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가상

한국무속신앙사전
제주도굿에서 신에게 인간의 정성을 바치는 상.
definition
제주도굿에서 신에게 인간의 정성을 바치는 상.
mp3Cnt
0
wkorname
강소전
정의제주도굿에서 신에게 인간의 정성을 바치는 상.
내용제주도의 모든 굿에 차려지며, ‘보답상’이라고도 한다. 제주도굿에서 ‘역가(役價)’는 신의 덕으로 벌고 얻게 된 모든 것을 뜻한다. 신이 잘 보살펴 주어서 생활에 어려움을 덜었으므로 당연히 그 덕을 감사히 여기고 보답하여야 한다고 인식한다. 말하자면 심방은 신의 덕으로 그동안 굿을 많이 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에 알맞은 역가를 신에게 올려야 한다. [단골](/topic/단골)도 집안이 평안하고 [생업](/topic/생업)활동이 큰 변고가 없었음을 감사히 생각하며 역가를 바친다. 역가를 바친다는 것은 신에 대한 보답으로 인간이 인정과 정성을 바치는 것으로, 곧 신에게 여러 공물(供物)을 올리게 된다. 쌀이나 폐백 등을 놓아 상을 차리며, 이것을 역가상이라고 한다.

상에는 양푼 가득 담은 쌀과 폐백류, 실, [고리동반](/topic/고리동반)을 놓는다. 굿에 소요되는 돈을 봉투에 담아 올려 두기도 한다. 이 돈은 실제적으로 심방에게 주는 사례비이지만 단골이 굿을 함으로써 신에게 정성을 올리는 것이기에 자연스럽게 역가로 바치는 돈이라고 할 수 있다. 역가상에는 이밖에 심방이 [가지](/topic/가지)고 다니는 무구인 바랑을 올려놓는다. 역가상의 제물은 굿의 규모나 성격에 따라 폐백류의 수량이나 고리동반 개수 등이 조금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굿을 할 때 역가올림이라는 순서가 있다. 역가올림에서 심방은 자손이 정성을 모아 역가를 올린다고 말하면서 역가상을 들어 올려 바친다. 자손들도 무릎을 꿇고 앉아 [소미](/topic/소미)들이 역가상을 들어 잡아준 상태에서 두 손을 공손히 내밀며 신전에 바치는 모양을 한다.
참고문헌제주도무속자료[사전](/topic/사전) (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사진으로 보는 민속의 어제와 오늘 2 (국립민속박물관, 2003)
대전 충청도 전통 앉은굿 보존회 편무형문화재 신석봉의 지정보유 자료집2005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충남의 앉은굿 무가박혜정2008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