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굿상

한국무속신앙사전
[마을](/topic/마을)의 대동굿, [진적굿](/topic/진적굿), 오귀굿 등 큰굿에서 준비되는 [제상](/topic/제상)으로서 일정한 규모와 격식을 갖춘 상차림.
definition
[마을](/topic/마을)의 대동굿, [진적굿](/topic/진적굿), 오귀굿 등 큰굿에서 준비되는 [제상](/topic/제상)으로서 일정한 규모와 격식을 갖춘 상차림.
mp3Cnt
0
wkorname
조정현
정의[마을](/topic/마을)의 대동굿, [진적굿](/topic/진적굿), 오귀굿 등 큰굿에서 준비되는 [제상](/topic/제상)으로서 일정한 규모와 격식을 갖춘 상차림.
Gutsang is the term referring to the table of sacrificial foods in a shamanic ritual.

The make-up of a ritual table varies by the deity being worshipped, but is generally identical to that in a Confucian memorial rite, with the head or leg of a cow or pig added. The type and arrangement of the ritual table provide clu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and the deity being worshipped. The arrangement and the amount and quality of the sacrificial foods als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the worshipped deity within the hierarchy of deities in the community.

The simplest table is prepared for private rituals staged in the form of palm-rubbing (bison), comprising a bowl of water, whole dried pollock (bugeo), wine and fruits in three colors.

Slightly more elaborate tables are for small-scale rituals that are individually commissioned to shamans, including jaesugut (good fortune ritual), seong jugut (ritual for House Guardian God), and josanghaewongut (ritual for resolving ancestral grievance). The different types of tables for good fortune rituals include bujeongsang (table for chasing away uncleanness), bulsasang (table for deity of the heavens Bulsa), bonhyangsang (table for [[Bonhyang](/topic/GodofAncestralRoots)](/topic/Bonhyang), god of ancestral roots), josangsang (table for [[Josang](/topic/HouseholdDeities)](/topic/Josang), ancestor god), jeonansang (table for deity at shrine’s center), daegamsang (table for [[Daegam](/topic/StateOfficialGod)](/topic/Daegam)sin, state official god), seongjusang (table for [[Seongju](/topic/HouseGuardianGod)](/topic/Seongju), house guardian god), and dwitjeonsang (table for ritual’s closing).

The biggest and fanciest table is prepared for communal rituals like byeolsingut or dodanggut and other large-scale rituals including the thanksgiving ritual jinjeokgut and underworld entry ritual ogwisaenamgut. These big rituals worship all gods, so the table is huge as well, with enough food to feed every attendant, including items that require time and devotion like beef, pork, fruits or other foods served in intricate layers (goim), and yongtteok (dragon-shaped rice cake strips). The scale and variety of the food is immense because individual tables are prepared for each deity that is worshipped. In jinjeokgut, for example, the following tables are presented: cheonggyesang (table for cheonggye ghost), gamangsang (table for [[Gamang](/topic/GodofOrigins)](/topic/Gamang), god of origins), daesinhalmeonisang (table for Shaman Ancestor Goddess Grandmother), bulsasang, dodangsang, bonhyangsang, josangsang, jeonansang, daegamsang, seong jusang, daeanjusang (food and wine table), teojusoban (small table for [[Teoju](/topic/LandTutelaryGod)](/topic/Teoju), land tutelary god), dwejidaegamsoban (small table for Daegam with pork), sumunjangdaegamsoban (small table for chief gatekeeper and Daegam), andangjeseoksoban (inner quarters table for [[Jeseok](/topic/GodofChildbirth)](/topic/Jeseok)), and dwitjeonsang.
举行巫祭时陈设的祭案。

根据神格的不同,“巫祭祭案”略有差异,但大体上是在一般祭案上额外摆放牛,猪等动物的头部或腿部,这是不同于一般祭案的特点。从巫祭祭案的种类和摆放方式中,可以窥见巫祭的特点和神格。另外,从祭品的摆放方式及数量,质量,还可以估量神在巫祭共同体中的排位。

巫祭的级别决定巫祭祭案的种类和摆放方式。第一种为简单的神语型个人巫祭的祭案。此时,通常摆放一碗水,干明太鱼,酒,三色水果等,整体上十分简单。

第二种为个人委托巫师举行利市巫祭,城主巫祭,祖先解冤巫祭等规模较小的巫祭时摆放的祭案,例如,举行利市巫祭时会摆上不净祭案,佛师祭案,本乡祭案,祖先祭案,内祭祭案,大监祭案,城主祭案,外祭祭案等。

