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맥이

한국무속신앙사전
사자맥이
물에 빠져 죽거나, 목을 매달아 죽거나, 해산하다 죽거나, 교통사고로 죽거나, 질병으로 죽은 등 불쌍하게 죽은 사람들[死者]을 위해 무당이 하는 굿.
definition
물에 빠져 죽거나, 목을 매달아 죽거나, 해산하다 죽거나, 교통사고로 죽거나, 질병으로 죽은 등 불쌍하게 죽은 사람들[死者]을 위해 무당이 하는 굿.
mp3Cnt
0
wkorname
김익두
정의물에 빠져 죽거나, 목을 매달아 죽거나, 해산하다 죽거나, 교통사고로 죽거나, 질병으로 죽은 등 불쌍하게 죽은 사람들[死者]을 위해 무당이 하는 굿.
내용굿이 끝날 무렵에 하는 중천맥이나 뒷전거리 등에서 이 굿을 한다. 이 굿은 무당이 죽은 사람, 곧 사자들의 행동을 몸짓으로 보여주는 행동을 하기 때문에 매우 연극적인 굿이다. 전북 지역 무당굿의 경우, 세습무 계통의 선반굿과 보살ㆍ법사 계통의 앉은반굿의 경우에 따라 이 사자맥이가 다소 다른 차이를 보인다.

먼저 세습무 계통인 선반굿의 경우 전북 세습무 [전금순](/topic/전금순)의 굿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명칭은 일반적으로 [중천멕이](/topic/중천멕이) 또는 중천맥이라고 불려지고 있다. 이 굿을 하기 위해서는 중천 손님들인 사자들을 위한 새옷ㆍ의관ㆍ[신발](/topic/신발) 등과 바[가지](/topic/가지)ㆍ술병ㆍ함지박ㆍ지팡이ㆍ숟가락 등의 무구(대소도구), 미역국ㆍ묵ㆍ향물ㆍ소금물ㆍ고춧물 등 [제물](/topic/제물) 준비가 필요하다. 이런 준비가 끝나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중천맥이가 공연된다.

전체 순서를 보면 먼저 무녀가 굿판에 나와 선반으로 [악사](/topic/악사)들의 굿거리 [장단](/topic/장단)에 맞추어 중천맥이 [사설](/topic/사설)을 노래한다. 다음에는 주무당 [단골](/topic/단골) 혼자 하거나 몇 명의 단골들이 해산 중천, 봉사 중천, 외팔이 중천, 절름발이 중천, 곱사등이 중천, 피부 중천(피부병 걸려 죽은 귀신), 굶주린 중천, 주모 중천 등의 모습으로 분장하고, 차례차례 굿판에 나와 악사들과 [재담](/topic/재담)을 주고받는 식으로 굿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첫째, 해산 중천이 흰색 [저고리](/topic/저고리)와 검은색 [치마](/topic/치마)를 입고 치마 속에 바가지를 넣어 임신부처럼 꾸며서 굿판(집안)에 등장한다. 다른 무녀가 옆에서 삼신경을 읽어주면 해산 중천이 산고를 치르다가 아기를 낳는 시늉을 한다. 이 과정은 치마 속에서 바가지를 꺼내는 동작으로 표현한다. 미역국을 먹은 후 새 옷으로 갈아입고 아기(바가지)를 보자기로 감싸 안아 아기 어루는 노래를 부른 다음 [재가집](/topic/재가집) 사람들과 관중들을 위한 축원을 하고, 바가지에 묵을 담아 머리에 이고 엉덩이춤을 추면서 [대문](/topic/대문) 밖으로 퇴장한다.

둘째, 봉사 중천이 갓을 삐뚤게 쓴 채 [두루마기](/topic/두루마기) 앞자락을 뒤로 묶고 봉사처럼 눈을 감은 채로 지팡이를 짚으며서 굿판으로 등장한다. 다른 무녀가 약물(향물)로 봉사 중천의 눈을 씻어주자 봉사 중천이 눈을 번쩍 뜬 다음 새 옷으로 갈아입고 음식을 대접받고 나서, 축원을 하고 [한량무](/topic/한량무)를 추며 대문 밖으로 퇴장한다.

