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토

한국무속신앙사전
동토
흙이나 나무 또는 쇠 등 물건을 잘못 만져서 생기는 탈.
definition
흙이나 나무 또는 쇠 등 물건을 잘못 만져서 생기는 탈.
mp3Cnt
0
wkorname
나경수
정의흙이나 나무 또는 쇠 등 물건을 잘못 만져서 생기는 탈.
정의흙이나 나무 또는 쇠 등 물건을 잘못 만져서 생기는 탈.
내용민간에서는 함부로 물건을 만지면 탈이 난다는 믿음이 전해진다. 조심해야 할 날짜나 방위가 있는데 이를 어기고 물건을 만지거나 다루면 탈이 난다는 것이다. 이것을 동토 또는 동티라고 한다. 동토가 나는 원인은 여러 [가지](/topic/가지)이다. 흙이나 나무 또는 쇠를 잘못 다루거나 만졌을 때 나기 쉽다. 그러나 [살림살이](/topic/살림살이)를 옮기거나 집을 수리하면서 걸리는 경우도 있고, 장독을 잘못 다루거나 다른 사람이 잃어버린 물건을 주워왔을 때 걸리기도 한다. 동티가 나면 몸이 아프다. 시름시름 앓기도 하고 눈이 멀어지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증세를 보이는데 병원에 가도 잘 낫지 않는다. 동토에 걸린 환자를 주술적으로 치료하는 여러 가지 민간의 방법들이 전해지고 있는데, 대개 [마을](/topic/마을)에는 동티를 푸는 사람이 있다. 환자가 생긴 집에서는 그 사람을 불러서 동티가 난 곳에 가서 일정한 풀이를 한다. 환자를 앞에 두고 낫이나 [망치](/topic/망치)로 도끼를 두드리면서 동토경을 스물한 번 왼다. 또 심하면 점쟁이나 법사를 불러서 간단히 [제상](/topic/제상)을 마련하고 동토경을 읊는 경우도 있다. 나무를 잘못 베어서 그랬다면 나무 벤 곳에 가서 소금과 쑥을 베어낸 부분에 끼우고 동토경을 읊어 풀어야 한다. 이를 ‘[동토잡기](/topic/동토잡기)’ 또는 ‘동정잽이’라고 한다.
참고문헌[동티](/topic/동티)(김진영, 답게, 2005), 충남지역 가정신앙의 제 유형과 성격 (이필영, 샤머니즘 연구 3, 한국샤머니즘학회, 2000)
한국의 가정신앙-경상남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의 가정신앙-제주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내용민간에서는 함부로 물건을 만지면 탈이 난다는 믿음이 전해진다. 조심해야 할 날짜나 방위가 있는데 이를 어기고 물건을 만지거나 다루면 탈이 난다는 것이다. 이것을 동토 또는 동티라고 한다. 동토가 나는 원인은 여러 [가지](/topic/가지)이다. 흙이나 나무 또는 쇠를 잘못 다루거나 만졌을 때 나기 쉽다. 그러나 [살림살이](/topic/살림살이)를 옮기거나 집을 수리하면서 걸리는 경우도 있고, 장독을 잘못 다루거나 다른 사람이 잃어버린 물건을 주워왔을 때 걸리기도 한다. 동티가 나면 몸이 아프다. 시름시름 앓기도 하고 눈이 멀어지기도 하는 등 여러 가지 증세를 보이는데 병원에 가도 잘 낫지 않는다. 동토에 걸린 환자를 주술적으로 치료하는 여러 가지 민간의 방법들이 전해지고 있는데, 대개 [마을](/topic/마을)에는 동티를 푸는 사람이 있다. 환자가 생긴 집에서는 그 사람을 불러서 동티가 난 곳에 가서 일정한 풀이를 한다. 환자를 앞에 두고 낫이나 [망치](/topic/망치)로 도끼를 두드리면서 동토경을 스물한 번 왼다. 또 심하면 점쟁이나 법사를 불러서 간단히 [제상](/topic/제상)을 마련하고 동토경을 읊는 경우도 있다. 나무를 잘못 베어서 그랬다면 나무 벤 곳에 가서 소금과 쑥을 베어낸 부분에 끼우고 동토경을 읊어 풀어야 한다. 이를 ‘[동토잡기](/topic/동토잡기)’ 또는 ‘동정잽이’라고 한다.
참고문헌[동티](/topic/동티)(김진영, 답게, 2005), 충남지역 가정신앙의 제 유형과 성격 (이필영, 샤머니즘 연구 3, 한국샤머니즘학회, 2000)
한국의 가정신앙-경상남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한국의 가정신앙-제주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목살동토경 읽고 낫 두 개로 목살 방비
13341
목살동토경 읽고 낫 두 개로 목살 방비
목살동토경 읽고 낫 두 개로 목살 방비
13341
목살동토경 읽고 낫 두 개로 목살 방비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