기면 기대가 “아왕임금 만세야.”라 하기 때문에 만수받이라는 곡명을 쓴다. 경기도 북부 굿에서는 조금 빠른 굿거리 장단으로 무당이 한 장단을 메기면 그대로 받는다. 황해도 굿에서는 만수받이를 만세라고 하여 장단에 따라서 긴만세•자진만세•산유만세로 구분한다. 평안도 굿에서는 늦은 굿거리 장단형으로 된 푸념 장단이 만수받이에 해당한다.

무당사회에서 바라지는 반주를 의미하는데, 바라지는 원바라지와 옆바라지로 나누기도 한다. 원바라지는 장구잽이를 의미하며 옆바라지는 장구 이외의 잽이를 의미한다.
참고문헌새로 쓴 한국무속 (최길성, 아세아문화사, 1999)
한국민속문화대[사전](/topic/사전) (김용덕, 도서출판 창솔, 2004)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