셋째, 외팔이 중천이 흰 저고리와 반쯤 걷어올린 [바지](/topic/바지) 차림으로 병신처럼 한 팔은 앞으로 비틀어 꼬아 가슴에 얹고 다른 팔은 뒤로 꼰 채 대문 밖에서 굿판으로 등장한다. 다른 무녀가 외팔이 중천의 팔에 약물을 발라주고 새 옷을 입혀주면 병이 나았다면서 꼬였던 팔을 제대로 편 다음 축원을 하고 대문 밖으로 퇴장한다.

넷째, 절름발이 중천이 흰색 [한복](/topic/한복)에다 겉에 두루마기를 걸치고 굿판에 등장하면 다른 무녀가 그의 다리에 약물을 발라준다. 그러면 절름발이 중천이 다 낳았다면서 제대로 걸으며 축원을 하고 퇴장한다.

다섯째, 곱사등이 중천이 옷을 두툼하게 말아 등에 집어넣어 꼽추 모습을 하고 굿판에 등장하면 다른 무녀가 술잎이나 댓잎으로 약물을 찍어 그의 등에 발라준다. 이에 곱사등이 중천은 병이 나았다면서 허리를 곧게 펴서 축원을 하고 춤을 추며 퇴장한다.

여섯째, 피부 중천이 허술한 한복 차림을 하고 굿판에 등장한다. 피부 중천이 피부병을 앓는 사람처럼 몸을 이곳저곳 박박 굵어대며 등장하면 역시 약물로 치료를 받고 고맙다는 축원을 하고 퇴장한다.

일곱째, 굶주린 중천이 허술한 한복 차림으로 허기진 배를 움켜쥐고 굿판에 등장하여 음식을 허겁지겁 집어먹는 시늉을 하다가 재가집 사람들과 관중들을 위한 축원을 하고 춤을 추며 퇴장한다.

여덟째, 주모 중천이 술병을 머리에 이고 엉덩이를 내두르며 굿판에 등장한 뒤 이리저리 굿판을 돌아다니면서 관중들에게 술 대접을 하고 축원을 한 다음 바가지에 술을 담아 머리에 이고 밖으로 퇴장한다.

보살ㆍ법사들의 앉은반굿 사자맥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대소도구로 [부엌](/topic/부엌)칼ㆍ[짚신](/topic/짚신)ㆍ동전ㆍ북어 등을 준비한다. 개인굿의 경우 짚신 세 켤레, 동전 세 개, 북어 세 [마리](/topic/마리)를 준비하고, 큰굿인 경우 짚신 열두 켤레, 동전 열두 개, 북어 열두 마리를 준비한다. 이 밖에, 과일과 같은 여러 제물이 준비되기도 한다. 준비한 짚신ㆍ동전ㆍ북어 등의 제물을 굿판 한쪽 가장[자리](/topic/자리) 바닥에다 차려 놓는다. 그런 다음 보살 무당이 굿 사설을 노래하여 죽은 이의 혼을 위로하고, 차려 놓은 것들을 풀어먹인다.

다음에는 보살 무당이 짚신을 들고 한참 놀다가 짚신을 굿판 밖으로 내던진다. 그 다음에는 보살 무당이 준비한 부엌칼 3자루를 가지고 굿 사설을 하면서 죽은이의 혼을 굿판 밖으로 내쫓는 시늉을 한다. 이때 사용하는 부엌칼은 [마을](/topic/마을)의 각성받이, 곧 성씨가 제각기 다른 사람들의 집에서 얻어온 부엌칼을 쓴다고도 한다. 이런 연극적 행동이 모두 끝나면 차려 놓았던 제물들을 모두 한데 싸서 굿판 밖으로 가져다가 버리거나 불태운다.

