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슬굿

한국무속신앙사전
소슬굿
[내림굿](/topic/내림굿)을 하고 한 해가 지난 후, 무당으로서 이름 석 자를 떨치고 크게 솟아나기를 바라는 뜻에서 하는 굿.
definition
[내림굿](/topic/내림굿)을 하고 한 해가 지난 후, 무당으로서 이름 석 자를 떨치고 크게 솟아나기를 바라는 뜻에서 하는 굿.
mp3Cnt
0
wkorname
양종승
정의[내림굿](/topic/내림굿)을 하고 한 해가 지난 후, 무당으로서 이름 석 자를 떨치고 크게 솟아나기를 바라는 뜻에서 하는 굿.
내용무당이 될 사람이 [신병](/topic/신병)을 앓다가 마지못해 신 내림을 받게 될 처지가 되면 우선적으로 [허주굿](/topic/허주굿)(또는 허튼굿)을 하게 된다. 허주굿은 무당이 될 사람에게서 붙어 있는 허튼신을 베껴내는 의례이다. 이는 들어온 신을 배척하지 않고 정열하여 좌정케 한 후 신의 지시에 따르면서 신을 모시겠다는 일종의 다짐의례이다. 이러한 의례를 통해 신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수여 받게 되고 동시에 신병을 치유하게 된다. 허주굿을 한 후 1년이 지나면 [신내림](/topic/신내림)을 하게 되는데 이 굿을 다른 한편에서는 명두굿이라 부른다. 명두굿이라고 하는 것은 [내림굿](/topic/내림굿) 의례에서 신령 몸체를 상징 하게 되는 놋쇠 명두를 걸어두고 말문을 트기 때문이다. 내림굿을 받은 사람은 신들림 행위와 [공수](/topic/공수)를 자유로이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능력을 갖게 된다는 것은 결국 특수한 주술적 전문성을 갖게 되어 신비적 행위를 할 수 있게 된다. 내림굿을 한 후, 한해가 지나면 이때에는 무당으로써 크게 솟아나기를 바라는 뜻으로 소슬굿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소슬굿은 허주굿과 명두굿을 치룬 후 행해지는 이른바 “허주굿-명두굿-소슬굿”의 연관선상 마지막 단계에서 행해지는 내림굿의 완결의례이다.
참고문헌한국의 무속-서울ㆍ황해도편 (양종승, 국립민속박물관, 1999)
아세아문화사한국무속의 연구최길성1978
국립문화재연구소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무구-경상도2005
한국무속학회동해안 무집단 지화의 문화적 의미윤동환2006
소슬굿 산신도사 할아버지
64773
소슬굿 산신도사 할아버지
소슬굿 일월상
64772
소슬굿 일월상
소슬굿 머리올리기
64771
소슬굿 머리올리기
소슬굿 굿판전경
64770
소슬굿 굿판전경
소슬굿 서낭거리
64769
소슬굿 서낭거리
소슬굿 감흥거리
64768
소슬굿 감흥거리
소슬굿 일월맞이
64767
소슬굿 일월맞이
소슬굿 산맞이
64766
소슬굿 산맞이
소슬굿 일월맞이(용궁타기 )
64765
소슬굿 일월맞이(용궁타기 )
소슬굿 산신당
64764
소슬굿 산신당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