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신앙사전 4 페이지 > clubrichtour

한국무속신앙사전
제목 내용
  • 양주소놀이굿
    598 2023.02.27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전승되는 소놀이굿. 양주소놀이굿은 1980년 11월 17일에 ‘중요무형문화재 제70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 있는 양주소놀이굿보존회를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 마마배송굿
    597 2023.02.27
    천연두에 걸린 뒤 13일째 되는 날 [마마신](/topic/마마신)을 공손하게 돌려보내며 행하는 굿.
  • 심방백중제
    597 2023.02.27
    백중을 맞이하여 심방들이 [단골](/topic/단골)들로부터 곡식을 받아 올리는 제의. 심방이 백중에 벌이는 제의라는 뜻에서 비롯됐다.
  • 산메기
    594 2023.02.27
    주로 강원도 영동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속신앙. ‘[산멕이](/topic/산멕이)’, ‘[산맥이](/topic/산맥이)’라고도 부른다. 산을 의지하고 사는 사람들이 봄 또는 가을에 날을 받아 가족, 친족, 또는 주민들 단위로 산에 올라가 ‘산’을 대접하고 가정의 편안과 자손 발복을 기원하는 산간신앙 의례.
  • 신만곡대제
    594 2023.02.27
    제주도의 정기적인 당제 중 하나로, 음력으로 9월이나 10월 상달에 하는 의례. 이 의례를 ‘시만곡대제’라고도 한다.
  • 송당리마을제
    591 2023.02.27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의 본향당에서 벌어지는 정기적인 당굿. 절기에 따라 제의명이 달라 각기 ‘신과세’, ‘영등’, ‘마불림’, ‘시만국제’ 등으로 불린다. 이 굿은 1986년 4월 10일에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
  • 문전제
    589 2023.02.27
    제주도 지역에서 새해를 맞아 ‘문전신(門前神)’에게 집안의 무사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신년제.
  • 소슬굿
    588 2023.02.27
    [내림굿](/topic/내림굿)을 하고 한 해가 지난 후, 무당으로서 이름 석 자를 떨치고 크게 솟아나기를 바라는 뜻에서 하는 굿.
  • 영해별신굿놀이는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의 한 지역 유형의 굿. 이 굿은 1980년 12월 30일에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 위도띠뱃놀이
    583 2023.02.27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 [마을](/topic/마을)에서 정월 초사흘에 행해지는 마을굿. 위도띠뱃놀이는 1985년 2월 1일에 ‘중요무형문화재 제82-다호’로 지정되었으며, 남해안ㆍ동해안ㆍ서해안 [별신굿](/topic/별신굿)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풍어제의 하나이다.
  • 밤섬의 실향민들이 이 섬의 전통을 전승하고자 지내는 [마을](/topic/마을)굿. 이 굿은 2005년 1월 10일에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되었다.
  • 영장치기
    579 2023.02.27
    중병에 걸린 환자를 치유하려는 목적을 가진 무속제의. 달리 ‘영장(永葬)’, ‘헛장[虛葬]’이라고도 불린다.
  • 성주굿
    578 2023.02.27
    집안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을 관장하는 가옥신(家屋神)인 성주신에게 식구들의 재앙을 물리치고 행운이 있게 해 달라고 비는 무속제의. ‘성조(成造)굿’이라고도 한다.
  • 불도맞이
    577 2023.02.27
    제주도 굿의 한 종류로 아기의 점지와 출산·양육을 담당하는 산육신(産育神)인 생불할망(삼승할망), 아기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저승할망(구삼승할망), 그리고 마마를 앓게 하는 [마마신](/topic/마마신)을 맞이하여 모시고 행하는 제의.
  • 사신반혼굿
    577 2023.02.27
    호랑이에게 물려죽거나 사신으로 다녀온 사람이 있을 때 개를 잡아 놓고 그 혼을 달래는 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