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상

한국무속신앙사전
부정상
서울굿에서 부정을 물리기 위해 차리는 상.
definition
서울굿에서 부정을 물리기 위해 차리는 상.
mp3Cnt
0
wkorname
김헌선
정의서울굿에서 부정을 물리기 위해 차리는 상.
내용굿판에 부정이 있어서 신을 청배하기에 앞서 부정을 일일이 예거하고 물리는 의례를 행한다. 이 부정을 물리는 일을 처음에 하면서 이때 차리는 상을 부정상이라고 한다. 부정은 부정칭의 막연한 신이다. 이 신격을 위해서도 굿상을 차린다고 하는 것은 무속의 특별한 관념을 대변한다.

부정상은 흔히 굿상을 차리고 난 뒤 문 밖을 향해 차린다. 팥떡, 웃기, 수파련, 삼색실과 한 조각씩, 나물(신금추ㆍ고사리ㆍ도라지ㆍ콩나물), 북어, 술 세 잔, 청수 한 그릇, 메 세 그릇, 소지종이 등을 갖추어서 주로 놓는다. 부정상의 곁에는 부정을 물리는 핵심적인 것으로 맑은 물과 [잿물](/topic/잿물)이 놓인다. 잿물은 전통적으로 바[가지](/topic/가지)에다 [아궁이](/topic/아궁이)의 잿가루를 담고 여기에 고춧가루와 소금 등을 곁들인다.

부정상은 두 가지 상반된 관념으로 구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나는 굿상의 일반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굿판에 참여한 모든 것에게 음식으로 일단의 공궤를 하는 특징을 볼 수 있다. 아[무리](/topic/무리) 하찮은 존재라 해도 이 존재를 위해서 약간의 음식과 주과를 베푸는 것은 기본적인 사고의 표현이다.

이 잡귀와 잡신은 굿판에 참여했어도 온전한 구실을 하는 신이 아니라 부정적인 구실을 하는 신격이다. 이 신격들은 맑은 신이나 위계가 높은 신을 모시는 데 있어서는 안될 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신격들이 배척의 대상이 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 잡신을 물리는 데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구축의 성격을 띠는 것이 바로 맑은 물, 소지종이, 잿물, 소금 등이다.

부정물림에서 핵심은 불과 물이다. 불은 부정한 것을 태워서 없애는 기능을 함으로써 일정한 정화 기능을 수행한다. 물 역시 정화 기능을 한다. 불을 태워서 재를 내고, 이 잿물을 섞어서 부정을 물리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현상이다. 소금은 정화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지만 어떤 대상의 부패를 막는다. 이 소금이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된다.

전라도굿에서 굿의 서두를 시작하는 장소는 [부엌](/topic/부엌)이다. 부엌에서 이른바 조왕반을 하게 된다. 조왕반은 서울굿의 부정상에 부정물림에 사용되는 도구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 조왕반은 아궁이 신을 위해 바치는 의례이다. 부엌은 정화의 핵심적인 면모를 과시하는 곳이다.

부엌은 자연과 문화가 서로 상충하는 공간이다. 이 공간은 여성들이 음식을 만드는 곳이면서 아궁이로 구들을 통해 [온돌](/topic/온돌)을 달구는 곳이다. 인간의 먹을거리와 집을 일구는 기본적인 공간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적 창조의 공간이자 여성이 주된 구실을 하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서 필수적으로 자연적인 것을 가공해 문화적으로 바꾸는 기능을 하는 것이 곧 불과 물이다. 불과 물을 통해 구현하는 기본적인 원리를 생각하면 조왕반으로 굿을 시작하는 일이 이해된다. 부정상에 놓인 부정물림의 기능을 하는 것이 단순하게 한 지역의 사례는 아니고, 게다가 임의적 방식은 아니다.

부정상은 굿거리의 초입을 장식하는 굿거리에 쓰이는 굿상이다. 부정신을 청배해 부정을 물리는 데 있어 평복을 입은 [만신](/topic/만신)이 부정청배를 한 뒤에 물과 불을 사용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알 수 있는 것이 바로 부정상이다. 한국무속의 보편적인 신관념을 이해하는 단서이므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참고문헌한국의 무 (조흥윤, 정음사, 1983)
부정상
64592
부정상
부정상
64593
부정상
부정상
64360
부정상
부정상
64359
부정상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