2009년 4월 26일 전북 군산시 은파유원지에서 공연된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38호 [하진순](/topic/하진순) 보살 무당의 사자맥이를 순서대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중석에서 볼 때 굿판의 오른쪽에 악사들(장구ㆍ[피리](/topic/피리)ㆍ[대금](/topic/대금) 등)이 앉아서 뒷전거리의 시작을 알리는 굿거리 장단을 연주한다. 악사석에 함께 앉은 법사가 장구 및 장구에 매어단 쇠를 치면서 뒷전거리 사설을 [독경](/topic/독경)한다. 보살 무당이 굿판으로 나와 여러 번 묶은 검은 베를 흔들어 [고풀이](/topic/고풀이)를 한다. 보살 무당이 준비된 부엌칼을 양손에 들고 춤을 추면서 법사 앞으로 다가서서 사자맥이 사설을 한다.

법사의 장단과 독경이 이어지는 가운데 보살 무당 하진순이 다시 제물 옆으로 다가가 손에 든 부엌칼들을 하나씩 제물 근처의 굿판 밖으로 내던진다. 그런 다음 보살 무당이 짚신 한 켤레를 양손에 나누어 들고 법사 앞으로 다가가 사자맥이 사설을 주고받은 다음 다시 제물 옆으로 돌아와 짚신들을 모두 굿판 밖으로 내던진다. 보조 무당의 도움으로 앞서 고풀이를 하고 놓아둔 검은 질베 천을 길게 늘어뜨린 다음 그 가운데를 길게 찢어 갈라서 굿판 밖으로 내던진다. 다시 보살 무당 하진순이 법사 옆으로 다가서서 사자맥이 사설을 주고받고 객사귀 걷어내기 등을 한 다음 무당이 춤을 추고 법사가 독경을 한다. 보조 무당이 굿판에 차려져 있는 사자맥이 제물 음식들을 봉지에 담아, 굿판 밖으로 내다버린다. 보살 무당이 사자들의 노자가 없다며 노잣돈을 요구하고 관중들 중 일부가 굿판으로 나와 남아 있는 사자맥이 제물 위에 노잣돈을 올려놓는다. 무당이 남아 있는 제물 중에 [사과](/topic/사과)ㆍ오렌지 등의 과일들을 차례로 하나씩 입에 물고 떼어먹는 시늉을 한 다음 굿판 밖으로 내던진다. 끝으로 무당이 제단에 절을 하고 법사가 독경을 하면서 ‘사자맥이’ 굿이 끝난다.

전체적으로 보아 사자맥이굿은 연극적인 굿거리로서 여러 개의 토막극이 연결되는 이른바 옴니버스식 구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여러 개의 토막극이 옴니버스식으로 연결되어 ‘사자맥이’라는 전체 주제를 구현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하진순](/topic/하진순) 넋풀이굿 공연 영상 자료 CD 1-7(김익두ㆍ백은철 촬영, 2009년 4월 18일, 전북 군산 은파유원지)
[전금순](/topic/전금순) 씻김굿 공연 조사 사진 자료(김월덕 촬영, 2006년 4월 8-9일, 전북 전주시 완산구 완산동 세종문화원 공연장)
전북 무형문화재 38호 하진순 넋풀이굿 조사 녹음 자료 CD(김익두ㆍ백은철ㆍ허정주 녹음, 2009년 4월 18일, 전북 군산 은파유원지)
전북 무형문화재 38호 하진순 넋풀이굿 조사 사진 자료(김익두ㆍ허정주 촬영, 2009년 4월 18일, 전북 군산 은파유원지)
전금순 씻김굿 공연 영상 자료 CD 1-7(김월덕ㆍ이영배ㆍ홍태한 촬영, 2006년 4월 8-9일, 전북 전주시 완산구 완산동 세종문화원 공연장)
씻김굿 무가: 순천 씻김굿을 중심으로 (이경엽, 박이정, 2000)
세습무 사례를 통해서 살펴본 강신무ㆍ세습무의 검토 (이경엽, 한국무속학 7, 무속학회, 2000)
전북 씻김굿: 전금순의 무가 (이영금, 박이정, 2007)
전북지역 무당굿 연구: 정읍 세습무 전금순 굿을 중심으로 (이영금, 전북대 국문과 박사논문, 2007)
사자맥이
64402
사자맥이
사자맥이
64401
사자맥이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