第三种为别神巫祭,都堂巫祭等村落共同祭祀以及献酒巫祭,恶鬼塞南巫祭(音)等大规模巫祭的祭案。大型巫祭供奉众多神,因而参与人数多,祭案规模大,置办的食物也丰富。此时,一般会准备需要用心准备的高饤,龙糕,牛,猪等,而且为各神准备独立的祭案,因此规模之大,用心之多自不用说。例如,举行献酒巫祭时会摆上伥鬼祭案,感应祭案,内祭祭案,佛师祭案,都堂祭案,本乡祭案,大监婆婆祭案,祖先祭案,酒席大祭案,大监祭案,宅基神小案桌,猪大监小案桌,守门将大监小案桌,安堂帝释小案桌,城主甑子,外祭祭案等。
내용[마을](/topic/마을)의 대동굿, [몸주신](/topic/몸주신)을 위한 [진적굿](/topic/진적굿), 격식을 온전히 수행하는 오귀굿 등 큰굿에서 준비되는 [제상](/topic/제상)으로서 일정한 규모와 격식을 갖추고 있다. 한국 무속의 굿은 세 층위로 대별할 수 있다. 첫 번째 가장 간단한 [비손](/topic/비손) 형태의 개인굿이다. 이때는 물 한 그릇, 명태, 술, [삼실과](/topic/삼실과) 등의 간단한 제상만 준비된다. 특별히 상이라고 할 만한 준비가 없이도 가능한 굿이다. 두 번째 주로 [재가집](/topic/재가집)굿에 해당하는 것으로, 재수굿·[성주굿](/topic/성주굿)·조상해원굿 등 작은굿이다. 굿의 규모에 따라 큰굿과 작은굿을 오[가지](/topic/가지)만 대체로 재가집굿은 굿을 하게 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집중하기 때문에 작은굿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같은 재수굿이라도 규모에 따라 2일 이상 하면서 전통적인 온굿을 제대로 갖추어 하게 되면 큰굿상으로 준비하기도 한다. 세 번째, 마을의 대동굿(별신굿, 부군당굿, 단오굿, 고창굿, 연신굿, 도당굿 등), 진적굿([꽃맞이굿](/topic/꽃맞이굿)), 오귀새남굿 등의 큰굿이다. 큰굿에서는 온갖 신을 모두 모시게 되어 있어 굿상의 규모나 정성 면에서 작은굿과 확실히 차별화되는 양상을 보여 준다. 신들에게 바치는 굿상의 규모와 더불어 굿에 참여하는 사람들까지 넉넉히 먹일 수 있을 정도의 음식이 준비되는 것이다.

특히 큰굿에서는 큰굿임을 드러내는 특별한 제물과 굿상이 등장한다. 예를 들면 정성이 많이 필요한 고임, [도적](/topic/도적), 용떡, 소, 돼지 등이 사용된다. 또한 주된 신격에 더해 각 직능신에 대한 상들을 따로 준비하기 때문에 규모와 정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서울새남굿](/topic/서울새남굿)의 대상은 중심 제상으로 상산상·[망자상](/topic/망자상)·[조상상](/topic/조상상) 등을 차리고, 하단에 [대안주상](/topic/대안주상)을 차리며, 굿의 진행에 따라 [불사상](/topic/불사상) 등을 차린다. [최영 [장군](/topic/장군)](/topic/최영장군) 당굿에서는 최영 [장군상](/topic/장군상), 일월맞이상, 산신상, 안서낭상, 소대감상, 육대감상 등을 차린다. [김유감](/topic/김유감)의 진적굿에서는 [청계상](/topic/청계상), [가망](/topic/가망)상, [전안상](/topic/전안상), 불사상, [도당상](/topic/도당상), [본향상](/topic/본향상), 대신할머니상, 조상상, 대안주상, 대감상, 터주소반, 돼지대감소반, 수문장대감소반, 안당제석소반, 성주시루, [뒷전상](/topic/뒷전상) 등을 차린다.

황해도굿에서는 소대감상과 육대감상을 구분하여 진설한다. 상차림에 있어서 왼쪽은 육대감, 오른쪽은 소대감을 위한 제물로 이원화한다. 이것은 의례 구조가 상차림에 반영된 현상으로 소대감(素大監)은 비린 것을 올리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이다. 대체로 육대감은 감흥·장군·대감, 소대감은 칠성·제석 등을 각각 말한다. 이는 소대감굿과 육대감굿으로 이원화된 황해도굿의 특성이 굿상에 표출된 것으로 해석된다.

전라도 지역의 [천도굿](/topic/천도굿) 제차인 씻김굿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차려지는 상차림은 안당상(혹은 [성주상](/topic/성주상)), 굿상, [사자상](/topic/사자상)이다. 다른 지역에 비해 대체로 간소한 형태이지만 씻김굿의 규모에 따라 제물의 양과 질에서 차이가 난다.

[동해안별신굿](/topic/동해안별신굿)에서는 마을마다 모셔지는 동신에 대한 큰굿상이 준비될 뿐 아니라 별신굿 굿청에 특별히 모시는 신격에 대한 큰상이 전면을 가득 채우게 되고, 그 하단에 직능별 신격과 관련한 상이 마련된다. 또한 마을회관 등에 모셔진 마을성주를 위한 성주상, 용왕신을 위한 용왕당 등이 따로 준비된다. 하지만 주로 굿이 이루어지는 굿청 안에는 여러 상을 준비하지 않고 약간의 변화만을 주는 방식으로 각 굿거리의 신격을 표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만 마을에 따라서는 집집마다 상을 준비해 와서 진설하기도 한다.

큰굿상의 종류와 상차림은 해당 굿의 특성과 신격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차림의 방법이나 양, 질을 통해 해당 굿 공동체에서 인식되고 있는 신의 서열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굿상의 규모와 종류 및 상차림의 내용을 통해 해당 굿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으며, 굿의 제차와 굿상이 연동되는 양상에 대해 주목함으로써 한국 굿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서울굿의 상차림에 대하여 (홍태한, 한국무속학 6, 한국무속학회, 2003)
무속의 물질문화 연구 (최진아,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9)
Gutsang es el término que se refiere a la mesa preparada para la comida sacrificial en un ritual chamánico.

La preparación de la mesa ritual varía según las deidades veneradas, pero en general, es similar a la de ritos confucianos, con los alimentos adicionales tales como la cabeza o pata de una vaca o cerdo. El tipo y arreglo de mesa ritual permiten conocer las características que definen el ritual y la deidad adorada. Tanto el estilo para arreglar la mesa como la cantidad y cualidad de la comida sacrificial proporcionan también la información sobre el estatus de la deidad reverenciada en la jerarquía de deidades adoradas en la comunidad.

La mesa más sencilla se prepara para rituales privados en los que uno se frota las manos como un acto de rezar. En este caso la comida sobre la mesa comprende un bol de agua, abadejo seco llamado bugeo, licor y frutas de tres colores. La mesa un poco más elaborada que dicha mesa es para rituales privados oficiados por un chamán contratado incluyendo el ritual de la buena fortuna llamado jaesugut, el ritual del dios guardián del hogar llamado seongjugut, y el ritual para apaciguar a los espíritus de los antepasados muertos llamado josanghaewongut.

Existen los diferentes tipos de mesas para rituales de la buena fortuna: la mesa de la eliminación de impurezas, bujeongsang; la mesa para el dios de los ancestros, bonhyangsang; la mesa para el dios ancestral, josangsang, la mesa para la deidad adorada en el centro del santuario, jeonangsang; la mesa para el dios de los funcionarios estatales, daegamsang, la mesa para el dios guardián del hogar, seongjusang y la mesa del cierre del ritual, dwitjeonsang.

La mesa más grande y elegante se prepara para rituales comunales como el byeolsingut o dodanggut y otras ceremonias rituales en gran escala incluyendo el ritual de acción de gracias llamado jinjeokgut y el ritual para acompañar a los espíritus de los muertos en su viaje al inframundo llamado ogwisaenamgut. En estos grandes rituales, todos los dioses son el objetivo de la veneración, por lo que la mesa es enorme con la comida suficiente para satisfacer a todas las personas que han asistido al ritual, incluyendo lo comida que requiere del tiempo y devoción como carne de res, carne de cerdo, frutas, goim o yongtteok. La amplitud y la variedad de la comida son inmensas, ya que las mesas individuales se preparan para cada deidad que es reverenciada. En el jinjeokgut, por ejemplo, las siguientes mesas son presentadas: la mesa para el fantasma de cheonggye, cheonggyesang; la mesa para el dios de los orígenes, gamangsang; la mesa para la diosa chamánica de los ancestros, daesinhalmeonisang; la bulsang; la dodangsang; la bonhyangsang; la josangsang; la jeonangsang; la daegamsang; la seongjusang; la mesa de la comida y el vino, daeanjusang; la pequeña mesa para el dios tutelar de la tierra, teojusoban; la pequeña mesa para el dios de los funcionarios estatales con carne de cerdo, dwejidaegamsoban, la pequeña mesa para el jefe guardabarrera y el dios de los funcionarios estatales, sumunjangdaegamsoban; y la mesa de los espacios interiores para el dios del parto Jseok, andangjeseoksoban; la dwitjeonsang.
0 Comments